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예스

예스24

명사의 서재

강수돌의 서재 교사/교수

솔직히, 저는 초등 시절에 경험한, ‘고전읽기 대회’라는 트라우마가 있어요. 재미로 읽는 게 아니라 (담임선생님의 권유로) 무슨 대회에 나가 상을 받기 위해 책을 읽어야한다는 게 정말 고통스러웠거든요. 막상 대회에서 나가서는 아무 상도 타지 못했고요. 그것도 상처일 수 있는데, 사실, 당연한 일이죠. 재미가 없는데 머리에 쏙쏙 들어갈 리 없죠. 바로 이런 경험 때문에, 사실 저는 책 읽는 재미를 제대로 느낀 게 40대 이후라고 해야 할 것 같아요. 물론, 대학 시절에 읽은 『소유냐 존재냐』나 『철학에세이』 같은 인문사회과학 도서들은 재미보다는 의미 중심으로 읽었는데, 대부분 제 의식의 지평을 확 넓혀주었지요.

 

요즘은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좋은 책 소개를 보고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 때 그 책을 찾아 읽게 됩니다. 물론, 여기저기서 서평을 해달라고 할 때도 있지만, 그것조차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 때 기꺼이 응하지요. 결국, ‘재미’가 핵심이라 봅니다. 관심사는 역시 교육 문제입니다. 기업에서는 ‘인적자원’을 어떻게 육성하고 관리해야 하는가 라는 관점에서 연구하기를 원하지만, 저는 돈벌이 경영보다 살림살이 경영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에 ‘삶의 주체 바로 세우기’ 관점에서 교육 문제를 보고 있지요. 사실, 한 아이가 이 세상에 태어나 스스로도 바로 서면서 더불어 살아갈 힘을 키운다면 그 이상 바랄 게 뭐가 있겠어요? 그런데 돈벌이 경제를 중심으로 하는 이 사회 시스템은 아이가 스스로 서거나 더불어 사는 능력을 기르는 것보다는 일류 대학에 들어가고 일류 직장에 취업해 돈을 많이 벌고 높이 승진하며 출세하는 것에 가치를 부여하지요. 그러다 보니, 갈수록 경쟁은 치열해지고 스트레스는 높아지며 빈부 격차도 벌어지지요.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11년 전에 쓴 책이 『나부터 교육혁명』이란 책인데, 요즘엔 이 책의 2탄이 나와야 하지 않겠나, 싶어 새로운 책을 쓰는 중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다시 읽거나 새롭게 읽어야 할 책들도 제법 됩니다. 예컨대, 이반 일리치 선생의 『학교 없는 사회』, 파울로 프레이리의 『페다고지』, 매트 헌의 『학교를 버려라』, A. S. 닐의 『서머힐』, 스탠리 아로노위츠의 『교육은 혁명의 미래다』 등과 같은 책을 들 수 있지요.

 

제 서재를 ‘깨우침의 놀이터’라고 말합니다. 박사 학위를 하고 교수가 되었지만, 깨우침에는 나이도 없고 종점도 없다고 생각해요. 죽을 때까지 작은 것 하나라도 부단히 깨우쳐가는 과정일 뿐이죠. 제사 지낼 때 ‘현고학생부군신위’라 쓰는 경우가 있지요? 큰 벼슬을 하지 않은 보통 사람을 ‘학생’이라 표현하는데, 저는 그런 의미에서 평생 학생으로 살기를 원하고 그것이 가장 마음 편하다고 생각해요. 부단히 깨우친다는 의미의 학생이죠. 그런데 사실, 공부하고 깨우친다는 건 그렇게 재미있는 일은 아니잖아요? 하지만, 내가 하고 싶어 하는 공부, 의미를 부여하는 공부, 가치를 발견하는 공부, 삶의 진실이나 진리를 탐구하는 공부는 의외로 재미가 있어요. 물론, ‘개콘’ 같은 데서 느끼는 재미와는 차원이 다른 재미죠. 그런 의미에서 저는 제 서재가 일종의 놀이터라고 봅니다. 그러니, 종합하면 ‘깨우침의 놀이터’가 되는 것이죠. 이거, 말이 좀 되나요?

 

올해 나온 책으로 두 가지가 있어요. 대학생이나 어른을 위한 것으로 『나부터 세상을 바꿀 순 없을까?』가 있고요, 청소년을 위한 것으로 『잘 산다는 것』이 있죠. 『나부터 세상을 바꿀 순 없을까?』에서 하고 싶었던 말은, 세상이 아무리 미워지더라도 포기하거나 좌절하지 말고 나부터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바꿔보자. 그런 마음으로 다른 이들과 손잡고 사회적 실천도 함께 해나가자. 당장 어떤 효과가 크지 않더라도 쉬지 않고 그렇게 나가다보면 뭔가 좋은 변화가 온다. 설사 기대한 결과가 안 와도 그 과정이 즐겁고 의미 있지 않은가, 뭐, 이런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정치, 경제, 노동, 사회, 교육, 문화 등 모든 삶의 분야에서 생각을 바꾸고 가치관을 바꾸며 나의 실천은 물론 사회 구조의 변화까지 꿈꾸어보자고 제안하게 된 것이지요. 『잘 산다는 것』에서는 청소년들이 올바른 경제관이나 인생관을 갖고 나름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었죠. 거기서 꼭 하고 싶었던 말은, 돈벌이 경제가 아니라 살림살이 경제를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걸 하자, 그러면서 나라 살림살이 전체도 건강하게 바꾸어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 내가 참여할 수 있는 것에 동참하자, 이런 이야기입니다.

명사의 추천

서재를 친구와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Copyright ⓒ 2024 YES24.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