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표정훈 칼럼] ‘글만’ 쓰는 것과 ‘글도’ 쓰는 것

<월간 채널예스> 2020년 1월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글 ‘쓰고사니즘’을 추구하는 꿈 많은 청년에게, 먹고사는 일을 최우선으로 하는 ‘먹고사니즘’을 강조했으니 참으로 무정한 자라는 힐난을 들을 수 있겠다.

제목 없음.jpg

 

 

페이스북에 내가 번 돈을 공개하곤 한다. 예컨대 “회의 수고료 20만 원, 원고료 12만 원 오늘 입금됐다.” 이유는 두 가지. 첫째, 돈다발 쥐고 흔들며 자랑하는 심정으로 올린다. 돈 자랑이 가장 기분 좋은 자랑이라 했던가. 어디 길가에서 그럴 순 없으니 SNS에서 한다. 자랑할 만한 액수도, 다발로 묶을만한 액수도 아니지만. 둘째, 프리랜서 작가로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건지, 말하자면 나의 생활의 애환이랄까 그런 걸 지인들과 나누고 싶기 때문이다.

 

직업란에 ‘작가’라고 적어 넣는 사람 가운데 글 쓰는 일만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이는 극소수다. 책 내는 족족 1년 안에 1만 부 정도 팔리는 부러운(!) 작가가 있다 치자. 책 정가 1만5천 원에 인세율 10%면 1천5백만 번다. 책을 매년 내긴 어렵다. 매우 부지런해서 2년에 한 권씩 낸다면 인세로 한 해 750만 원 번다.

 

저서 외에 다른 글로 원고료도 번다 하자. 평균 잡아 원고지 1매에 1만 원 정도 받는다. 지금 쓰는 이 원고는 아마 그것보다 많을 것 같다. 고맙다. 매달 50매 정도 쓴다면 한 해 600만 원. 저서 인세 750만 원과 매체 원고료 600만 원을 합하면 1천3백50만 원, 한 달 평균 110만 원 좀 넘는 소득. 참고로 2019년 기준 최저 임금 월급은 174만 원이다.

 

나 자신을 돌이켜본다. 글 쓰는 일 외에 다른 소득원이 뭐가 있더라? 강연료 수입이 있다. 적게는 40만 원에서 많게는 100만 원 정도지만 100만 원 받을 때는 한 해 한 번 정도 있을까 말까다. 각종 회의 참석 수고료도 있다. 대략 20만 원 정도. 심사위원 수고료를 받을 때도 있는데 50만 원 정도. 그밖에 이런저런 다른 일을 한다.

 

창작 활동으로만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 즉 전업 작가라는 게 자랑할 만 한 건 아니다. 뭔가 비장해보지만 사실 비루하기 쉽다. 왠지 낭만적인 것 같지만 실은 그저 가난하다. 짠하고 찡하다. 전업 작가가 더 독립적일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다른 호구지책에 종사하며 글 쓰는 편이 더 나은 점도 많다. 오히려 그 편이 자신이 쓰고자 하는, 쓰고 싶은 글만 쓸 수 있다. 글 쓸 시간 내는 게 문제일 수 있긴 하지만, 시간이 많은 ‘게으른 전업’들도 드물지 않다.

 

삶과 생활과 세상에 대한 현실 감각을 유지하는 데에도 ‘비전업 작가’가 더 유리하거니와, 비(非)전업 작가가 글에 대해 더 절실해진다. 보험회사 직원이었던 카프카, ‘도박꾼 직업’의 부업으로 작가 생활을 한 것 같은 도스토옙스키. 작가면 그냥 작가일 뿐, ‘전업 작가’라는 개념이 따로 있어야 할 까닭은 없다고 생각한다. 전업과 비전업의 경계도 모호하다. 같은 맥락에서, 직장 생활하며 창작한다는 걸 별스럽고 대단하게 여길 이유도 없다.

 

강연 끝난 뒤 나에게 다가와 “저는 글 쓰는 일을 하며 살고 싶은데요…”라며 질문하는 대학생이 가끔 있다. 내 대답은 늘 같다.

 

“글 쓰는 일 하며 사는 사람들 가운데, 글 쓰는 일 하며 살겠다고 결심하고 계획 세워서 그렇게 살게 된 사람은 적어도 제가 아는 한은 없습니다. 앞으로 어떤 분야로 진출하시든 쓰고 싶은 글을 꾸준히 쓰세요. 또 써야하는 글을 최선을 다해 쓰세요. 보고서든 기획서든 업무 이메일이든 PPT든 뭐든. 그러다 보면 돈 받고 글 쓸 기회가 열릴지도 모르고, 어쩌면 글 쓰는 일 하며 살게 될지도 모르죠. 뭐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꾸준히 글 쓰시면 인생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됩니다. 먹고사는 게 우선입니다. 먹고사는 걸 방기하고 몰두해야 할 만큼 중요하고 가치 있는 건 극히 드뭅니다. 뭐 각자 알아서 택할 문제지만.”

 

글 ‘쓰고사니즘’을 추구하는 꿈 많은 청년에게, 먹고사는 일을 최우선으로 하는 ‘먹고사니즘’을 강조했으니 참으로 무정한 자라는 힐난을 들을 수 있겠다. 그래도 어쩔 수 없다. 꼰대 아재가 되는 걸 무릅쓰고 말하건대, “내가 한 번 살아보니” 글만 쓰는 것보다는 글도 쓰는 게 낫다. 글만 쓰겠다는 것보다 글도 쓰겠다는 꿈이 훨씬 더 야무지다고 생각한다. 야무지다는 건 성격이나 태도 따위가 어수룩함이 없이 똑똑하고 기운차다는 뜻이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표정훈(출판 칼럼니스트)

출판 칼럼니스트, 번역가, 작가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최근 쓴 책으로는 『혼자 남은 밤, 당신 곁의 책 』, 『탐서주의자의 책』 등이 있다.

오늘의 책

나의 모든 것을 잃어버려도 좋을 단 하나, 사랑

임경선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 주인공의 일기를 홈쳐보듯 읽는 내내 휘몰아치는 사랑의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운명적인 사랑에 빠져 자기 자신을 잃어가면서도 그 마음을 멈추지 못하는, 누구나 겪었을 뜨거운 시간을 작가 특유의 감각적인 문체로 표현해낸 소설.

매혹적인 서울 근현대 건축물

10년째 전국의 건축물을 답사해온 김예슬 저자가 서울의 집, 학교, 병원, 박물관을 걸으며 도시가 겪은 파란만장한 근현대사를 살펴본다. 이 책은 도시의 풍경이 스마트폰 화면보다 훨씬 매력적이라는 사실을 일깨우며, 당신의 시선을 세상으로 향하게 해줄 것이다.

2024 비룡소 문학상 대상

비룡소 문학상이 4년 만의 대상 수상작과 함께 돌아왔다. 새 학교에 새 반, 새 친구들까지! 두려움 반, 설렘 반으로 ‘처음’을 맞이하고 있는 1학년 어린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섬세한 시선이 눈부신 작품. 다가오는 봄, 여전히 교실이 낯설고 어색한 친구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응원을 전한다.

마음까지 씻고 가는 개욕탕으로 오시개!

『마음버스』 『사자마트』 로 함께 사는 세상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린 김유X소복이 작가의 신작 그림책. 사람들이 곤히 잠든 밤, 힘들고 지친 개들의 휴식처 개욕탕이 문을 엽니다! 속상한 일, 화난 일, 슬픈 일이 있을 때, 마음까지 깨끗히 씻어 내는 개욕탕으로 오세요!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