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이덕일의 『누가 왕을 죽였나』를 읽다

이덕일의 『누가 왕을 죽였나』(푸른역사, 1998)를 읽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누가 왕을 죽였는가』(푸른역사, 1998)라는 제목으로 초간되었다가 최근 제목을 바꾸어 재간된 이덕일의 『조선 왕 독살사건』(다산초당, 2005)은, 27명의 임금 가운데 독살설에 휘말린 8건의 사례를 연구한다.

11. 1. 이덕일의 『누가 왕을 죽였나』(푸른역사, 1998)를 읽다.

『누가 왕을 죽였는가』(푸른역사, 1998)라는 제목으로 초간되었다가 최근 제목을 바꾸어 재간된 이덕일의 『조선 왕 독살사건』(다산초당, 2005)은, 27명의 임금 가운데 독살설에 휘말린 8건의 사례를 연구한다. 그 가운데는 세종대왕에 버금가는 영명한 학자 군주로, 왕조 중흥의 전성기를 이룩했다는 22대 정조대왕도 들어 있다. 저자는 “‘만약 정조가 10여 년만 더 살았다면’ 조선의 운명은 바뀌었을 가능성이 높”았다면서, 그의 사후 전개된 극단적인 수구 정치가 조선의 멸망을 불러왔다고 말한다.

개혁을 시도하다가 수구파에게 독살된 절대 계몽 군주라는 ‘정조 신화’를 대중에게 널리 알린 사람은 이인화이다. 그가 쓴 『영원한 제국』(세계사, 1993)은 오늘의 선진화된 유럽 국가는 봉건시대 말기에 하나같이 강력한 절대왕정기를 거쳤다는 사관史觀 아래, “홍재 유신이 실패함으로써 우리 민족사는 160년이나 후퇴했다. 우리의 불행은 정조의 홍재 유신 대신, 박정희의 10월유신을 경험”할 수밖에 없었던 사실을 안타까워한다. 정조 독살설에 정조의 개혁 군주 상像이 겹쳐 있기 때문에, 이 음모론은 자세히 해명될 필요가 있다.

사전처럼 곁에 두고 보는 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가운데 제15권 『문화군주 정조의 나라 만들기』(한길사, 2001)는, 정조 사후 꾸준히 나돌았던 독살설을 노론 벽파에게 오랫동안 소외되어 울분에 빠져 있던 영남 남인과 일부 소론이 지어낸 것이라며 배척한다. 또 이보다 앞서 출간된 박광용의 『영조와 정조의 나라』(푸른역사, 1998) 역시 동일한 해석 끝에, “정조가 절대 계몽 군주를 지향했다고 주장하는 경우”에는 마땅히 독살설을 부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까닭은 “계몽 군주는 무엇보다도 부지런하고 신민들의 사랑을 받는 것이 특징”이므로 “이런 군주를 독살하려는 음모가 있었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아야 정상이라는 것이다. 최홍규의 『정조의 화성 건설』(일지사, 2001)이 좋은 예이다.

유봉학의 『정조대왕의 꿈』(신구문화사, 2001)은, 정조 독살설이 솔깃한 까닭이 “자주적 근대화에 실패했던 원인”을 통속적으로 해명해 주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근대로의 개혁이 과단성 있는 지도자 정조 한 사람에 의해 진행되다가, 독살이라는 폭력적인 방법에 의해 지도자가 시해되자, 이후 그가 추진한 근대로의 개혁이 좌절”되었다는 상황으로 설정되어 있는 정조 독살설은, 전근대적 영웅 사관에 입각하여 개발 독재마저 용인해 주는 논리도 된단다.

정조의 정치와 개혁 정책에 관한 가장 폭넓고 냉철한 평가는 박현모의 『정치가 정조』(푸른역사, 2001)에 기술되어 있다. 따로 또 한 편의 독후감이 필요한 이 책은, 독살설을 일절 언급하지 않으면서 “과로와 조로화早老化”가 원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정조가 죽던 재위 24년째 대왕은 “연신筵臣 중에 나와 나이가 같은 자는 소년이나 다름없는데 나는 정력이 이러하니 이상하지 않은가”라며 피폐해진 육신을 슬퍼했다.

실제로 스물다섯에 왕위에 오른 준비된 왕 정조만큼 오랜 재위 기간 동안 경장(更張: 개혁)에 공을 쏟은 왕은 없었다. 하지만 “경장 반대 세력의 움직임에 지나칠 정도로 예민하게 반응하여 본격적인 경장을 추진하지 못”했으며, “때를 틈타 좀더 과감한 개혁을 추진하지 못한 것은, 정조의 학문적?정치적 역량을 고려해 볼 때 대단히 아쉽”기만 하다. 그나마 정조가 애써 이룬 경장책은 그의 사후 정권을 차지한 세력에 의해 ‘말짱 도루묵’이 되었고, 더욱 나쁜 것은 정조가 죽으면서 조선의 붕당정치(공론 정치)도 따라서 무덤에 묻혔다는 점이다. “필자는 이 점에서 정조 사후 63년간 지속된 세도정치가 사실상 영?정조 시대에 배태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정조의 왕권 강화 정책은 조선의 전통적 정치 이념인 붕당정치를 파괴했다. 유봉학에 의하면 정조 대의 사대부와 각신들이 수구로 몰리면서까지 정조를 따르지 않은 것은 “왕권 강화에 대한 집착은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점, 조선조의 붕당정치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해 주는 한편, 근대를 맞이하기 위해 절대왕정기가 ‘필수 코스’라고 믿어 온 우리들의 서구 중심주의를 재고하게 해 준다. 오늘의 관점으로든 당대의 관례로든, 사대부들보다 정조가 오히려 보수적이었던 것이다.

관련 상품 보기

장정일의 독서일기 7
장정일 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07월
‘독서일기’라는 제목으로 1993년부터 꾸준히 출간되어온 『장정일의 독서일기』 그 일곱 번째 권. 이번에는 2003년 4월부터 2007년 3월까지 87편의 독서일기를 추려 담았다. 일곱 번째 독서일기에서 장정일은 에세이를 포함한 문학 분야 40권과, 사회 비평을 비롯해 예술과 동서양의 역사,정치,인물을 포함한 인문 분 44권, 과학과 실용 분야로 분류되는 3권 등 총 87권의 도서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 운영자가 알립니다.
<장정일의 독서일기>는 랜덤하우스 코리아와의 제휴에 의해 연재되는 것이며, 매주 수요일 총 2개월 간(총 8편) 연재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4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오늘의 책

산업의 흐름으로 반도체 읽기!

『현명한 반도체 투자』 우황제 저자의 신간.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며 실전 투자가인 저자의 풍부한 산업 지식을 담아냈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반도체를 각 산업들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산업별 분석과 기업의 투자 포인트로 기회를 만들어 보자.

가장 알맞은 시절에 전하는 행복 안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사람, 작가 김신지의 에세이. 지금 이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작은 기쁨들, ‘제철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1년을 24절기에 맞추며 눈앞의 행복을 마주해보자. 그리고 행복의 순간을 하나씩 늘려보자. 제철의 모습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우리 곁에 머무를 것이다.

2024년 런던국제도서전 화제작

실존하는 편지 가게 ‘글월’을 배경으로 한 힐링 소설. 사기를 당한 언니 때문에 꿈을 포기한 주인공. 편지 가게에서 점원으로 일하며, 모르는 이와 편지를 교환하는 펜팔 서비스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나간다. 진실한 마음으로 쓴 편지가 주는 힘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소설.

나를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물질적 부나 명예는 두 번째다. 첫째는 나 자신. 불확실한 세상에서 심리학은 나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무기다. 요즘 대세 심리학자 신고은이 돈, 일, 관계, 사랑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을 위해 따뜻한 책 한 권을 펴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