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나도, 에세이스트] 11월 우수상 - 치히로에겐 하쿠가 있듯이

나의 특별한 친구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그녀는 내가 본래의 '나'로 돌아갈 수 있게 지켜주는 강의 신 '하쿠'같다. (2021.11.03)

언스플래쉬

그녀와 나는 가끔 조조영화를 본다.

영화를 기반으로 한 약속의 좋은 점은 영화 시작 10분전까지 만나면 되고, 영화 상영이 끝난 시점이 공식적으로 만남의 끝으로 연결되기에 일상으로 편히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우리 사이의 가장 좋은 점은, 둘 다 ‘아이 엄마'라는 사실이다. 그렇기에 모든 점에서 아이를 중심에 둬도 서로 섭섭해 하거나,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 미안함에서 조금은 덜 미안할 수 있단 것, 그게 가장 큰 장점이 된다.  

비정기적인 연락을 하는 우리는 이런 메시지로 아침을 열기도 한다.

"영화의 전당에서 <화양연화> 특별상영을 하네요."

"아 그 영화 10년전 학부생 때 봤었는데 좋았어요."

"리마스터 기념 재개봉이라네요. 전 아직 한 번도 못봤답니다. 괜찮으면 내일 오전 어때요?"

"좋아요." 

그렇게 시작된 조조영화는 봄날의 장범준 콘서트로 이어지고, 가을의 부산국제영화제로 이어졌다. 우리는 우리가 처음 생각한 것보다 더 많은 취향을 공유하고, 감상을 나누는 사이가 되어갔다. 

우리 대화에서 주어를 이루던 "아이가-"라는 문장은 "저는- "으로 바뀌어 나갔다. 아이를 키우며 고유한 ‘나’라는 사람은 지우개로 지우듯 점점 흐려지고, 그 자리엔 ‘엄마’라는 이름이 새로이 쓰였다. 아이를 낳으며 남편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되는 사람은 바로 시어머님인데, 어머님과 그렇게 많은 대화를 주고받았지만 정작 그 속에 나에 대한 질문은 거의 없었다. 늘 "그래, oo이는 어떻니?"라는 말로 시작된 대화는 아무리 길게 이어져도 늘 아이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우리의 대화에서는 자연스레 '내'가 배제되어 있었다. 나는 자주 공허했고, 때로는 무력감을 느꼈다. 

열대야가 이어지던 여름날, 그녀가 “이런 날에는 맥주죠”라고 지나가듯이 던진 말에 나는 “오늘밤 맥주 한잔해요” 라고 즉흥적으로 답했다. 그녀가 살고 있는 낮은 주택가의 호젓한 영국식 펍(pub)스런 맥주집은 그렇게 우리의 아지트가 되었다. 7월이 생일인 내게 생일주를 사주는 그녀는 같은 날 두 달 뒤 생일을 맞았기에 우리는 여름과 가을자락에서  매 해 두 번은 만났다(술자리로). 우리 사이에는 함께 본 영화가 쌓이고, 같이 마신 맥주 캔이 하나 둘 늘어갔다. 

화양연화의 양조위를 잊지 못하던 우리에게 최근 개봉한 <샹치>는 반가운 소식이었다.(양조위가 출현한다) "<샹치> 봤어요? 보러 갈래요?"  라는 물음에 "그럴까요?"라고 답하고 찾은 상영관에는 미리 예매해둔 표가 무색하게 관객이 우리 둘 뿐이었다. 

"오늘 대관한 거나 다름없네요. 이런 날도 다 있네요."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그러게요, 이렇게 큰 관에 아무도 없는 건 또 처음이네요."라며 기념샷이나 한 장 찍자는 그녀의 제안에 마스크를 올려 쓰고 렌즈를 바라보았다. 

카메라 화면은 거울처럼 우리를 담아냈다. 화면 속에는 집에서 아이 둘 건사하느라 진땀으로 눅진한 티셔츠를 입은 어떤 엄마가 아니라, 한껏 취향과 감정을 발산하는 생기 넘치는 여인이 앉아 있었다.

아이를 키우는 일에는 한 해 두 해가 아닌 평생이 걸릴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엄마라는 역할에 매몰되지 않고 나를 지킬 수 있는 것은 바로 일상 속의 이런 시간들 덕분이 아닐까.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치히로’라는 본명을 마녀 ‘유바바’에게 빼앗기고 ‘센’으로 살아가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센’이 '치히로'였음을 잊지 않게 도와주는 강의 신 '하쿠'는 결국 마지막에 ‘치히로’를 구하고, ‘하쿠’ 자신도 마녀의 주술이 사라진 본래의 자신으로 돌아온다. 

때론 내게 그녀가 '하쿠'처럼 느껴진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 뭐였지, 나는 어떤 걸 할 때 즐거웠지, 가을이면 영화제에서 영화를 봤었지, 봄이면 버스커버스커를 들었지, 여름이면 우리는 온천천에 앉아 맥주를 마시곤 했지 하는 소소한 일상과 감각들을 일깨워준다. 그녀는 내가 본래의 '나'로 돌아갈 수 있게 지켜주는 강의 신 '하쿠'같다.  “두 분은 어떤 사이세요?”라고 누군가 우리에게 묻는다면, 나는 그녀는 내 특별한 친구라고 말하고 싶다.




*정미란

마스다미리, 한국단편소설, 요리레시피, 독립영화, 글쓰기를 좋아합니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정미란(나도, 에세이스트)

오늘의 책

수학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는 엄마표 유아수학 공부

국내 최대 유아수학 커뮤니티 '달콤수학 프로젝트'를 이끄는 꿀쌤의 첫 책! '보고 만지는 경험'과 '엄마의 발문'을 통해 체계적인 유아수학 로드맵을 제시한다. 집에서 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수학 활동을 따라하다보면 어느새 우리 아이도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로 자랄 것이다.

나를 바꾸는 사소함의 힘

멈추면 뒤처질 것 같고 열심히 살아도 제자리인 시대. 불안과 번아웃이 일상인 이들에게 사소한 습관으로 회복하는 21가지 방법을 담았다. 100미터 구간을 2-3분 이내로 걷는 마이크로 산책부터 하루 한 장 필사, 독서 등 간단한 습관으로 조금씩 변화하는 내 모습을 느끼시길.

지금이 바로, 경제 교육 골든타임

80만 독자들이 선택한 『돈의 속성』이 어린이들을 위한 경제 금융 동화로 돌아왔다. 돈의 기본적인 ‘쓰임’과 ‘역할’부터 책상 서랍 정리하기, 용돈 기입장 쓰기까지, 어린이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로 자연스럽게 올바른 경제관념을 키울 수 있다.

삶의 주인공은 내가 아니야

저마다 삶의 궤적이 조금씩 다르지만 인간은 비슷한 생애 주기를 거친다. 미숙한 유아동기와 질풍노동의 청년기를 거쳐 누군가를 열렬하게 사랑하고 늙어간다. 이를 관장하는 건 호르몬. 이 책은 시기별 중요한 호르몬을 설명하고 비만과 우울, 노화에 맞서는 법도 함께 공개한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