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예스

예스24

명사의 서재

이진우의 서재 교사/교수

‘사이 사이’에 읽어요. 책을 손에서 내려놓는 적이 별로 없으니까 특별히 책을 읽는 시간이 따라 정해진 것은 아니에요. 철학을 전공하는 인문학자다 보니 책이 주위에 없으면 불안해질 정도니까 늘 읽는다고 할 수 있어요. 연구를 하다 보면 아침부터 저녁까지, 그리고 잠들 때까지 늘 책을 읽는 셈이지요. 그렇지만 진정한 의미의 독서는 사이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 같아요. 지방에 있는 관계로 서울을 갈 때면 기차를 이용하는데 차를 타고 도착할 때까지의 ‘사이’에 책을 읽어요. 한 줄 읽고 차창 밖 풍경 한번 보고, 멍하니 먼산 바라보다 다시 한 줄 읽고, 이런 식이지요. 예전에는 화장실에서 일 보는 사이에도 책을 읽었어요. 저녁에 TV를 보다 잠들기 전에도 책을 읽어요. 이 경우 독서는 집중하였던 머리를 이완시키는 수면제죠. 이렇게 중간 중간에 읽었던 책들은 나중에 불현듯 떠오르곤 해요.

 

저는 독서가 ‘여유로운 사이’의 활동이라고 생각해요. 만약 요즘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면 책을 읽을 수 있는 ‘겨를’과 ‘사이’가 없어서일 거예요. 저는 정치철학자로서 늘 ‘권력’과 ‘자유’의 문제에 관심이 있었어요. 비교적 다양한 문제들에 관해 연구하고 글쓰기를 해왔지만 사실 모두 권력 문제로 귀결된다고 생각해요. 많은 사람들이 권력과 자유를 대립적인 관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예컨대 권력은 자유를 억압하기 때문에 자유를 원하면 권력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인류역사를 돌이켜보면 권력이 없는 사회는 존재하지도 않았으며 자유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권력은 필요해요. 자유를 억압하는 권력과 자유를 실현하는 권력이 있을 뿐이지요.

 

제가 요즘 관심을 갖는 것은 이런 이론적 문제가 아니라 한국사회의 구체적 문제에요. 제가 보기에 우리나라는 여전히 집단주의적이고, 그만큼 권력 지향적이에요. 많이 바뀌긴 하였지만 가정도 여전히 권위주의적이고, 직장과 사회관계에도 위계질서가 상당히 강해요. 우리사회가 제도적으로는 민주화되었지만 삶 구석 구석에는 개발독재시대의 권위주의적 군대문화가 깊숙이 스며들어 있어요. 제도와 문화가 어긋나 있는 이런 사회관계에서 자유를 실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것이 최근 저의 관심사에요. 사회는 여전히 권위주의적인데 사람들은 점점 더 이기적이 되어가는 역설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자유의 문화를 실현할 수 있을까? 왜 우리 사회에는 ‘개인’이 없는가? 이런 관점에서 한 때 많이 읽었던 미셸 푸코,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등의 책을 다시 한번 읽어보려고 해요.

명사의 추천

서재를 친구와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Copyright ⓒ 2024 YES24.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