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예스

예스24

명사의 서재

하재영의 서재 작가

하재영은 2006년 작가가 되었고, 소설 『스캔들』, 『달팽이들』 등을 썼다. 그의 글쓰기 재능은 논픽션에도 빛을 발한다. 버려진 개들에 대한 르포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의 죽음』에서 최근작인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의 화두를 친밀한 문장으로 풀어냈다. 


책의 재미를 느꼈던 때는 언제부터였나요? 

책 읽는 것을 좋아하셨던 엄마는 제가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사주셨어요. 책을 읽으면 여기가 아닌 전혀 다른 세상으로 떠날 수 있고, 제가 아닌 완전히 다른 인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깨달은 시기였어요. 저는 초록 지붕 집에 입양된 빨간 머리 앤이었고, 부잣집 딸이었다가 다락방의 하녀로 전락한 세라였으며, 은신처에 숨어서 비밀일기를 쓰는 유대인 소녀 안네였어요. 아주 어릴 때에는 주로 동화를 읽었지만 나중에는 소설, 논픽션, 전기, 역사 등 다양한 종류의 책을 읽었습니다.

발레를 전공하고 입시를 준비하면서 책과 차츰 멀어졌어요. 학업과 연습을 병행하려면 늘 시간이 부족했거든요. 그러다 다시 책을 읽은 것은 대학을 졸업한 뒤였어요. 막연히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에 문학 수업을 들으러 갔죠. 첫 강독 수업 때 교수님이 그 학기에 읽어야 할 책들을 알려주셨는데 제가 읽은 책이 거의 없더라고요. 그때부터 연대별, 작가별, 나라별로 조금은 체계적인 독서를 하게 된 것 같아요.           

책 읽는 시간은 작가님께 왜 소중한가요?

움베르트 에코는 『책으로 천 년을 사는 방법』에서 “문맹인 사람(또는 문맹은 아니지만 책을 읽지 않는 사람)과 비교해볼 때 우리가 더 풍요로운 이유는, 그 사람은 단지 자신의 삶만 살아가고 또 앞으로도 그럴 테지만 우리는 아주 많은 삶들을 살았다는 데 있다”라고 말했어요. 어릴 때 책 읽기를 좋아했던 이유는 책을 통해 다른 세상에 산다는 느낌, 다른 사람이 되는 감각이 좋아서였던 것 같아요. 그때 저는 어렸지만, 에코의 말처럼, 제가 이미 다양한 삶을 산 것처럼 느꼈어요.

요즘은 책을 읽으면서 끊임없이 저의 ‘모름’을 돌아보게 됩니다. 최근에 이라영 예술사회학자의 책을 연이어 읽고 있는데 『타락한 저항』이라는 책에서 그는 반지성주의를 “알기를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상태”라 일컬어요. 저로서는 해석할 수 없었던 어떤 현상들을 누군가는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답을 찾아 나가려고 하죠. 또는 새로운 질문을 던지기도 하고요. 다른 작가들이 쓴 사유의 결과물을 읽으면서 나의 경험을 관습적 사고가 아닌 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방법을 터득해요. 나아가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스스로의 특권을 의식하며 타자와 세계를 대하는 방식을 고민하기도 하죠. 누군가의 말처럼, 삶을 바꾸는 것은 오직 앎에 있는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요.            

요즘 작가님의 관심사는 무엇이며 그 관심사와 관계하여 읽을 계획인 책이 있나요?

지난해부터 여성들의 사유와 서사가 담긴 글을 주로 읽고 있어요. 정희진, 권김현영, 강남순, 이라영, 도나 해러웨이, 록산 게이, 마거릿 애트우드 같은 작가들이요. 이 책들을 통해 저의 경험을 바라보는 관점이 많이 바뀌었어요. 제가 겪은 폭력의 상처, 뿌리 깊은 자기혐오 같은 것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모른다는 희망을 품기도 했고요. 『김지은입니다』『우리가 우리를 우리라고 부를 때』, 『아주 오래된 유죄』 등을 사놓고 마음이 괴로워서 못 읽고 있었는데 이제 읽으려고요. 외면하지 않고 현실을 대면하는 것이 연대와 변화의 시작이라고 생각해요.    

최근작과 관련하여, 독자들에게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신작인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는 제가 거쳐 온 집들에 대해 쓴 에세이예요. 저는 이 책을 ‘집을 통해 본 한 여성의 성장기’라고 생각해요. 단순히 집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집과 여성, 집과 가족, 집과 독립, 집과 계급 등 집에 관한 다층적인 의미를 제 개인사와 당시의 사회상을 엮어서 풀어보려고 노력했어요. ‘작가의 말’에서 “자전적인 이야기지만 집이라는 ‘물리적 장소’ 안에서 여성의 ‘상징적 자리’를 가늠해보려는 시도이기도 했다”고, “이 시도를 통해 나의 이야기가 타자의 이야기가 되고, 타자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가 되는 연결성을 소망했다”고 썼는데요, 이 책을 읽으신 분들이 저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집과 삶을 반추하고, 과거의 자신을 만나 화해와 위로를 건네기 바라요.      

명사의 추천

서재를 친구와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Copyright ⓒ 2024 YES24.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