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耳順)에 『유림』 출간한 작가 최인호
문단의 2대 매력남인 작가는(한 사람은 소설가 황석영.) 쇼핑백 두 서너 개를 들고, 시가를 피우며 작업실로 들어왔다. 할아버지라곤 생각 못할 정도로 젊고 쾌활한 옷차림에, “어, 나 늦었어요? 아니지?” 하는 격의없는 말투.
2005.07.14
작게
크게
공유
문단의 2대 매력남인 작가는(한 사람은 소설가 황석영.) 쇼핑백 두 서너 개를 들고, 시가를 피우며 작업실로 들어왔다. 할아버지라곤 생각 못할 정도로 젊고 쾌활한 옷차림에, “어, 나 늦었어요? 아니지?” 하는 격의없는 말투. 2천 5백년 유교의 역사를 글로 써낸 이가 바로 이 사람일까 싶었다. 그만치 나이도, 고루함도 느낄 수 없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런다고, 왜 고리타분한 유교냐… 여자들한테 어제 3번 들었죠. 여자들이 유교에 감정있다는 걸 처음 알았어요.” 새 책에 대한 반응이 의외였다고 그는 말했다. 라면이나 식품에는 유효기간이 있어도 세계 3대 성인인 공자?석가?예수의 말에는 그런 게 없고, 오히려 지금이 공자가 말한 효(孝), 경(敬), 예의(禮儀)로 돌아갈 호기(好期)라고 생각했는데 그런 말을 들으니 다소 섭섭했나 보다.
“알다시피 유교는 공자부터 시작해요. 공자는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세계적인 사상가를 낳거든요. 그게 이퇴계, 우리나라 천원짜리에 있죠. 또 하나는 오천원짜리에 있는 이율곡.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도대체 이 사람들이 어떤 사람인지 몰라요. 그들이 어떤 사람이고 왜 위대한가. 왜 세계적 사상가인가. 또 왜 우리가 아시아의 변방국이지만은 세계적인 문화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가… 그걸 써보자는 게 이 소설의 주제죠.”
『유림』은 전체 2부 6권 중 1부 3권이 먼저 출간되었다. 1권은 조광조를 다룬다. 조광조는 유교를 내세운 공자를 본받아 왕도정치를 실천하려다 현실정치에 부딪혀 사약을 받고 죽는 비극적 인물. 2권은 공자가 이상(異想)을 실현하고자 70개국을 주유하는 내용을, 3권은 퇴계가 어떻게 공자의 학문에 깊이 빠지게 되었는가를 그렸다. 4권은 유교를 발전시킨 맹자?순자?왕양명?묵자 등을 소개하며, 5권은 이율곡과 이퇴계의 만남을 통해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 어떻게 무르익었는가를 설명한다. 마지막 6권은 고향으로 돌아온 공자가 자기 사상을 정립하는 과정을 담았다.
조광조를 첫 권에 다룬 이유를 묻자, “공자의 세계를 둘로 나누면 현실정치에 관심이 많았던 전반기와 고향에 돌아와 공부만 한 후반기로 볼 수 있어요. 조광조는 정치가로 공자의 전반부 흉내낸 사람이고, 이퇴계는 학자로서 후반기에 집중한 사람이란 말이에요. 당연히 유림의 문을 여는 사람으로 조광조를 생각한 거죠.”하고 막힘없이 답한다.
얼마 전 종영된 드라마 『해신』도 역사적 인물 장보고 이야긴데, 또 역사 인물이라니. 아무래도 작가는 오래 전에 죽은 사람들과 무슨 인연이 있는가 보다. “87년에 가톨릭에 귀의했는데 그때 가장 신기했던 건 이천년 전에 죽은 목수 하나를 내가 믿고 있다는 거. 내 아버지도, 할아버지도 아니고 잘 알지도 못하는데… 내가 예수를 믿어요. 그 사람의 가르침 때문에. 그 때가 나에겐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었죠. 천 오백년 전에 죽은 광개토대왕도, 이천년 전에 죽은 예수도, 이천 오백년 전에 죽은 공자도 여전히 살아있다고 믿으니까 소설을 씁니다. 2~3년 뒤에는 소위 말하는 진검승부를 해보고 싶죠. 지저스 크러스트. 나만이 보는 독특한 시각의 그를 써보고 싶어요.”
예전만 해도 작가는 유교보다는 기독교나 불교과였다. 그러나 이 책을 쓰면서 인간 공자를 발견했다. 맹자 순자 묵자… 동양의 사상을 다 훑어야 하는 만큼 작업이 어려운 건 사실이지만, 공부하는 재미에 시간가는 줄도 모른단다. 게다가 동양사상의 골수를 글로 써서 국민들에게 알려줄 만큼 자신의 소설세계가 완연해진 데 대해서도 한없는 보람을 느끼고 있다. 실제로 박근혜, 한화갑, 박찬종 같은 정치인들로부터 수인사도 받았다.
“맹자가 제발 군주는 이익을 생각하지 말고 의를 생각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 논리는 우리들에게도 필요해요. 지금 우리나라 경제가 어렵다고 하잖아요. 근데 이건 제도의 문제,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아니라고. 뭐냐면, 인의를 바로잡으면 돼요. IMF도 다 부도덕 때문입니다. 오늘을 사는 경제학자라든가, 정치가든가… 좀 읽고 모범으로 삼았으면 좋겠어요.” 『유림』을 낸 그의 솔직한 심정이다.
가장 좋아하는 공자님 말씀을 물었더니 “이런 말이 있어요. 네가 모르는 걸 아는 게 진짜 아는 거다. 이게 참 나한테는 벼락같아.” 하고 웃는다. 조금만 알아도 식자행세하며 나서는 세상이 작가는 싫다. 유교의 역사를 소설로 쓴 것도 지식자랑을 하고 싶어서가 아니다. 그보다는 작가로서의 다짐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들수록 시대와 함께 가는 작가가 되겠다는 게 그의 소망이다.
돌이켜보면, 그때그때 생각한 걸 토해낼 수 있는 힘과 그런 기회와 능력을 주신 하느님이 감사할 뿐이다. 해방둥이로 태어나 고등학교 2학년 때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한 뒤로 예순이 되는 올해까지 『깊고 푸른 밤』, 『별들의 고향』 등이 영화화 되어 많은 인기를 누렸고, 근래에는 TV 드라마 『상도』, 『해신』의 원작자로 베스트셀러 행진을 계속했다. 하도 피임을 안 해서 자식이 몇인지 모른다고 우스개 소리를 하는 다작가(多作家)인데 놀랍게도 그는 만년필만 고집한다. “나는 아직도 원고지에 또박또박 한 걸음씩 걸어가는 그 과정이 좋아요. 컴퓨터로 ‘차라락~’ 속도감있게 나가는 게 싫고. 또 한가지는 가끔 젊은 사람들 글을 읽으면 컴퓨터 냄새가 나요. 그게 뭐냐면 매끈매끈하지만 성형수술한 것 같은, 화장한 것 같은. 왠지 독창성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
소설가로서 그의 남다른 점은 이뿐이 아니다. 벌써 몇 십년째 월간 『샘터』에 가족소설을 기고하고 있는 것. 집식구들을 소재로 하여 웬만한 사람은 그의 아들 딸인 “다혜”와 “도단”이를 알고 있다. 시시콜콜 집안 이야기를 늘어놓는 통에 시집간 딸에게 된통 혼난 일도 있건만 그는 앞으로도 가족소설을 계속 쓸 생각이다. “많은 사람들은 결혼생활 한지 2-3년만 되면 자기 가족을 속 다 파먹은 김장김치처럼 생각하는데, 내게 있어서 가정은 항상 새롭고 퍼도 퍼도 매마르지 않는 샘 같아요. 가족이야말로 가장 감동적인 기적의 현장이잖아요? 난 그렇게 생각해요. 그 사소한 기적의 현장을 언제나 새로운 눈으로 보려고 하지 않는다면 우리 가족이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그래서 그 소설을 쓰고 있어요.” 아주 당연한 얘기 같지만, 그렇게 되지 않는 자화상에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작가는 『유림』덕분에 매일 가는 청계산 등산도 며칠 걸렀다. 인터뷰 하는 중에도 ‘TV, 책을 말하다’ 방송 준비상황을 체크하느라 분주했다. 공자님 말씀에 귀가 듣는 대로 순조롭게 이해하는 나이라던 이순(耳順)에도 그는 이렇게 바쁘다. 마지막으로 ‘문단 후배들에게 한마디’를 주문하자, 분신인형을 만들어 괴롭히고 싶을 만큼 질투나는 젊은이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한다. 어쩌면 겉모습은커녕 마음 속까지 늙지 않는 걸까. ‘만년청년작가’라는 별칭 그대로다.
요새 사람들 눈에 유교가 고루하고 시대착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면 그건 거짓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제사를 지내고,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이처럼 유교는 사라졌지만 우리민족의 무의식에 끼친 영향은 대단하다. 『미실』이나 『달의 제단』 같은 소설이 나오고, 그에 대한 상찬과 비난이 동시에 쏟아지는 현실이 이를 반증하지 않는가. 여전히 유교는 힘이 세고, 그만큼 미움도 많이 받고 있는데 작가는 담담하게 말한다. “어쨌든 간에 사람 아니요. 인간이 도대체 어떻게 살아야 옳을 것인가. 그리고 왜 사는가에 대해서 우리가 좀 깊은 생각을 해봐야 하지 않겠나”.
『유림』은 호(好), 불호(不好)가 분명한 소설이다. 이럴 때는 작가도 내심 독자들의 반응이 궁금할 것 같다. 이미 열렬한 반응을 보여준 독자도 있고, 미심쩍은 눈초리를 보낸 독자도 있다. 하지만 작가는 알고 있다. 과거의 베스트셀러만 믿고 지금 쓰지 않는다면, 독자들에게서 영영 잊혀지고 말 것임을. 이순의 나이에도 파이팅하는 그가 그래서 멋지다.
-------------------------------------------------------------------------------
작가 최인호는 1970년대 청년 문화의 중심에 선 작가다. 세련된 문체로 '도시 문학'의 지평을 넓히며 그 가능성을 탐색한 그는 황석영, 조세희와는 또다른 측면에서 1970년대를 자신의 연대로 평정했다. 1973년 스물여덟의 나이에 <조선일보>에 연재한 『별들의 고향』은 이장호 감독에 의해 영화로도 만들어져 큰 인기를 모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일간지와 여성지 등을 통해 『적도의 꽃』, 『고래 사냥』, 『물 위의 사막』, 『겨울 나그네』, 『잃어버린 왕국』, 『불새』, 『왕도의 비밀』, 『길 없는 길』등을 선보이며 지칠줄 모르는 생산력과 대중장악력을 보여주었으며, 2001년 『상도』에 이어 최근에는 『해신』이 TV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런다고, 왜 고리타분한 유교냐… 여자들한테 어제 3번 들었죠. 여자들이 유교에 감정있다는 걸 처음 알았어요.” 새 책에 대한 반응이 의외였다고 그는 말했다. 라면이나 식품에는 유효기간이 있어도 세계 3대 성인인 공자?석가?예수의 말에는 그런 게 없고, 오히려 지금이 공자가 말한 효(孝), 경(敬), 예의(禮儀)로 돌아갈 호기(好期)라고 생각했는데 그런 말을 들으니 다소 섭섭했나 보다.
“알다시피 유교는 공자부터 시작해요. 공자는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세계적인 사상가를 낳거든요. 그게 이퇴계, 우리나라 천원짜리에 있죠. 또 하나는 오천원짜리에 있는 이율곡.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도대체 이 사람들이 어떤 사람인지 몰라요. 그들이 어떤 사람이고 왜 위대한가. 왜 세계적 사상가인가. 또 왜 우리가 아시아의 변방국이지만은 세계적인 문화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가… 그걸 써보자는 게 이 소설의 주제죠.”
『유림』은 전체 2부 6권 중 1부 3권이 먼저 출간되었다. 1권은 조광조를 다룬다. 조광조는 유교를 내세운 공자를 본받아 왕도정치를 실천하려다 현실정치에 부딪혀 사약을 받고 죽는 비극적 인물. 2권은 공자가 이상(異想)을 실현하고자 70개국을 주유하는 내용을, 3권은 퇴계가 어떻게 공자의 학문에 깊이 빠지게 되었는가를 그렸다. 4권은 유교를 발전시킨 맹자?순자?왕양명?묵자 등을 소개하며, 5권은 이율곡과 이퇴계의 만남을 통해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 어떻게 무르익었는가를 설명한다. 마지막 6권은 고향으로 돌아온 공자가 자기 사상을 정립하는 과정을 담았다.
조광조를 첫 권에 다룬 이유를 묻자, “공자의 세계를 둘로 나누면 현실정치에 관심이 많았던 전반기와 고향에 돌아와 공부만 한 후반기로 볼 수 있어요. 조광조는 정치가로 공자의 전반부 흉내낸 사람이고, 이퇴계는 학자로서 후반기에 집중한 사람이란 말이에요. 당연히 유림의 문을 여는 사람으로 조광조를 생각한 거죠.”하고 막힘없이 답한다.
얼마 전 종영된 드라마 『해신』도 역사적 인물 장보고 이야긴데, 또 역사 인물이라니. 아무래도 작가는 오래 전에 죽은 사람들과 무슨 인연이 있는가 보다. “87년에 가톨릭에 귀의했는데 그때 가장 신기했던 건 이천년 전에 죽은 목수 하나를 내가 믿고 있다는 거. 내 아버지도, 할아버지도 아니고 잘 알지도 못하는데… 내가 예수를 믿어요. 그 사람의 가르침 때문에. 그 때가 나에겐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었죠. 천 오백년 전에 죽은 광개토대왕도, 이천년 전에 죽은 예수도, 이천 오백년 전에 죽은 공자도 여전히 살아있다고 믿으니까 소설을 씁니다. 2~3년 뒤에는 소위 말하는 진검승부를 해보고 싶죠. 지저스 크러스트. 나만이 보는 독특한 시각의 그를 써보고 싶어요.”
예전만 해도 작가는 유교보다는 기독교나 불교과였다. 그러나 이 책을 쓰면서 인간 공자를 발견했다. 맹자 순자 묵자… 동양의 사상을 다 훑어야 하는 만큼 작업이 어려운 건 사실이지만, 공부하는 재미에 시간가는 줄도 모른단다. 게다가 동양사상의 골수를 글로 써서 국민들에게 알려줄 만큼 자신의 소설세계가 완연해진 데 대해서도 한없는 보람을 느끼고 있다. 실제로 박근혜, 한화갑, 박찬종 같은 정치인들로부터 수인사도 받았다.
“맹자가 제발 군주는 이익을 생각하지 말고 의를 생각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 논리는 우리들에게도 필요해요. 지금 우리나라 경제가 어렵다고 하잖아요. 근데 이건 제도의 문제,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아니라고. 뭐냐면, 인의를 바로잡으면 돼요. IMF도 다 부도덕 때문입니다. 오늘을 사는 경제학자라든가, 정치가든가… 좀 읽고 모범으로 삼았으면 좋겠어요.” 『유림』을 낸 그의 솔직한 심정이다.
가장 좋아하는 공자님 말씀을 물었더니 “이런 말이 있어요. 네가 모르는 걸 아는 게 진짜 아는 거다. 이게 참 나한테는 벼락같아.” 하고 웃는다. 조금만 알아도 식자행세하며 나서는 세상이 작가는 싫다. 유교의 역사를 소설로 쓴 것도 지식자랑을 하고 싶어서가 아니다. 그보다는 작가로서의 다짐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들수록 시대와 함께 가는 작가가 되겠다는 게 그의 소망이다.
돌이켜보면, 그때그때 생각한 걸 토해낼 수 있는 힘과 그런 기회와 능력을 주신 하느님이 감사할 뿐이다. 해방둥이로 태어나 고등학교 2학년 때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한 뒤로 예순이 되는 올해까지 『깊고 푸른 밤』, 『별들의 고향』 등이 영화화 되어 많은 인기를 누렸고, 근래에는 TV 드라마 『상도』, 『해신』의 원작자로 베스트셀러 행진을 계속했다. 하도 피임을 안 해서 자식이 몇인지 모른다고 우스개 소리를 하는 다작가(多作家)인데 놀랍게도 그는 만년필만 고집한다. “나는 아직도 원고지에 또박또박 한 걸음씩 걸어가는 그 과정이 좋아요. 컴퓨터로 ‘차라락~’ 속도감있게 나가는 게 싫고. 또 한가지는 가끔 젊은 사람들 글을 읽으면 컴퓨터 냄새가 나요. 그게 뭐냐면 매끈매끈하지만 성형수술한 것 같은, 화장한 것 같은. 왠지 독창성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
소설가로서 그의 남다른 점은 이뿐이 아니다. 벌써 몇 십년째 월간 『샘터』에 가족소설을 기고하고 있는 것. 집식구들을 소재로 하여 웬만한 사람은 그의 아들 딸인 “다혜”와 “도단”이를 알고 있다. 시시콜콜 집안 이야기를 늘어놓는 통에 시집간 딸에게 된통 혼난 일도 있건만 그는 앞으로도 가족소설을 계속 쓸 생각이다. “많은 사람들은 결혼생활 한지 2-3년만 되면 자기 가족을 속 다 파먹은 김장김치처럼 생각하는데, 내게 있어서 가정은 항상 새롭고 퍼도 퍼도 매마르지 않는 샘 같아요. 가족이야말로 가장 감동적인 기적의 현장이잖아요? 난 그렇게 생각해요. 그 사소한 기적의 현장을 언제나 새로운 눈으로 보려고 하지 않는다면 우리 가족이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그래서 그 소설을 쓰고 있어요.” 아주 당연한 얘기 같지만, 그렇게 되지 않는 자화상에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작가는 『유림』덕분에 매일 가는 청계산 등산도 며칠 걸렀다. 인터뷰 하는 중에도 ‘TV, 책을 말하다’ 방송 준비상황을 체크하느라 분주했다. 공자님 말씀에 귀가 듣는 대로 순조롭게 이해하는 나이라던 이순(耳順)에도 그는 이렇게 바쁘다. 마지막으로 ‘문단 후배들에게 한마디’를 주문하자, 분신인형을 만들어 괴롭히고 싶을 만큼 질투나는 젊은이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한다. 어쩌면 겉모습은커녕 마음 속까지 늙지 않는 걸까. ‘만년청년작가’라는 별칭 그대로다.
요새 사람들 눈에 유교가 고루하고 시대착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면 그건 거짓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제사를 지내고,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이처럼 유교는 사라졌지만 우리민족의 무의식에 끼친 영향은 대단하다. 『미실』이나 『달의 제단』 같은 소설이 나오고, 그에 대한 상찬과 비난이 동시에 쏟아지는 현실이 이를 반증하지 않는가. 여전히 유교는 힘이 세고, 그만큼 미움도 많이 받고 있는데 작가는 담담하게 말한다. “어쨌든 간에 사람 아니요. 인간이 도대체 어떻게 살아야 옳을 것인가. 그리고 왜 사는가에 대해서 우리가 좀 깊은 생각을 해봐야 하지 않겠나”.
『유림』은 호(好), 불호(不好)가 분명한 소설이다. 이럴 때는 작가도 내심 독자들의 반응이 궁금할 것 같다. 이미 열렬한 반응을 보여준 독자도 있고, 미심쩍은 눈초리를 보낸 독자도 있다. 하지만 작가는 알고 있다. 과거의 베스트셀러만 믿고 지금 쓰지 않는다면, 독자들에게서 영영 잊혀지고 말 것임을. 이순의 나이에도 파이팅하는 그가 그래서 멋지다.
|
작가 최인호는 1970년대 청년 문화의 중심에 선 작가다. 세련된 문체로 '도시 문학'의 지평을 넓히며 그 가능성을 탐색한 그는 황석영, 조세희와는 또다른 측면에서 1970년대를 자신의 연대로 평정했다. 1973년 스물여덟의 나이에 <조선일보>에 연재한 『별들의 고향』은 이장호 감독에 의해 영화로도 만들어져 큰 인기를 모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일간지와 여성지 등을 통해 『적도의 꽃』, 『고래 사냥』, 『물 위의 사막』, 『겨울 나그네』, 『잃어버린 왕국』, 『불새』, 『왕도의 비밀』, 『길 없는 길』등을 선보이며 지칠줄 모르는 생산력과 대중장악력을 보여주었으며, 2001년 『상도』에 이어 최근에는 『해신』이 TV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1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napbock
200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