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슈퍼스타 K4 > 우승자 로이킴 정규 2집 발매

전작의 재기발랄함 대신 자기 성찰적인 가사와 잔잔한 포크 사운드로 앨범을 가득 채웠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학벌 좋고 잘생긴 '엄마 친구 아들' 등의 이미지도 표절이라는 의혹 앞에 무용지물이었다. 아무 말 없이 학업을 이유로 한국을 떠난 지 1년, 그는 새 앨범 < Home >을 통해 그간 보여주지 않았던 감정을 담담히, 때로는 격정적으로 토로한다.

로이 킴 < Home >


「영원한 건 없지만」 로이 킴의 추락은 급격했다. 오디션 프로그램 우승자, 학벌 좋고 잘생긴 '엄마 친구 아들' 등의 이미지도 표절이라는 의혹 앞에 무용지물이었다. 아무 말 없이 학업을 이유로 한국을 떠난 지 1년, 그는 새 앨범 < Home >을 통해 그간 보여주지 않았던 감정을 담담히, 때로는 격정적으로 토로한다. 




전작의 재기발랄함 대신 자기 성찰적인 가사와 잔잔한 포크 사운드로 앨범을 가득 채웠다. 지난 과오를 반성하며 잃어버린 '그대'를 찾아 끊임없이 방황하고 다짐하는 화자에서 로이 킴 본인을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다. '영원한 건 없지만 내 마음의 목소리는 영원하길'이라 노래하는 「영원한 건 없지만」, '난 걱정 안 해도 돼 / 너만 괜찮으면 돼'라는 「Home」은 자신을 옅게 함으로서 건네는 간접적 사과의 제스처다. '누가 봐도 내가 다 잘못했죠 / 실수라고 받아주길 바랬죠'라는 「멀어졌죠」의 직접적 표현도 그 의혹을 짙게 한다. 솔직한 노랫말을 속죄와 해명의 길로 택한 셈이다. 


회고록으로서는 안성맞춤의 앨범이나 음악적으로는 감정의 표현이 아닌 감정의 과잉이다. 아홉 곡들 중 단 하나 치고나오는 곡이 없이 밋밋하게 그저 흘러가기만 한다. 1990년대의 감성을 강조하지만 굳이 1990년대의 노래를 찾아 들을 수 있는 상황에서 로이 킴의 음악은 더욱 힘이 빠진다. 기타 신동으로 유명한 정성하와 함께했음에도 특징적이지 못한 「Curtain」, 컨트리 록을 가져온 「날 사랑한다면」, 「잘 있나요 그대」 등 절절한 자기 고백에 멜로디나 곡 구성은 너무나도 형식적이며 일반적이다. < Love Love Love >에서도 똑같이 제기되었던 문제를 전혀 해결하지 못했다. 그나마 있던 상쾌함이나 발랄한 개성도 찾아볼 수 없다. 


40986751.jpg


로이 킴의 실책은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의혹에 대한 명쾌한 해명 없이 한국을 떠났던 것이고, 두 번째는 이 묵혀둔 마음을 지나치게 음악에 투영했다는 점이다. 과거의 실책을 솔직함으로 타개하려 했으나 오히려 자신의 강점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낳았다. 로이 킴의 오랜 팬이나 지인이 아닌 이상 < Home >의 고백을 완벽히 이해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글/ 김도헌(zener1218@gmail.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3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로이킴 2집 - Home

13,400원(19% + 1%)

“어렸을 때 이문세, 김광석, 김현식, 안치환 같은 선배 분들의 노래를 들었어요. 어머니가 좋아하셨거든요. 아무래도 디지털화된 음악들은 제 적성에 맞지 않더라고요. 포크 음악을 좋아하기도 더 좋아했고 듣기도 더 많이 들었구요. 환경적인 영향도 있었고 제 취향에도 어울렸죠.” 1993년생이다. 이문세, 김광석..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늙어도 낡아지지 않는 삶을 위하여

인생 2막을 살아가는 허은순 작가의 에세이. 50대 후반, 세상에 다시 도전한 작가가 기록한 생각의 단편을 엮어 책에 담았다. 창의적인 시니어 생산자로서 나이 듦의 의미를 새로이 개척한 그녀. 노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부순 삶의 이야기는 '나이는 그저 숫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AI 시대의 표준 인류

20만 베스트셀러 『포노 사피엔스』의 저자 최재붕 교수의 신작.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에 맞춰 진화하는 인류의 미래를 그린다. 일상부터 산업 전반까지 AI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지. 'AI 사피엔스'로 살아갈 우리는 어떻게 준비할지. 한 권으로 만나는 '미래 준비 설명서'.

세상의 모든 노래를 네 목소리로만 듣고 싶어

기괴하지만 사랑스럽고, 어둡지만 찬란한 세계관을 선보이는 조예은의 신작. 사랑하는 이에게 배신당하면서 꿈을 잃은 주인공. 그녀에게 외삼촌의 유산인 ‘인어’가 나타난다. 그의 황홀한 목소리에 빠져 점차 몸과 마음을 바치게 되는데… 이 치명적인 사랑의 끝이 궁금하다면, 소설을 읽어볼 차례.

영화를 향한 고백의 연서

영화평론가이자 《씨네21》 편집장 송경원의 첫 책. 영화가 삶에 남기는 궤적을 통해 기억을 조명함으로써 영화의 한 장면이 된 우리의 삶을 꾹꾹 눌러썼다.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면 영화는 끝이 나지만 영화와의 대화는 비로소 시작되기에, 영화를 '쓴' 그의 글은 얼룩이 되어 우리에게 번져 온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