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 디엠씨(Run-DMC), 랩의 메인스트림 입성을 공표하다
음반이 나온 지도 어느덧 20년의 세월로 치닫고 있지만 사람들은 지금도 힙합을 논하는 자리에선 어김없이 을 필수(아니면 교양) 코스로 언급하곤 한다. 비단 후대의 랩 가수들뿐만 아니라 록 뮤지션들 사이에서도 음악적 소재로 끊임없이 회자됐다.
2013.07.01
작게
크게
공유
1986년, 랩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가치 체계를 뒤집어 놓는 중대한 사건이 일어납니다. 랩과 로큰롤의 크로스오버 곡인 런 DMC의「Walk this way」가 엄청난 성공을 거둔 것이죠. 이로써 랩은 이른바 ‘주류 음악’의 궤도 안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런 DMC 이제는 ‘힙합의 전설’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Walk this way」가 수록되어있는 이들의 세 번째 앨범, 을 소개해드립니다.
런 디엠씨(Run-DMC) 1986
“로큰롤과 랩의 하이브리드를 개척한 최초의 주류 성공작”
힙합 트리오 런 DMC의 멤버 잼 마스터 제이(Jam Master J)가 2002년 10월30일 뉴욕 퀸즈의 한 녹음실에서 괴한이 쏜 총탄을 맞고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갱스터 래퍼 투팍과 비기 사후 새 천년 또 다시 터진 비보라서 당시 팝계의 ‘데드 쇼크(Dead Shock)’는 더없이 컸다. 결국 동료 런(조셉 시몬즈)와 디엠시(대릴 맥다니엘스)는 활동 18년 간 힙합 음악을 대변해주던 소속 팀 런 DMC의 해산을 선언했고, 그 날의 악몽은 지금까지도 ‘힙합 세계의 3대 비극’으로 기록됐다.
이제 ‘힙합의 전설’로 남은 런 DMC의 존재를 알기 위해선 과연 그들이 과거 힙합계에서 어떤 위상을 점했는지를 먼저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다양한 랩 선구자들이 1980년대 힙합 문화를 꽃피웠지만, 왜 그중에서 하필 런 DMC를 그 선봉에 올려놓는지를 이해해야만 하는 까닭이다.
런 DMC는 힙합의 프로그레시브에 앞장선 선두주자였다.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백인들은 랩을 음악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며 아예 듣기조차 거부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다. 다시 말해 백인사회에 흑인들의 랩송이 어떻게 비춰졌는지는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엄밀히 말해 랩의 기존 가치와 체계를 송두리째 뒤바꾼 결정적 사건은 1986년에 가서야 일어난다. 그해에 그 진화를 실현한 ‘신선한 창조물’이 출현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록 밴드 에어로스미스의 오리지널을 샘플로 가져다가 랩으로 커버한 런 DMC의 곡 「Walk this way」였다. 백인의 하드록과 흑인 랩의 크로스오버, 그 장르 간 제휴는 마침내 외면 받아오던 랩의 주류 궤도 안착을 가져온 것이다. 이 곡이 담긴 런 DMC의 3집 앨범 이 갖는 시대성은 바로 거기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랩 가수 최초로 크로스오버를 향한 실험이자 랩의 메인스트림 입성을 공표한 청사진이었다. ‘힙합의 권리 쟁탈’이랄까. 즉 런 DMC의 성공은 그간 지하세계에서 햇살을 보지 못한 어둠의 자식들(랩 가수들)이 하나둘씩 바깥세상으로 나와 마침내 창궐하는 시대적 분위기를 주조했다.
그 후 런 DMC는 ‘랩과 록(메탈)의 퓨전’을 하고자한 이들의 선구적 역할모델이 됐다. 시기적으로 랩 록(랩 메탈)을 노래한 랩 가수는 런 DMC 이전엔 없었다. 특히 의 성공은 이듬해 수면위로 부상하는 백인 랩 트리오 비스티 보이스와 퍼블릭 에너미의 리더 척 디(Chuck D)의 사상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우리의 서태지와 아이들에게도…)
음악적 성과 외에도 상업적 측면에서 은 랩 음악의 비전을 한 차원 끌어올렸다. 이전까지만 해도 흑인들의 랩은 언더그라운드 댄스뮤직에 국한되는 수준이었다. 궁극적으로 런 DMC를 언급할 수밖에 없는 것은 랩 아티스트 중 가장 먼저 주류에서의 성공을 일궈냈기 때문이다.
「Walk this way」는 빌보드 싱글 차트 톱 텐(4위)에 진입한 최초의 랩 음악으로 기록됐고, R&B/힙합 차트 1위, 팝 차트 6위라는 쾌거를 달성한 은 미국에서 3백만 장 이상 팔려나가며 랩의 일대 진전을 이룩했다. 이때까지 보다 더 많이 팔린 힙합 앨범은 없었다.
명백히 따진다면 런 DMC는 마이클 잭슨, 프린스 등과 함께 비주얼 산업을 부각시킨 MTV의 수혜자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1980년대 흑인 스타덤을 대표한다. 「Walk this way」의 뮤직 비디오가 MTV에서 최초로 방송된 랩송이라는 사실이 시사한다.
커다란 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방이 있다. 한쪽 방에선 에어로스미스의 스티븐 타일러와 조 페리와 있고, 다른 방에선 런 DMC가 에어로스미스의 곡을 틀어놓고 요상하게 랩을 내뱉는다. 스티븐 타일러는 옆방에서 누군가가 자신들의 곡을 가지고 장난처럼 부르는 게 화가 난 듯 마이크 대를 가지고 벽을 부수고 직접 노래로 응수한다.
이 장면은 흑인과 백인 사이를 가로막던 장르간의 장벽이 허물어지는 순간을 유쾌하게 은유했다. 결국 에어로스미스와 런 DMC가 서로 협연하게 되는 이 비디오 클립은 즉각적인 화제를 뿌렸고 오늘날까지 ‘웰메이드 뮤비’의 클래식으로 남아 있다.
슈퍼 싱글이라고 할 「Walk this way」는 입이 아플 정도로 실로 많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전까지 백인들의 귀에 엄청난 볼륨 터치와 파괴력을 선사한 랩은 없었으며 이 곡에 의해 백인 음악 팬들마저도 랩의 마력에 흡수된다. 이 곡이 가져다준 성공으로 런 DMC는 랩 아티스트 최초로 전통의 록 전문지 《롤링스톤》의 표지모델로 등장하게 된다. 이후 「Walk this way」는 1993년 《롤링스톤》 선정 ‘뮤직 비디오 Top 100’에서 11위에 랭크됐으며 1999년 MTV가 뽑은 ‘위대한 뮤직 비디오 100곡’ 순위에선 5위에 오르는 등 갈수록 의의를 축적했다.
1987년 3월 랩 음반 최초로 앨범 차트 1위에 오른 비스티 보이스의 기념비적인 데뷔작 의 스매시 히트는 이 결정적 토대를 마련해준 것이다. 두 장 모두 폭발적 인기를 거둠에 따라 그 해 여름 런 DMC와 비스티 보이스가 합동 투어를 가진 ‘랩 록 퍼포먼스’를 두고 2004년 6월 《롤링스톤》지는 ‘로큰롤 역사를 바꾼 50가지 순간’ 중 하나로 그 역사성을 부여했다.
비스트 보이스의 마이크 디(Mike D)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술회했다. “대형 힙합 쇼는 그때가 첫 번째였으며 마치 스틱스 공연 같았다” 그런 랩과 록의 경계선을 허무는 데는 메탈 애호가였던 프로듀서 릭 루빈(Rick Rubin)이 구사한 합종연횡, 즉 하이브리드의 문법이 결정적이었다.
그와 함께 조셉의 친형 러셀 시몬즈(릭 루빈과 함께 힙합 명가 ‘데프 잼’의 공동 설립자)가 공동 프로듀싱한 내용물은 「Walk this way」 외에도 히트 싱글 「My Adidas」(R&B 차트 5위), 「You be illin'」(R&B 차트 12위), 내크(The Knack)의 곡 「My sharona」의 기타 리프를 빌려온 「It's tricky」(R&B 차트 21위) 등 세기말 트렌드를 장식한 하드코어 랩 록의 전초전을 보는 듯 그 선견지명이 돋보인다.
물론 이 랩과 록의 퓨전을 이룩한 최초의 결과물은 아니다. 시기적으로 따지자면 전작 (1985)이 먼저 랩과 록의 화학적 결합을 시도한다. 하지만 싱글 「King of rock」은 준(準)히트에 머물렀고, 음반 역시 최고 순위 52위에 그쳤다. 그 무렵 10대의 나이에 ‘데프 잼’과 계약하고 공개된 엘엘 쿨 제이(LL Cool J)의 데뷔 앨범 역시 마찬가지. 앨범차트 46위에 머물렀다.
정치, 사회적 메시지로 평가를 내린다면 동부의 혁명아 퍼플릭 에너미나 서부 갱스터 랩의 원조 N.W.A에 좀 더 밀린다. 런 DMC의 진가는 뒤에 등장하는 랩 공동체의 메인스트림 진입을 향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사실, 랩 주조에 있어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는 사실에 놓인다.
10년 뒤 랩 록(메탈)을 노래하며 돈방석에 오른 하드코어 뮤지션들, 이를테면 콘과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림프 비즈킷, 키드 록의 성공 비법은 바로 의 개척 정신을 수계(受繼)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힙합 역사상 보다 이른 시기에 나온 랩 앨범 중 더 높은 평가를 받는 작품은 없다.
음반이 나온 지도 어느덧 20년의 세월로 치닫고 있지만 사람들은 지금도 힙합을 논하는 자리에선 어김없이 을 필수(아니면 교양) 코스로 언급하곤 한다. 비단 후대의 랩 가수들뿐만 아니라 록 뮤지션들 사이에서도 음악적 소재로 끊임없이 회자됐다. 로큰롤과 랩의 크로스오버, 그 하나만으로도 정말 대단한 가치를 발하고 고도의 위상을 점하는 힙합 앨범이다.
런 디엠씨(Run-DMC)
“로큰롤과 랩의 하이브리드를 개척한 최초의 주류 성공작”
힙합 트리오 런 DMC의 멤버 잼 마스터 제이(Jam Master J)가 2002년 10월30일 뉴욕 퀸즈의 한 녹음실에서 괴한이 쏜 총탄을 맞고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갱스터 래퍼 투팍과 비기 사후 새 천년 또 다시 터진 비보라서 당시 팝계의 ‘데드 쇼크(Dead Shock)’는 더없이 컸다. 결국 동료 런(조셉 시몬즈)와 디엠시(대릴 맥다니엘스)는 활동 18년 간 힙합 음악을 대변해주던 소속 팀 런 DMC의 해산을 선언했고, 그 날의 악몽은 지금까지도 ‘힙합 세계의 3대 비극’으로 기록됐다.
이제 ‘힙합의 전설’로 남은 런 DMC의 존재를 알기 위해선 과연 그들이 과거 힙합계에서 어떤 위상을 점했는지를 먼저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다양한 랩 선구자들이 1980년대 힙합 문화를 꽃피웠지만, 왜 그중에서 하필 런 DMC를 그 선봉에 올려놓는지를 이해해야만 하는 까닭이다.
런 DMC는 힙합의 프로그레시브에 앞장선 선두주자였다.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백인들은 랩을 음악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며 아예 듣기조차 거부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다. 다시 말해 백인사회에 흑인들의 랩송이 어떻게 비춰졌는지는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다시 말해 랩 가수 최초로 크로스오버를 향한 실험이자 랩의 메인스트림 입성을 공표한 청사진이었다. ‘힙합의 권리 쟁탈’이랄까. 즉 런 DMC의 성공은 그간 지하세계에서 햇살을 보지 못한 어둠의 자식들(랩 가수들)이 하나둘씩 바깥세상으로 나와 마침내 창궐하는 시대적 분위기를 주조했다.
그 후 런 DMC는 ‘랩과 록(메탈)의 퓨전’을 하고자한 이들의 선구적 역할모델이 됐다. 시기적으로 랩 록(랩 메탈)을 노래한 랩 가수는 런 DMC 이전엔 없었다. 특히
음악적 성과 외에도 상업적 측면에서
「Walk this way」는 빌보드 싱글 차트 톱 텐(4위)에 진입한 최초의 랩 음악으로 기록됐고, R&B/힙합 차트 1위, 팝 차트 6위라는 쾌거를 달성한
명백히 따진다면 런 DMC는 마이클 잭슨, 프린스 등과 함께 비주얼 산업을 부각시킨 MTV의 수혜자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1980년대 흑인 스타덤을 대표한다. 「Walk this way」의 뮤직 비디오가 MTV에서 최초로 방송된 랩송이라는 사실이 시사한다.
커다란 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방이 있다. 한쪽 방에선 에어로스미스의 스티븐 타일러와 조 페리와 있고, 다른 방에선 런 DMC가 에어로스미스의 곡을 틀어놓고 요상하게 랩을 내뱉는다. 스티븐 타일러는 옆방에서 누군가가 자신들의 곡을 가지고 장난처럼 부르는 게 화가 난 듯 마이크 대를 가지고 벽을 부수고 직접 노래로 응수한다.
이 장면은 흑인과 백인 사이를 가로막던 장르간의 장벽이 허물어지는 순간을 유쾌하게 은유했다. 결국 에어로스미스와 런 DMC가 서로 협연하게 되는 이 비디오 클립은 즉각적인 화제를 뿌렸고 오늘날까지 ‘웰메이드 뮤비’의 클래식으로 남아 있다.
슈퍼 싱글이라고 할 「Walk this way」는 입이 아플 정도로 실로 많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전까지 백인들의 귀에 엄청난 볼륨 터치와 파괴력을 선사한 랩은 없었으며 이 곡에 의해 백인 음악 팬들마저도 랩의 마력에 흡수된다. 이 곡이 가져다준 성공으로 런 DMC는 랩 아티스트 최초로 전통의 록 전문지 《롤링스톤》의 표지모델로 등장하게 된다. 이후 「Walk this way」는 1993년 《롤링스톤》 선정 ‘뮤직 비디오 Top 100’에서 11위에 랭크됐으며 1999년 MTV가 뽑은 ‘위대한 뮤직 비디오 100곡’ 순위에선 5위에 오르는 등 갈수록 의의를 축적했다.
1987년 3월 랩 음반 최초로 앨범 차트 1위에 오른 비스티 보이스의 기념비적인 데뷔작
비스트 보이스의 마이크 디(Mike D)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술회했다. “대형 힙합 쇼는 그때가 첫 번째였으며 마치 스틱스 공연 같았다” 그런 랩과 록의 경계선을 허무는 데는 메탈 애호가였던 프로듀서 릭 루빈(Rick Rubin)이 구사한 합종연횡, 즉 하이브리드의 문법이 결정적이었다.
그와 함께 조셉의 친형 러셀 시몬즈(릭 루빈과 함께 힙합 명가 ‘데프 잼’의 공동 설립자)가 공동 프로듀싱한 내용물은 「Walk this way」 외에도 히트 싱글 「My Adidas」(R&B 차트 5위), 「You be illin'」(R&B 차트 12위), 내크(The Knack)의 곡 「My sharona」의 기타 리프를 빌려온 「It's tricky」(R&B 차트 21위) 등 세기말 트렌드를 장식한 하드코어 랩 록의 전초전을 보는 듯 그 선견지명이 돋보인다.
물론
정치, 사회적 메시지로 평가를 내린다면 동부의 혁명아 퍼플릭 에너미나 서부 갱스터 랩의 원조 N.W.A에 좀 더 밀린다. 런 DMC의 진가는 뒤에 등장하는 랩 공동체의 메인스트림 진입을 향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사실, 랩 주조에 있어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는 사실에 놓인다.
10년 뒤 랩 록(메탈)을 노래하며 돈방석에 오른 하드코어 뮤지션들, 이를테면 콘과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림프 비즈킷, 키드 록의 성공 비법은 바로
음반이 나온 지도 어느덧 20년의 세월로 치닫고 있지만 사람들은 지금도 힙합을 논하는 자리에선 어김없이
글/ 김獨(quincyjones@hanmail.net)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1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뽀로리
201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