검색

<생일> 공감하고 공유하고 기억한다는 것의 윤리

슬픔에 공감하는 작은 단서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공감과 공유와 기억의 윤리가 전제하는 것은 큰일을 당한 이들이 상처와 아픔을 극복하는 것의 어려움이다. (2019. 03. 28)

1.jpg

            영화 <생일>의 한 장면

 

 

2014년 4월 16일 이후의 사연을 소재로 영화를 만들 때, 그것이 상업적으로 이용된다는 알리바이를 벗어나려면 “지우기 어려운 상처를 가진 모든 이들과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작품이어야 한다. 이 말을 한 이는 이종언 감독이다. 이종언 감독은 “더 많은 사람들이 그 아픔과 슬픔에 공감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여 <생일>을 만들었다.

 

<생일>에 나오는 이들은 우리와 같은 공간, 같은 시간을 공유하며 일상을 살아간다. 평범해 보여도 그 평범한 일상을 위해 마음속에 미안함과 죄책감과 억울함과 원망과 슬픔 등과 같은 감정을 담아둔 채 밖으로 한 방울이라도 넘치지 않도록 이를 꽉 깨물고 살아간다는 게 다르다.

 

‘수호 아빠’ 정일(설경구)은 오랫동안 가족과 떨어져 지내다가 한국으로 돌아왔다. 아들 수호가 하늘나라로 떠난 날 가족과 함께하지 못했다는 미안함이 죄책감으로 남아 있다. 다가오는 수호의 생일, 주변의 도움을 얻어 마련된 자리에 가족에게 미안한 마음을 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는다.

 

‘수호 엄마’ 순남(전도연)은 수호의 생일을 챙겨준다는 주변 사람들에게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인다. 말이 생일이지 꼭 수호가 떠난 것을 인정하라는 의미인 것만 같아 억울하다. 갑자기 켜지는 집의 현관 등이 수호가 왔다는 것을 알린다고 생각하는 순남은 한편으로 오랫동안 부재했던 남편이 이제 와 가족을 찾는 것이 원망스럽기만 하다.

 

‘수호 동생’ 예솔(김보민)은 엄마에게 어리광 부려도 전혀 이상할 것 같지 않은 나이에 비해 성숙해 보인다. 늘 곁에 있어주던 오빠가 떠난 빈자리가 너무 크지만, 슬픈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건 안 그래도 힘든 엄마에게 짐을 덜 지우기 위함이다. 그래도 아빠가 돌아와 의지할 언덕이 생기니 한층 마음이 놓인다. 

 

,라고 써놓고서도 미안한 생각이 드는 건 복잡한 미로와 같은 인간의 마음을 단 몇 줄로 요약해 파악한다는 게 가당키나 한 것인가라는 심정에서다. 당사자가 아니면 헤아리기 힘든 일을 겪은 이들에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태도란 건 이들의 얘기에 귀 기울이고 나란히 할 수 있는 어깨를 내어주고 기다리는 것일 터.

 

이에 대해 <생일>의 제작진은 “이 영화가 기억을 공유하고 슬픔에 공감하는 작은 단서라도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공감의 측면에서 <생일>의 카메라는 인물에 바짝 들이대어 감정을 소비하는 것을 배제한 채 어깨 정도의 눈높이로 관객이 ‘나란히’ 바라볼 수 있게끔 바스트 숏(bust shot, 인물의 머리부터 가슴까지 담는 숏)과 미디엄 숏(mediam shot, 클로즈업과 롱 숏의 중간 정도 거리에서 찍은 숏)을 주로 구사, 영화의 진심을 전달한다.

 

 

2.jpg

            영화 <생일>의 한 장면

 

 

내가 주목한 건 ‘기억의 공유’와 관련한 이 영화의 캐스팅 방식이었다. 2016년 4월 16일을 전후한 이야기를 다룬다고 해서 그날의 사건을 재현하는 건 관련한 이들이 기억하고 싶지 않은 특정한 순간을 강제적으로 끄집어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윤리의 문제와 부딪힌다. 대신 <생일>은 이 영화의 배우들이 참여했던 전작을 떠올리게 하는 캐스팅으로 영화적인 공유를 실현한다.


정일과 순남을 연기한 설경구와 전도연은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2000)에서 각각 은행원 봉수와 학원 강사 원주로 출연해 사랑을 맺었던 관계로 합을 맞춘 적이 있다. 영화의 개봉 연도를 기준으로 이들이 결혼했다면 <생일>의 수호와 예솔이 나이의 아이들을 가지지 않았을까 추측해 볼 수 있다.

 

수호의 친구 중 한 명으로 나오는 성준 역의 성유빈은 <살아남은 아이>(2017)에서 물에 빠져 죽은 친구의 도움으로 살아남은 고등학생 기현을 연기한 전례가 있다. <살아남은 아이>에서 기현은 친구 대신 살아남은 죄책감을 영화 끝까지 떨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온다. 그의 연장선상에서 <생일>을 보게 되면 마음속 아픔이 여전할지라도 이를 극복하려 성실하게 잘 살아가고 있구나 하는 인상으로 관객의 마음을 놓이게 한다.

 

<생일>의 제작자 중 한 명은 이창동 감독이다. 이창동 감독의 <시>(2010)는 손자가 범한 잘못을 할머니가 시를 통해 속죄하는 사연으로 타인의 고통을 바라보고 성찰한다는 것의 의미를 캐물었다. <생일>의 수호 생일 장면에서는 수호가 남긴 그동안의 글과 사진으로 시를 만들어 그 자리에 참석한 이들과 함께 공유하는 자리가 있다. <시>에서처럼 고통과 진심을 이해하는 참회의 순간이면서 또한 성찰의 시간이기도 하다.

 

공감과 공유와 기억의 윤리가 전제하는 것은 큰일을 당한 이들이 상처와 아픔을 극복하는 것의 어려움이다. 우리는 타인의 아픔을 어설프게 헤아려서도 상처를 단정적으로 진단해서도 하물며 그 아픔과 상처를 조롱의 대상으로 삼아서도 안된다. 절대, 안된다. 극복을 위한 억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그 시간을 기다릴 줄 아는 의미에서 기억하는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생일>은 그와 같은 기다림의 시간에 관한 영화이고 이를 구성하는 시와 분과 초가 결국, 공감과 공유와 기억이라는 것을 호소하는 작품이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YES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허남웅(영화평론가)

영화에 대해 글을 쓰고 말을 한다. 요즘에는 동생 허남준이 거기에 대해 그림도 그려준다. 영화를 영화에만 머물게 하지 않으려고 다양한 시선으로 접근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오늘의 책

나의 모든 것을 잃어버려도 좋을 단 하나, 사랑

임경선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 주인공의 일기를 홈쳐보듯 읽는 내내 휘몰아치는 사랑의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운명적인 사랑에 빠져 자기 자신을 잃어가면서도 그 마음을 멈추지 못하는, 누구나 겪었을 뜨거운 시간을 작가 특유의 감각적인 문체로 표현해낸 소설.

매혹적인 서울 근현대 건축물

10년째 전국의 건축물을 답사해온 김예슬 저자가 서울의 집, 학교, 병원, 박물관을 걸으며 도시가 겪은 파란만장한 근현대사를 살펴본다. 이 책은 도시의 풍경이 스마트폰 화면보다 훨씬 매력적이라는 사실을 일깨우며, 당신의 시선을 세상으로 향하게 해줄 것이다.

2024 비룡소 문학상 대상

비룡소 문학상이 4년 만의 대상 수상작과 함께 돌아왔다. 새 학교에 새 반, 새 친구들까지! 두려움 반, 설렘 반으로 ‘처음’을 맞이하고 있는 1학년 어린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섬세한 시선이 눈부신 작품. 다가오는 봄, 여전히 교실이 낯설고 어색한 친구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응원을 전한다.

마음까지 씻고 가는 개욕탕으로 오시개!

『마음버스』 『사자마트』 로 함께 사는 세상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린 김유X소복이 작가의 신작 그림책. 사람들이 곤히 잠든 밤, 힘들고 지친 개들의 휴식처 개욕탕이 문을 엽니다! 속상한 일, 화난 일, 슬픈 일이 있을 때, 마음까지 깨끗히 씻어 내는 개욕탕으로 오세요!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