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응팔 얘길 안 할 수가 없다고요

오혁 <소녀>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오키나와 여행에서 나는 부모님께 처음으로 속 썩여서 미안하다고, 하필 꿈이 작가여서 미안하다고 고백했다. 여전히 썩히고 있지만 이제 좀 덜 썩히고 싶다.

응팔(응답하라1988)이 끝났다. 드라마 덕분에 살아온 날들을 되감아 보게 될 줄은 몰랐다. 서른짤 이후론 나이를 안 세 봐서 모르겠는데 혹시 내가 주인공들과 비슷한 또래라 그런 걸까? 아니라고 믿고 싶지만… 아잉 뭔가 부끄럽다. 그래도 덕선이가 나보단 누나인 건 확실하다. 거 참 다행이다. 근데 동네 이십 대 술친구도 응팔을 환장하고 보던데 나이 따위랑 상관없는 흥행 코드가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어쨌든 지난 몇 달간 불금과 불토를 반납하고 집구석에서 혼자 응팔을 볼 때마다 최소한 회당 한 번씩 펑펑 울고 짤 수 있었던 게 가장 좋았다. 분명 애틋한 시절이 있었던 것이다. 독서실에서 방귀 뀌다 쫓겨나고, 친구 방에서 같이 야한 비디오 보다가 딱 걸린 추억들이 새록새록 했다. 이래저래 각박하고 건조한 요즘 내 일상을 이 역대급 드라마가 추억으로 촉촉하게 적셔준 셈이다.

 

다만 나이 들면 눈물이 많아진대서 흥 웃기시네, 나는 들장미 소녀 캔디(아차 이런 애니메이션을 비유에 쓰면 옹 인증이잖아 망했다)처럼 외로워도 슬퍼도 안 울어 다짐하며 살고 있었는데 추억의 옆구리를 사정없이 쑤시는 드라마 앞에선 개뿔 소용없었다. 쓸데없는 객기를 잠재우고 펑펑 울려준 응팔 제작진에게 감사드린다.


가진 게 반항기뿐이었던 청소년 시절부터 내가 절대 이해할 수 없었고, 억압에 불과하다고 느꼈던 가족이라는 틀과, 부모님의 그때 심정을 이제 와서 최초로 조금 이해하게 된 건 두툼한 보너스.

 

OH_HYUK-A_Little_Girl.jpg

 

그렇다 보니 응팔에 나온 음악 얘길 안 할 수 없겠다. 한참 회자되는 이슈에 묻어가는 건 얍삽해 보여 싫은데 이 꼭지도 그때 그 시절 음악이 주제라 피해갈 도리가 없다. 

 

응팔 OST들 보고 사실 좀 놀랐다. 그 옛날 노래들이 다시 차트를 씹어 먹고, 요즘의 감수성에도 충분히 통할 수 있다는 걸 믿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좋은 음악이란 먼지만 좀 털어내면 당연하게도 여전히 빛나는 생명력을 과시한다는 걸 깜빡했던 셈이다.

 

나는 운전할 때랑, 라면을 끓일 때랑, 샤워를 때릴 때 무의식적으로 노래를 부르는 버릇이 있는데 요즘엔 이 노래만 줄창 부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부를 때 희한하게도 아래턱을 내밀게 되는 노래다.

 

노을진 창가에 앉아 멀리 떠가는 구름을 보면 찾고 싶은 옛 생각들 하늘에 그려요

 

그렇다. 오혁이 리메이크한 이문세의 <소녀> 되겠다. 고(故) 이영훈 님이 만든 이 음악은 워낙에 역대급이기도 했고, 이문세 아저씨가 기가 막히게 부르기도 했고, 응팔 OST에선 오혁이 깊이 있고도 부드럽게 잘 소화해 내기도 해서 3단에 걸쳐 홀딱 빠져버린 것이다. 아 내가 또 이 노래 부르고 있네. 대체 어떤 소녀를 못 잊는 거니. 하면서도 또 부르고 앉았는데 암만 불러도 너무 좋은 곡이다.

 

 

 

드라마에서 이 곡을 처음 들었을 때 아니 대체 누가 이걸 이렇게 잘 부를 수 있단 말인가? 했는데 우리에겐 오혁이 있었다. 처음 봤을 땐 만화에서 튀어나온 줄 알았고, 요즘 스님은 피어싱도 하네, 오해했던 오혁 말이다. 그는 요즘의 감성으로 들으면 자칫 찐득하게 들릴 위험이 있는 내 곁에만 머물러요 떠나면 안 돼요~ 하고 시작하는 이 노래를 편안하면서도 습도가 잘 조절된 톤으로 불렀다. 촉촉함과 건조함이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아서 이 아티스트는 과연 바람직한 당대의 음색 깡패로구나 싶었다. 몇 십 년 뒤에도 그가 부른 음악들이 가치를 지닌 채 빛날 것임을 의심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 목소리라고 본다.

 

<소녀> 원곡은 이문세 아저씨의 <휘파람>, <나는 아직 모르잖아요>, 등의 명곡이 수두룩했던 1985년 3집에 실려 있다. 지금 다시 들어보면 힘을 꽤 주고 부르는 편인데 그땐 그보다 더 감정을 쥐어짜 내듯 부르는 창법이 각광받을 때라 참 세련되고 아름다운 발라드 톤이라 느껴졌었다.

 

그나저나 응팔은 거의 뮤직 드라마만큼 음악을 많이 쓴 편이었는데 상당히 지능적으로, 장면과 내용이 죽지 않도록 수위를 조절하면서 음악 자체가 내뿜는 감성이 잘 조화 되게 만든 수작이었다. 나야 뭐 도롱뇽에 이입되어 드라마를 봐서인지 덕선이 남편이 누가 되든 관심이 없었다는 것도 참 괜찮았다.

 

결국 응팔의 주제는 기승전 가족이라는 점도 감명의 울림이 깊었다. 나는 응팔 때문에 그만 가족애에 눈을 떠버리는 바람에 부모님 모시고 오키나와에 여행도 다녀왔다. 마침 어머니 칠순이었다. 생신 때마다 정신없이 아무것도 못 해드려서 뭔가 이벤트를 마련하고 싶었는데 칠순에 정신 차려서 다행이었다. 만날 나 혼자 칠락팔락 쏘다니다 드라마 보고 철이 들다니. 부끄럽다.


부디 평범하게 살라는 부모 말을 아직도 절대 안 듣고 사는 무명작가라 여행 경비를 많이 보태지 못했지만 누나랑 매형이 거금을 내서 얍삽하게 묻어갔다.

 

ed_okinawa tsuboya.JPG

 

오키나와는 따듯하고 평화롭고 상냥한 여행지였다. 부모님을 웃겨드리기 위해 도롱뇽 성대모사를 연습해 갔는데 부모님은 정작 응팔을 못 봤다고 했다. 낭패였다. 또한 내가 돈을 거의 못 보탠 대신 가이드를 자청해 가족을 인솔하고 있는데, 전철 타고 이동하면서 도롱뇽 톤으로 어디니? 다 왔어? 내려? 지금 내려? 를 시전 할 수가 없었고 해서도 안 됐다. 좋은 여행이었지만 웃길 수 없어서 좀 아쉬웠다.

 

다만 칠순인 어머니도 이문세 아저씨의 <소녀>는 알고 있었다. 어머니도 한때 소녀였고, 아버지도 한때 소년이었다. 그런 부모님도 부모님이 처음이라 성장기에 내가 애를 먹여도 대책을 몰라 그토록 갈등이 많았던 것이다. 오키나와 여행에서 나는 부모님께 처음으로 속 썩여서 미안하다고, 하필 꿈이 작가여서 미안하다고 고백했다. 여전히 썩히고 있지만 이제 좀 덜 썩히고 싶다. 사랑한다고 말하지 못해 아쉬웠지만 그건 다음 기회에. 

 

감상적이지만 <소녀>의 가사처럼 부모님이 내 곁에만 머물고, 떠나지 말았으면 좋겠다. 나 역시 항상 곁에 머물고 떠나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에잇 또 눈물이 나려고 해서 오늘 칼럼 후다닥 끝.

 

 

[관련 기사]

- 사랑은 달아서 끈적한 것이다
- 음악과 함께 행운을 빌어요
- 드레스덴 축제의 매혹적인 단조
- 릴렉스 크리스마스
- 후진 분위기를 경감시키는 감성 백신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2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박상 (소설가)

소설가. 장편소설 『15번 진짜 안 와』, 『말이 되냐』,『예테보리 쌍쌍바』와 소설집 『이원식 씨의 타격폼』을 냈다.

오늘의 책

장재현 감독의 K-오컬트

2015년 〈검은 사제들〉, 2019년 〈사바하〉, 2024년 〈파묘〉를 통해 K-오컬트 세계관을 구축해온 장재현 감독의 각본집. 장재현 오컬트의 시작과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보여준다. 디테일이 살아 있는 오리지날 각본은 영화를 문자로 다시 읽는 즐거움을 선사하며, 독자를 오컬트 세계로 초대한다.

위기의 한국에 던지는 최재천의 일갈

출산율 꼴찌 대한민국, 우리사회는 재생산을 포기했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원인은 갈등이다. 대한민국의 대표 지성인 최재천 교수는 오랜 고민 끝에 이 책을 펴냈다. 갈등을 해결할 두 글자로 숙론을 제안한다. 잠시 다툼을 멈추고 함께 앉아 대화를 시작해보자.

어렵지 않아요, 함께 해요 채식 테이블!

비건 인플루언서 정고메의 첫 번째 레시피 책. 한식부터 중식,일식,양식,디저트까지 개성 있는 101가지 비건 레시피와 현실적인 4주 채식 식단 가이드등을 소개했다. 건강 뿐 아니라 맛까지 보장된 비건 메뉴들은 처음 채식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훌륭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할 말, 제대로 합시다.

할 말을 하면서도 호감을 얻는 사람이 있다. 일과 관계, 어른으로서의 성장을 다뤄온 작가 정문정은 이번 책에서 자기표현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을 전한다. 편안함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 대화법, 말과 글을 더 나은 곳으로 이끄는 방식을 상세히 담아낸 실전 가이드를 만나보자.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