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탄주 기원은 한국이 아니라 미국?
우리나라는 조선 시대 말 막걸리에 소주를 섞어 마시는 폭탄주 문화가 있었다. 1837년 문헌 《양주방》에 따르면, 따뜻한 막걸리 한 사발에 (증류식) 소주 한 잔을 부은 다음 소주가 맑게 위로 떠오르면 마셨다.
글ㆍ사진 채널예스
2011.12.23
작게
크게
 
비즈니스를 위한 상식 시리즈
박영수, 정재학 | 추수밭
지적인 비즈니스맨의 마지막 1%지식을 채워준다!
인문학 열풍이 불고, 기업에서도 인문경영이 강조되는 추세다. 그러나 바쁜 직장인들은 두꺼운 인문서를 읽을 시간도 빠듯할 뿐 아니라, 책에서 얻은 지식을 실질적으로 업무에 바로 써먹을 수 없음에 갈증을 느낀다. 이 시리즈는 바로 이러한 이들을 위해 등장한 신개념 지식실용서다. 인문?교양 지식을 비즈니스 상황별로 재구성해 업무 현장에서 바로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비즈니스를 위한 역사상식』, 『비즈니스를 위한 명언상식』, 『비즈니스를 위한 법칙상식』, 『비즈니스를 위한 세계문화상식』등 네 권이 출간됐다.

폭탄주는 맥주잔 속에 양주잔을 넣어 섞어 마시는 것으로, 흔히 한국산 혼합 독주로 아는 이가 많지만 그 원조는 서양이다. 19세기경 탄광과 부두 노동자들이 빨리 취하려고 술을 섞어 마신 게 시작이다.

미국에서는 맥주를 섞은 위스키를 ‘보일러메이커(boilermaker)’라고 부르는데, ‘온몸을 취기로 달아오르게 하는 술’이란 뜻이다. 비교적 싼값에 빨리 취한다는 장점 때문에, 19세기 말 벌목장이나 제철 공장 노동자들이 즐겨 마시면서 가난한 일꾼들의 생활고와 시름을 달래주는 술로 애용되었다. 그 무렵 보일러메이커는 두 가지 방식이 있었는데, 먼저 맥주를 마시고 이어 양주를 잇달아 마시는 방법과 큰 맥주잔에 작은 위스키 잔을 넣어 섞어 마시는 방법이었다. 지금 우리의 폭탄주 제조법이 어디에서 왔는지 보여준다.

러시아에도 맥주잔 속에 보드카 잔을 넣어 마시는 ‘요르쉬’라는 전통 주법이 있다. 요르쉬는 볼가 강에 사는 독성 강한 물고기의 이름으로, 요르쉬의 술맛이 어떤지 대충 짐작이 갈 것이다.

우리나라는 조선 시대 말 막걸리에 소주를 섞어 마시는 폭탄주 문화가 있었다. 1837년 문헌 《양주방》에 따르면, 따뜻한 막걸리 한 사발에 (증류식) 소주 한 잔을 부은 다음 소주가 맑게 위로 떠오르면 마셨다. 이를 ‘혼돈주(混沌酒)’라고 했으며, 이때 넣는 소주가 붉은색이면 ‘자중홍(自中紅)’이라 했다. 근대 들어서는 소주에 맥주나 막걸리를 섞어 마시는 일이 가끔 있었으나 대체로 한 가지 술을 마셨다.
그러다 군인 정치가 득세한 1980년대에 폭탄주 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자, 우리 화끈하게 마셔 봅시다!”

1983년에 당시 박희태 춘천지검 검사장이 춘천 지역 검찰, 경찰, 안기부, 군인, 언론사 관계자와 술자리를 가졌는데, 그때 맥주잔에 위스키 잔을 떨어뜨려 마셨다. 그리고 그 술 이름을 ‘폭탄주’라 이름 붙였고 이후 빠른 속도로 퍼져나갔다고 한다.

이후 음주 사회 전반에 걸쳐 폭탄주 문화가 퍼졌고, ‘원자폭탄주’, ‘수소폭탄주’, ‘회오리주’ 등 갖가지 이름의 변형 폭탄주가 연이어 등장해 술자리 분위기를 띄웠다. 게다가 1984년 국내 위스키 3사가 원액 함량 100% 위스키를 개발하여 폭탄주 문화에 불을 지폈다. 위스키로 대표되는 양주가 흔해지자, 양주를 대량으로 마시거나 맥주와 섞어 폭탄주를 마시게 된 것이다.

폭탄주는 제조하고 마시는 과정에서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까닭에 여전히 주류 사회에서 사랑받고 있다. 하지만 돌아가며 마시거나 모두 한꺼번에 마셔야 한다는 불문율 때문에 체질적으로 술에 약한 사람에게는 여간 고역이 아니다. 그러나 상대에게 잔을 받으면 돌려주는 게 예의인 한국 특유의 음주 문화를 생각하면, 회식 자리에서 폭탄주를 동시에 마실 경우 일일이 상대하지 않아도 되니 오히려 술을 적게 마시는 장점도 있다.


 


 
#비즈니스 #역사 #술
8의 댓글
User Avatar

prognose

2012.03.10

폭탄주에도 역사가 있었군요. 재미있었어요. 다만 역시 억지로 술 마시게 하는 문화는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답글
0
0
User Avatar

천사

2012.02.23

외국인들중에 한국하면 폭탄주가 떠오른다고 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데, 이런 폭탄주의 원조가 우리나라가 아니고 서양이었군요. 빨리 취하기 위해서 폭탄주를 마신다는 점에 있어서는 서로 비슷하네요. 그래도 건강을 위한 측면과 바른 음주문화를 위해서도 폭탄주를 줄여야 하겠지요.
답글
0
0
User Avatar

구름고양이

2012.01.21

오..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 볼 때 '혼돈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궁금했었는데 덕분에 알고 가네요. 도수도 엄청 강하다고 하던데 가격 보고 뜨악했던.. 그게 어째서 서민의 술이냐! 라고 따지고 싶었던 가격대 ㅋㅋㅋㅋ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비즈니스를 위한 역사상식

<박영수> 저/<강모림> 그림

비즈니스를 위한 명언상식

<박영수>

출판사 | 추수밭

비즈니스를 위한 법칙상식

<정재학>

출판사 | 추수밭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