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문라이트>, 한 편의 시를 읽었다

나는 왜 이 영화를 보며 왜 이다지 먹먹했는가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나는 샤이론 쪽 삶의 길에 서 있기에 처지가 사뭇 다르지만 테레사 쪽 삶의 길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을까 조심스레 묻는다. 희망을 가진 채. 다른 것들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보리라고. 자신 속에서 길을 낼 수 있다면.

movie_image.jpg

영화 <문라이트>의 한 장면

 

왜 갑자기 이런 대목이 떠올랐는지 모르지만, 책 『극지의 시』의 어떤 부분이 가물가물 생각나 책장에서 꺼내 찾아 읽었다. 삶이 쓰라리다고 느낄 때, 이성복 시인의 3부작 명상서(내 멋대로 나홀로 붙인 장르명)인 『무한화서』, 『불화하는 말들』, 『극지의 시』를 아무 페이지나 넘기며 마음을 달래거나 무릎을 치거나 하는데 말이다.

 

영화 <문라이트>를 이야기하려는데 번뜩 이 에피소드가 떠오른 것이다.

 

“시가 우리한테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건 우리로 하여금 화자의 자리에 서게 하기 때문이 아닐까 해요. 시적 감동이란 독자가 화자의 자리에 서서, 화자의 눈으로 보고 느낄 때의 놀라움, 서러움, 막막함 같은 것이 아닐까 해요. 제가 시 창작 수업 들어가서 늘 하는 얘기가 있어요. 인터넷에서 본 초등학생 답안지인데, 어른이 아이에게 선물을 주는 그림이 있고, 그 밑에 다섯 자 들어가게 빈칸이 있어요. 문제는 ‘이럴 때 뭐라고 합니까?’ 거기에 적힌 답이 ‘뭐 이런 걸 다......’예요. 그리고 한 아이가 막 지나가려 하는데 다른 아이가 흙장난을 하는 그림이 있어요. 문제는 똑같아요. ‘이럴 때 뭐라고 합니까?’ 답은 ‘씨발아, 비켜라.’ 이 답안을 보는 순간 우리는 그것을 쓴 아이의 자리에서 아이와 같이 생각하는 거예요. 단, 이 대답들이 재미있기만 하고 시가 안 되는 건 그 안에 ‘아픔’이 없기 때문이지요.”

 

나는 <문라이트>를 보며 왜 이다지 먹먹했는가. 지금 이 순간도 주인공 샤이론의 목소리를 잊을 수가 없다. 흑인/ 편모 가정/ 남성/ 게이인 샤이론의 자리와 내 삶의 자리는 멀리, 어쩌면 반대의 지점에 놓여 있는데, ‘아픔’은 고스란히 전달되었다. <문라이트>가 이성복 시인이 말한 예시로서, 바로 그 자리에서 시가 되었다. 그의 처지가 특수해서 전해지는 아픔이 아니라 우리 모두 삶의 과정에서 겪을 수밖에 없는 차별과 소외, 내 맘대로 되지 않는 사랑의 아픔이기에.

 

올해 오스카 작품상을 수상한 <문라이트>는 한 편의 뛰어난 시다. 3부로 구성된 성장담은 1부 리틀, 2부 샤이론, 3부 블랙이란 제목으로 10여 년 주인공의 삶을 보여준다. 그 삶은 가난과 왕따 차별과 억압과 박해가 그대로 느껴지지만 내면을 표현한 영상은 아름답고 감각적이어서 눈과 마음을 한꺼번에 사로잡는다.

 

마이애미의 새파란 바다에서 수영을 배우는 샤이론의 머리 위로 부서지고 빛나는 물과 햇살, 검은 하늘을 천천히 걸어가는 샤이론의 등 뒤에 푸른빛 도는 대기, 쫓기며 달리는 샤이론 발밑 황토빛 흙, 그리고 순수한 사랑의 시작이었던 친구 케빈과 첫 키스를 나누며 움켜쥐던 모래 더미는 영상 컷 그대로 액자로 만들고 싶을 정도다.

 

영화 제목도 기막히지 않은가. <문라이트(Moonlight)>, 원작인 희곡, ‘달빛 아래 흑인 소년들은 파랗게 보인다’에서 나왔다. 극작가 타렐 앨빈 맥크래니의 자전적 희곡을 젊은 감독 배리 젠킨스가 영화화한 것. 피부색 차별 없이 비추는 달빛 아래에서 우리 모두 자유로운 사람이라고. 어둠 속에서 자란 한 소년이 청년이 되어, 결국 마약거래상이 되어버리고 말았지만 사랑을 찾아 고백하는 순간까지 어두운 삶의 톤은 푸른빛을 버리지 않는다. 영화 <문라이트>가 시로 받아들여지는 건 아마도 통렬한 고발이나 어쭙잖은 세속의 성공, 아픈 복수가 없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허약하고 슬픈 눈빛의 샤이론이 근육질의 블랙으로 태어나는 순간에도, 그에게는 세상에 대한 복수심보다는 사랑에 대한 그리움과 후안과 그 여자친구 테레사와 맺은 유사 가족의 따뜻함을 간직하고 있는 듯했다.

 

나에게 <문라이트>는 또한 ‘후안과 테레사’의 영화이기도 하다. 도망쳐 자신의 창고로 숨어든 겁먹은 소년, 답답할 정도로 입을 열지 않는 샤이론을 후안은 어떠한 의문도 품지 않고 집으로 데려가 먹이고 달랜다. 그의 아름다운 여자친구 테레사의 배려의 태도는 이름에서 연상되듯 테레사 수녀의 사랑처럼 아무것도 캐묻지 않고 돌보는 것. 눈시울 촉촉하게 만드는 ‘묻지마 사랑’이었으니, 나 누구에게 이토록 뜨겁게 배려한 적 있었나 싶어서 크게 마음 출렁거렸다. 대가 바라지 않는 깊은 사랑, 어떤 순간만 사랑의 발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샤이론의 성장 내내 곁에 있어준 후안과 테레사에게서, 영화 제목인 푸른 달빛의 상징을 보았다.

 

달빛 속 샤이론의 고백 “너무 많이 울어서 눈물 방울이 되어버릴 것 같다”는 슬픔에 잠긴 한 인간만이 표현할 수 있는 시적 은유.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출구 없는 갇힌 삶에서도 자신의 삶을 버리지 않는 샤이론의 말간 고백을 들으며 이성복 시인의 말들이 떠올랐다.

 

“거미 같은 곤충을 보세요. 자기 몸속에서 토해낸 실을 밟고 공중으로 옮겨가잖아요. 그처럼 이 길은 오직 우리 자신 속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어요.”

 

나는 샤이론 쪽 삶의 길에 서 있기에 처지가 사뭇 다르지만 테레사 쪽 삶의 길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을까 조심스레 묻는다. 희망을 가진 채. 다른 것들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보리라고. 자신 속에서 길을 낼 수 있다면. 영화 <문라이트>와 책 『극지의 시』를 겹겹이 읽은 초봄의 밤이 이렇게 지나가고 있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3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정은숙(마음산책 대표)

<마음산책> 대표. 출판 편집자로 살 수밖에 없다고, 그런 운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일주일에 두세 번 영화관에서 마음을 세탁한다. 사소한 일에 감탄사 연발하여 ‘감동천하’란 별명을 얻었다. 몇 차례 예외를 빼고는 홀로 극장을 찾는다. 책 만들고 읽고 어루만지는 사람.

오늘의 책

산업의 흐름으로 반도체 읽기!

『현명한 반도체 투자』 우황제 저자의 신간.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며 실전 투자가인 저자의 풍부한 산업 지식을 담아냈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반도체를 각 산업들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산업별 분석과 기업의 투자 포인트로 기회를 만들어 보자.

가장 알맞은 시절에 전하는 행복 안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사람, 작가 김신지의 에세이. 지금 이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작은 기쁨들, ‘제철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1년을 24절기에 맞추며 눈앞의 행복을 마주해보자. 그리고 행복의 순간을 하나씩 늘려보자. 제철의 모습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우리 곁에 머무를 것이다.

2024년 런던국제도서전 화제작

실존하는 편지 가게 ‘글월’을 배경으로 한 힐링 소설. 사기를 당한 언니 때문에 꿈을 포기한 주인공. 편지 가게에서 점원으로 일하며, 모르는 이와 편지를 교환하는 펜팔 서비스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나간다. 진실한 마음으로 쓴 편지가 주는 힘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소설.

나를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물질적 부나 명예는 두 번째다. 첫째는 나 자신. 불확실한 세상에서 심리학은 나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무기다. 요즘 대세 심리학자 신고은이 돈, 일, 관계, 사랑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을 위해 따뜻한 책 한 권을 펴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