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작가 강연회] 최재천, 통섭의 관점에서 향후 10여 년의 사회문화적 경향을 말하다

21세기 사회문화와 지식의 통섭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최재천 교수가 지난달 30일 이화여대 대학원관 중강당에서 ‘21세기 사회문화와 지식의 통섭’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가졌습니다.

언제부턴가, ‘통섭(統攝)’이라는 말이 통용되기 시작했지요. 이 말은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는 지식의 대통합’을 뜻합니다. (불교에서 최고의 경지가 ‘화엄’인데, 그 방법론을 ‘통섭’이라고도 한다지요.) 말하자면, 따로국밥이 아닌, 섞어치기라고 할 수 있죠. 즉, 분석과 종합을 포괄한 서로 다른 지식 간의 경계 허물기. 사실 그렇지 않은가요? 한 분야만 파고들어선, 한 우물만 파고선, 이 복잡다단한 세계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잖아요. 어떤 사물이나 사고든 따로 존재할 수 없거든요. 세계의 모든 것은 잇닿아 있어요. 그게 통섭이 필요한 이유가 아닐까 싶어요.

알다시피, 올해 2009년은 ‘다윈의 해(The Year of Dawin)’랍니다. 태어난 지 200년(1809년)이 됐고, 『종의 기원』이 출간된 지 150년(1859년)이 됐죠. 우리에게 진화론은 과학이론 이상으로 다가오지 않는 측면도 있지만, 실은 그렇지 않아요. 진화론은 인류 문명의 방향을 바꾼 위대한 ‘발견’입니다. 인류에 공헌한 인물을 꼽는 미국의 한 설문에서 다윈은 전체 7위에 오를 정도였다죠. “다윈의 이론은 생물학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문학, 예술, 철학 등 현대의 학문과 예술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인의 의식 구조와 삶까지도 바꾸어놓았습니다. 모든 것은 변하며, 개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준 것입니다. 이런 영향을 가히 혁명적이어서 우리는 이를 ‘다윈 혁명’이라고 부릅니다.”(『최재천의 인간과 동물』, pp.64~65)

이 두 가지 화두와 관련 깊은 사람이 있습니다.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자연의 진화를,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학자이자, 우리 사회를 고민하는 지식인입니다. 지난 2006년 서울대에서 이화여대로 자리를 옮기면서 ‘의생학연구센터’를 만들기도 했죠. 의생학은 자연이 고안해놓은 구조, 기능, 섭리 등을 인간의 삶에 응용하려는 노력을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으로 정립하기 위해 최 교수께서 만들어낸 말입니다.

그런 최재천 교수께서 지난달 30일 이화여대 대학원관 중강당에서 ‘21세기 사회문화와 지식의 통섭’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가졌습니다. 강연을 하는 이 자리, 최 교수가 바로 결혼식을 한 자리라네요. 그래서 더욱 감회도 깊고, 기분도 묘하다는 그는 오늘 이 자리, 과학?사회?문화 등을 엮어서 궁극에서는 ‘통섭’의 개념으로 묶는 이야길 나누고 싶답니다. 그것이야말로 청중인 우리들도 바라던 바, 시작부터 귀가 솔깃합니다.


최재천 교수는 이런 분이에요

우선 최 교수 스스로 말씀하는 정체성을 들어보죠. “저는 산, 들, 강, 바다를 뛰어다니며 동물들이 뭐 하며 사나 관찰하는 사람이에요. 동물행동을 연구하는데, 동물들이 어떤 행동을 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따져보고, 어떤 진화과정을 거쳐왔기에 이런 행동을 할까, 연구하는 거죠. 물론 동물에는 인간도 포함됩니다. 생물학자는 인간을 다루면 안 되는 것처럼 생각하는 분들도 있는데, 그럼 인간은 생물이 아닌가 봅니다.(웃음)”

진짜 그래요. 생물학자는 역사학자나 거의 마찬가지. 범주가 다소 다를 뿐. 역사학이 몇 백, 몇 천 년의 역사를 연구한다면,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의 진화를 연구하는 생물학은 그보다 훨씬 기나긴 몇 백만 년의 세월을 연구하지 않던가요. 천문학은 더 오랜 우주의 시간을 연구하는 것이고요.


그는 우리에게 이런 말을 건넵니다. “많은 동물을 따라 다녀보고, 그 많은 동물을 연구해봤지만, 지금 제 앞에 앉아있는 동물(?)들만큼 이상한 동물이 없습니다. 혼자 떠들게 하고, 강의하고 듣는 행동, 굉장히 신기합니다. 여왕개미도 수십, 수백 마리를 앉혀 놓고 이런 강의를 하지 않습니다. 강의하고 듣는 것, 굉장히 인간적인 행동이자 굉장한 경쟁력입니다.”

맞아요. 그의 책에도 인간에 대한 이런 얘기가 있었죠. “인간은 상당히 모순적인 동물입니다. 아름다운 일을 하는가 하면, 동물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대규모의 전쟁을 일으켜 대량학살을 감행하기도 하지요. 개미를 빼놓고는 그런 동물은 없습니다.”(같은 책, p.57)

사실 동물을 연구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랍니다. 제인 구달 박사가 침팬지를 연구한 것이 내년이면 60년이 되는데, 처음에 그도 애를 많이 먹었답니다. “침팬지는 야생 동물이라 먼발치에서 사람을 슬쩍 보기만 해도 다 도망갔다는 겁니다. 도대체 이래 가지고 무슨 연구를 할 수 있을까? 가까이 갈 수가 있어야 무슨 관찰이든 연구든 하지 않겠는가? 그러다가 한 6개월쯤 지나서야 아기 침팬지가 다가와서 제인 구달의 손을 만졌는데, 그 어미가 저 뒤쪽에서 바라보면서 그냥 놔두더라는 겁니다. 그때서야 비로소 제인 구달은 침팬지 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침팬지들이 이제 나를 받아들이기 시작했구나.’ 하는 걸 알았답니다.”(같은 책, p.32)

그만큼 영장류를 연구하기 위해 돈은 돈대로 들고, 힘은 힘대로 들다보니, 20세기 후반에는 연구가 시들해졌답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와서 인지과학과 뇌과학이 뜨면서 영장류 연구도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네요. 최 교수도 1996년부터 까치를, 2006년부터 자바긴팔원숭이를 연구하고 있는데, 후발주자의 설움도 털어 놓습니다. 자바긴팔원숭이 연구는 속된 말로, 주워 먹은 경우죠. 독일, 일본의 연구자들이 먼저 연구하다가 안 오기 시작했고, 그래서 최 교수 연구진이 하겠다고 나섰답니다.


“시작해보니, (다른 나라 연구진들이) 왜 관뒀는지 알겠더라고요. 자바긴팔원숭이를 따라가면서 연구하기에 무지하게 힘든 지형입니다. 그래도 우리가 누굽니까. 은근과 끈기, 몸으로 때우는 민족 아닙니까. 운 좋게 6개월 만에 (자바긴팔원숭이와) 친해져서 2년 이상 연구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 논문준비를 하고 빠르면 내년에 국제학술지에 자바긴팔원숭이 논문을 낼 것 같아요. 무지하게 자랑스럽습니다. 한민족 역사상 최초로 우리 사촌에 대해 쓴 논문이거든요.” (박수)

최 교수는, 자신을 ‘자꾸 뒤돌아보며 사는 사람’이라고 표현합니다. 생물의 진화를 연구하는 것은 과거를 연구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그렇지만, 그런 연구가 미래와 연결됐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겠죠? 그는, “What is VISION?”이라는 질문을 던지고선, 이런 말을 인용합니다. “FORESIGHT with INSIGHT based on HINDSIGHT(Pastor Myles Munroe).” 그리고 2020년, 향후 10여 년 동안 겪을 경향, 정답일 수는 없겠지만, 최재천 교수가 얘기하는 ‘Socio-culture trends’를 살펴볼까요.


The Age of Ageing 고령화

최 교수가 미래 연구에 뛰어든 이유가 바로 ‘고령화’랍니다. 아시죠? 어느샌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고령화 국가가 되고 있어요.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고 산아제한을 부르짖던 국가시책은, 어느 날 갑자기 ‘하나는 외로워요.’라고 바뀌었고요. 정말, 어찌 보면 눈 깜짝할 새였어요.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2020년이 되면 65세 이상 노인들이 15세 미만 어린이들보다 많아집니다. 인구도 줄기 시작하고요. 그래서 저는 ‘Dynamic Korea’가 아니라 ‘Dying Korea’로 표현(『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했어요. 이건 느낌이 아니라, 통계자료에 입각한 겁니다. 우리나라는 죽어가는 나라예요.”


The Age of Women 여성

최 교수는 확신에 차서 얘기합니다. “다음 시대는 여성의 시대(The Age of Women)고, 여성 시대가 온다는 것은 필연적인 사실입니다. 그런 것을 생각하고 남성들은 스스로 변하지 않으면 살기 어렵습니다.” 또 말합니다. “여성 경제력이 홀로 아이를 키울 수 있고 약간의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수준에 다다른다면 왜 미쳤다고 지아비를 섬기겠어요. 결혼 지평도 바뀔 겁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 사회는 여성의 지위를 높여야 한다고 말씀하네요. “전 세계 어디를 비교해도 우리 여성들은 뛰어납니다. 여기 남자들도 인정하죠?” 그럼요. 인정하고말고요. 인정하지 않으려야 이미 그것은 눈에 드러난 ‘사실(Fact)’인걸요. ‘찌질’한 우리 수컷들은 많이 반성해야죠. “우리나라 여성들이 얼마나 탁월한가요. 김연아, 핸드볼 등등 굉장히 많잖아요. 그런데 문제는 아직도 동양권에서는 여성 지위가 중하위권이라는 거지요. 이 문제를 해결해야 우리는 선진국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선진화를 꾀하신다고 주야장천 주장하시는 분들이 엉뚱한 곳에 힘 쏟지 말고 어디에 힘을 쏟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


The Age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엄청나게 중요한 이슈라고 강조합니다. 우리가 관에 들어가는 날까지 우리 삶을 완벽하게 사로잡을 빅이슈, ‘기후변화’. 그리고 결정적인 근거를 내놓습니다. 구글에서 찾았다는데. 그것은 바로, 여성들의 속옷 변화입니다. 18세기부터 지금까지 점점 짧아지고 있는 여성들의 속옷.

물론 우스갯소리지만, 이런 말씀을 합니다. “자연과학이 물리학이나 화학처럼 딱 증거나 정답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축적되고 쌓이면서 알 수 있게 되는 거죠. 지구가 더위지고 있고, 그것도 너무 빠른 속도로 더워지고 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에요. 새까맣게 타야 그게 증거가 되는 건 아니잖아요. 앨 고어가 <불편한 진실>로 노벨상을 타고 나서야 우리 정부는 ‘이게 중요한 거구나.’ 싶어서 나서더라고요.”

그리고 정부에서 미래전략으로 내세운 ‘저(이산화)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and Green Growth)’. 최 교수께서도 깜짝 놀라고 감동까지 먹었대요. 대운하 파시겠다는 양반이 갑자기 녹색성장을 얘기해서. ‘역시 기업인 출신이라 변신이 확실하구나.’라며 좋아했답니다. 그런데 역시나. “너무 빨리 녹색기술 개발을 얘기해서 불안했는데, 우리가 생각하는 녹색과 정부가 말하는 녹색이 달라서 이것 참…….”

무엇보다 최 교수는 ‘복지’를 강조합니다. 특히 그동안 우리가 소홀했던 생태복지에 대해. “우리나라는 아직 ‘복지’ 하면 가난하고 아픈 사람을 지원하는, 일 벌어지고 땜질하는 복지를 생각하는데, 선진국은 그게 아니에요. 아프지 않게, 못살지 않게,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미리 만들어놔요. 그게 긴 장래를 봐도 돈이 덜 들어요. 그게 생태복지예요. 인간복지뿐 아니라 생태계 복지를 생각해야 하고, 이게 현대적 개념의 복지예요. 국가복지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인간복지와 생태복지를 합한 거예요. 우리나라는 180개국 가운데 국가복지가 60위인데, 인간복지는 28위, 생태복지가 162위예요. 알 만하죠? 정말 우리 삶을 녹색으로 만드는 일에 매진해야 합니다.”


The Age of Resource Depletion 자원고갈

최 교수께서 문제를 냈습니다. “미국의 치즈 가격이 오르고 있다. 왜?” 답은 이렇습니다. “중국 사람들이 치즈 맛을 알게 되어서.” 고개를 끄덕일 만하죠? 좀 과장해서, 중국이 움직이면 그게 세계 표준이 될 수 있는 시대잖아요. 그리고 브릭스(BRICs: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요즘엔 인도네시아까지 더해 이들 국가에 의한 세계 경제의 변화가 주도되고 있죠.

그런데 문제는, 이들 국가들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입니다. 최 교수가 우려하는 바는, 특히 FEW(Food Energy Water). 이번 세기에 FEW는 고갈될지도 모른다는 것.

여기서, 잘못된 상식 하나. 우리나라가 ‘UN이 규정한 물부족국가’라는 레떼르는 거짓~. 찢어버리라는 것이 최 교수의 확언입니다. “UN이 그런 적 없습니다. 미국의 한 사설연구소가 잘못 연구한 것을 한 신문이 또 잘못 인용해 십 몇 년 동안 잘못된 정보를 듣고 있는 겁니다. 물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행복한 나라예요. 다른 나라와 강을 공유하지도 않고, 강은 우리나라에서 시작해 우리나라에서 끝나요. 우리나라는 물이 많은 나라예요. 강수량도 적지 않고.”

물은 그렇다 치죠. 그렇다면 우리는 걱정거리가 없느냐. 최 교수는 바로 식량이 제일 걱정이라고 하네요. “쌀과 계란을 빼고, 좀 산다는 나라치고, 우리나라 빼고는 이렇게 식량의존도가 높은 나라가 없어요. 식량 수출국들이 자국에 식량이 부족하다가 우리가 먹어야겠다고 하면 우리는 큰일 납니다. 우리는 이제 농업국가 아니에요. 과거에는 농업국가라고 배웠는데, 무슨 짓 하다가 이 꼴이 됐는지 모르겠어요. 이제는 농산물 수출국이 잘사는 나라예요. 옛날에는 공산품이었지만. 21세기 세계 경제를 이해하려면 FEW를 이해해야 해요. 작년에 우리가 석유 때문에 흔들린 것 보세요. 세계 12위권 경제 대국이. 이번 세기에는 식량 폭동도 끊임없이 벌어질 겁니다. 21세기 경제는 이 세 자원의 경제예요.”

전 이걸, 우리에게 로컬 푸드(Local Food)가 필요한 이유로 받아들였어요. 그리고 착한(윤리적인) 소비가 필요하다는 것도. 중간도매업자나 다국적 식품회사의 노동과 자원에 대한 무분별한 착취에 저항하는 공정무역도 대안이 되지 않을까요?


The Age of Mixing 혼화

섞임. 그러니까, 샐러드. 샐러드가 정말 그렇잖아요. 제대로 섞여서 조화를 이루는. 용광로에서 하나로 되기보다 각자 성질은 유지하면서 잘 섞이는. 전 사실 인류도 그렇게 됐으면 좋겠단 생각을 해요. 우리나라도 다민족?다문화 국가가 되고 있다곤 하는데, 아직 샐러드는 아니죠.

최 교수도 ‘혼화(Mixing)’를 강조합니다. “‘인류 역사상 이렇게 피가 섞여본 적이 있느냐?’라고 역사학자들에게 물었더니, 답을 못 하더군요. 이건 흐름이죠. 흐름을 거부하고 ‘난 안 바뀔 거야.’ 하는 게 좋은 건지, 거대한 흐름의 선봉에 서야 하는지, 잘 판단해야 해요.” 그리고 문화와 문명의 개념을 다시 생각해보자고 합니다. 우리가 알기론, 문화가 큰 개념이고, 문명은 하위 개념인데, 이것을 뒤집어서. 그리하여, 인간은, 세계는 과학문명이라는 큰 개념에 속한다고 보는 거죠. 여러 숙주를 공략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강한 바이러스이듯, 여러 문화에 통할 수 있는 바이러스, 즉, 누가 더 전염성이 강한 문화 바이러스를 만드느냐가 관건이 된다는 겁니다.


The Ag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창의와 혁신

창의와 혁신은 소수의 것만은 아닙니다. 과거 창의성은 극소수에게서 나왔지만, 이젠 그렇지 않죠. “평범한 사람의 아이디어도 괜찮다고 인정받으면 세계를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뛰어야 합니다. 그걸 지식사회라고 하고요. 평생 공부해야 하는 사회가 된 거죠.”

그리고 네 명의 이름을 거론하고 공통점을 묻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다 빈치,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

아시겠어요? 다 돌아가신 분들이라거나 남자라는 말씀, 사절이에요. ^^

맞아요. 다양한 분야를 섭렵한 분들입니다. 한 분야에 매몰되지 않고. 그리고 최 교수는 슬슬 ‘통섭’의 이야기를 건넵니다. 2년 전 가야금 명인 황병기 옹과 첼리스트 장한나의 대담 기사에 나온 이야기랍니다. “우물을 깊게 파려면 넓게 파라!” 맞아요. 삽질도 제대로 할 수 없는 공간에서 몸을 놀려봐야 우물은 깊게 파지지 않잖아요. “여럿이 함께 파면 깊게 팔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분야가 힘을 합치고 모으면 새로운 설명 체계를 찾아보는 것, 그것이 통섭입니다. 그래서 인문학과 자연과학도 만나야 한다고 했어요. 그것이 ‘괜한 짓’이라고 판명될지 몰라도. 근본이 다른 학문이라도 방법을 찾아보자고 했죠.”

그 시도가, 알다시피 『대담: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도정일?최재천 지음/휴머니스트 펴냄)였답니다. 도정일 교수(인문학)와 최재천 교수(자연과학)가 나눈 이야기를 다룬 책. “처음에는 각기 화성과 금성에서 온 것 같았어요. 그러다 5년 정도 만났고, 지겹다 그만 만나자, 한번만 더 만나자, 해서 하나씩 준비해서 만났어요. 도정일 교수님은 이 세계가 얄팍하지 않고 두터워졌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시고, 저는 ‘호모 실리우스’, 즉 공생의 개념을 얘기했습니다. 놀랐어요. 이거 어떻게 똑같은 개념을 얘기하나 싶어서.”

그렇죠. 지식의 통합. 오직 하나의 지식만 옳은 것이 아니라, 지식과 지식이 만나, 좀더 깊고 넓은 지식이 되는 것. 그러니까, 통섭. 이런 노력들을 한 통속이 되자는 것으로 오해하는 이들에게 최 교수께서 건네는 말은 이것. “Good fences make good neighbors(좋은 담이 좋은 이웃을 만든다).” 너무 하나가 되면 골치 아프고, 어느 정도 담이 있어야 좋답니다. 절대 담을 없애자는 것도 아니고, 짬뽕학문을 만들자는 것도 아니죠. 언제든 넘나들 수 있는, 좋은 담.


“알면 사랑한다”

자연. 우리는 자연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그저 우리 옆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자연은 마냥 우리에게 베풀지만은 않습니다. 최근의 인플루엔자도 어쩌면 인간을 향한 역습이 아닐까 싶으니까요. 우리는 자연과 좀더 친해져야 합니다. 다시 언급하자면, 의생학. 최 교수는 이것을 간단하게 정의합니다. 자연을 흉내 내는 학문. Biomimicry(생물모방)과 Ecologic(생태논리). 그리고 우리네 일상의 자연을 닮은 제품과 물건을 보여줍니다. “자연은 베껴도 괜찮습니다. 표절해도 괜찮습니다. 21세기는 아이디어의 시대고, 저 같은 사람에게 문제를 많이 던져주세요. 문제 해결이 가능한 동식물을 찾아내겠습니다.(웃음) 자연과도 통섭 가능하고, 모든 학문이 넘나들면서 통섭 가능한 것을요.”

고개를 끄덕입니다. “인간은 태초부터 지금까지 늘 자연에서 배우며 살아왔습니다. 유럽의 동굴벽화와 울진의 암각화만 보더라도 고대의 인간들이 동물의 행동을 얼마나 세심하게 관찰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같은 책, p.8) 그리고 역시나 이 말도. “자연을 배워 응용하려면 기존의 지식체계를 넘나들 수 있는 융합 또는 통섭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 모든 걸 쪼개어 분석하던 환원주의의 20세기가 저물고 통섭의 21세기가 열렸습니다. 섞여야 아름답고, 섞여야 강해지고, 섞여야 살아남습니다. 학계, 기업, 사회가 함께 섞여야 합니다. 이런 거대한 변화의 선봉에 일찍이 비빔밥을 개발한 우리 민족의 모습이 보이는 것은 아마 우연이 아닐 듯싶습니다.”(p.8)

최 교수는 마지막으로, 이런 말도 해 줍니다. “새로운 것을 개발하는 것도 좋지만, 그게 어려우면 이미 있는 것을 섞어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도 꼭 했으면 좋겠어요.” 역시나 통섭입니다. 한 우물만 파는 것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닌 것 같아요. 그게 필요하고 통했던 시대도 있지만, 지금은 다르잖아요. 그렇죠? 저는 생물학자를 처음 만나 뵈었지만, 그게 인문학과 꼭 다르지만은 않다는 것도 확인했어요. 그리고 알고 싶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자연을, 생물을, 동물을. 인간만이 아닌. 세계의 모든 것은 잇닿아 있고, 그것은 비단 인간들만의 잇닿음이 아님을.


아, 맞아요. 우린 연애하면서 그러지 않나요. 한 사람을 제대로 알면 사랑하게 되는 것처럼. 사랑하면 더 많이 알고 싶은 것처럼. 최 교수는, 이미 그렇게 자연과, 생물과 사랑하고 계신 거겠죠? 그 속에 포함된 인간 역시. 집으로 가기 전, 역시나 이런 말씀을 책에 자필로 적어주시네요. “알면 사랑한다.”

우리, 사랑할까요. *^^*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오늘의 책

산업의 흐름으로 반도체 읽기!

『현명한 반도체 투자』 우황제 저자의 신간.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며 실전 투자가인 저자의 풍부한 산업 지식을 담아냈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반도체를 각 산업들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산업별 분석과 기업의 투자 포인트로 기회를 만들어 보자.

가장 알맞은 시절에 전하는 행복 안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사람, 작가 김신지의 에세이. 지금 이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작은 기쁨들, ‘제철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1년을 24절기에 맞추며 눈앞의 행복을 마주해보자. 그리고 행복의 순간을 하나씩 늘려보자. 제철의 모습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우리 곁에 머무를 것이다.

2024년 런던국제도서전 화제작

실존하는 편지 가게 ‘글월’을 배경으로 한 힐링 소설. 사기를 당한 언니 때문에 꿈을 포기한 주인공. 편지 가게에서 점원으로 일하며, 모르는 이와 편지를 교환하는 펜팔 서비스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나간다. 진실한 마음으로 쓴 편지가 주는 힘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소설.

나를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물질적 부나 명예는 두 번째다. 첫째는 나 자신. 불확실한 세상에서 심리학은 나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무기다. 요즘 대세 심리학자 신고은이 돈, 일, 관계, 사랑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을 위해 따뜻한 책 한 권을 펴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