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예스

예스24

명사의 서재

이경훈의 서재 교사/교수

책은 주로 침대에서 읽습니다. 독서란 왠지 매우 개인적이며 업무와 관련이 없어야 할듯해서 가장 사적인 공간에서 보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난해하고 지루한 책은 좋은 자장가이기도 하니까요. 하지만 자장가의 본분을 다하지 못하고 벌떡 깨게 만드는 책을 만나게 되면 필시 졸음으로 그 다음 하루를 망치게 되지만 다른 세상, 다른 인생을 만난 뿌듯함은 숙면과 바꿀 만합니다.

 

사람은 어떻게 운명과 유한함에 맞서는가? 그 해결책은 과학, 예술, 또는 혁명으로 이름을 달리하며 나오고 있는데 그런 것들을 마주할 때마다 항상 경이롭습니다. 모더니즘은 이에 대한 전반적인 인류의 응답이었으며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한 힘을 갖고 밀린 숙제를 풀어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에 관한 독서는 항상 흥미롭죠. 책 한권을 읽는 것은 기차를 타고 다른 도시로 떠났다가 다시 돌아오는 경험과 같습니다. 도시 그 자체가 목적이기도 하지만 오가는 여정이 더 기억이 남을 때가 있죠. 지나는 풍경에 생각이 마를 때까지 넋을 놓고 있거나, 책을 읽거나, 낯선 동행에게 수작을 걸거나… 책으로 얻는 지식이 목표이기도 하지만 과정 또한 놓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독서가 기차를 타고 다른 세상과 만나는 것과 같다면 서재는 여행을 끝내고 돌아온 기차역마냥 반갑고 유혹적입니다. 서재라 부르기엔 민망하게 책꽂이 몇 개뿐인 간이역이어서 더 정겨울지도 모릅니다.

 

최근 펴낸 『못된 건축』은 인간문명의 궁극적 실체를 도시로 보고, 이를 물리적으로 구성하는 건축이 갖춰야 할 조건에 관한 해설서입니다. 요즘 어떤 식으로 삶을 살아갈 것인가에 고민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자신이 사는 공간과 건축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어디 나가서 건축과 교수라고 소개하면 사람들은 늘 어떤 건축이 좋은 건축인지 물어봅니다. 평소 자신의 생각이 맞는지 전문가들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거죠. 이런 경험을 토대로 건축을 바라보고 평가하는 한 가지 시선을 안내하고자 이 책을 썼습니다. 건축은 예술이기도 하지만 우리에겐 생활공간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도시에서 살아가고 건축물 대부분도 도시에 있습니다. 그러니 건축은 당연히 도시적인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게 요지입니다. 예를 들어 DDP가 좋은 건축인지 생뚱맞은 나쁜 건축인지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각자의 미적 취향으로 판단하는 것보다 이 건축이 서울이란 도시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도시를 풍요롭게 하는지 이야기해보자는 것입니다.

명사의 추천

서재를 친구와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Copyright ⓒ 2024 YES24.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