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_ unsplash
여름밤이었다. 맥주나 한 잔 할까 싶었다. 쿡티비로 영화나 한 편 보면서 마셔야지, 하면서 안주거리를 주섬주섬 챙기고 있자니 남편이 말을 섞는다.
“그때 그 고로쇠술 마셔봐.”
며칠 전 아버님이 챙겨주셨다며 시댁에서 들고 온 술이었다.
“나도 한 잔만 하고. 독한 거야. 많이 마시면 내일 출근 못해.”
페트병에는 ‘지리산 호랑이 고로쇠’라는 라벨이 붙어 있었고 채취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도 쓰여 있었다. 고로쇠 수액 100%라는 글씨도 선명했다.
“이거 고로쇠 수액 아니야? 술이란 말 없는데?”
내가 물었지만 남편은 단호했다.
“아냐, 그거 술이야. 아버지네서 한 잔 마셔봤는데 진짜 머리가 막 어지러웠어.”
오랜만에 둘이 앉아 술을 마시게 된 터라 오징어 두 마리를 꺼내 데쳤다. 뜨거운 오징어를 잘게 썰고 초고추장도 종지에 덜고 잔 두 개를 꺼냈다.
“뭐야, 하나도 안 독한데?”
정말 하나도 독하지 않았다. 살짝 동동주 맛이 나는가 싶기도 했지만 밍밍한 술이었다.
“그러네. 아버지네서 마실 땐 독했는데. 그래도 조심해. 언제 죽을지 몰라.”
그래서 조심조심 마셨다. 큰 페트병 반을 비웠다. 딱 한 잔만 마시겠다던 남편도 계속 마셨다. 오징어숙회도 다 집어먹고 배도 부를 대로 불러서 그만 잘까 싶은데 남편이 문득 생각난 사람처럼 말했다.
“이거…… 술 아닌가봐.”
“응?”
“술 아니고 그냥 고로쇠 물인가봐,”
나는 흠칫 놀랐다. 그러고 보니 술이라고 마시긴 했지만 술기운도 없었고 취하지도 않았고 그저 배만 불렀던 것이다.
“정말 그냥 고로쇠물인 거 아냐? 그걸 술인 줄 알고 이만큼이나 먹은 거야, 우리가?”
술상을 치우다 말고 우리는 한참 서로를 쳐다보았다. 아버님이 술이라고 해서 술인 줄 알기는 했지만 사실 술이라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었다. 앞서 말했듯 페트병에는 고로쇠수액 100%라고 쓰여 있었고, 그 100% 수액으로 어떤 방식으로든 술을 빚었을 거라고 생각한 건 그냥 우리만의 짐작이었을 뿐이었다. 그리고 그게 술이었건 술이 아니었건 우리가 기가 막혔던 건, 반병을 다 마시고 난 다음에도 우리는 여전히 그게 술인지 아닌지 모른다는 사실이었다. 아니, 그건 너무 바보 같은 거 아닌가 말이다.
“그러니까, 이게 술이라는 거야? 아니라는 거야? 진짜 모르겠어?”
우리는 서로에게 재차 물었지만 둘 다 제대로 대답을 할 수 없었다. 정말 몰랐기 때문이었다. 생각해보니 그전에는 고로쇠물을 먹어본 적도 없었다. 그게 술이건 고로쇠물이건 간에, 그게 술인지 고로쇠물인지도 모르고 몇 시간 동안 홀짝홀짝 마셔댄 바보들이라니. 그게 말이나 되는 소리인가. 그게 술인지 고로쇠물인지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았다. 술인 줄 알고 캬아, 좋아, 떠들며 마셔댄 둘 다 진짜 바보 같아서 우리는 반이나 비운 페트병만 한참을 쏘아보았다.
“아냐, 술이긴 한 거 같아. 쫌 핑 돌아.”
“난 안 돌아.”
“설마. 술이겠지.”
“아닌 거 같아. 우리 바보 같아.”
그런 모자란 대화를 하며 우리는 잠자리에 들었다. 아침에 일어났지만 숙취도 없었으니 진짜 고로쇠물인 모양이었다.
권여선의 소설 『안녕 주정뱅이』에는 주정뱅이들이 여럿 등장한다. 하나같이 사랑스럽고 하나같이 슬퍼서 아이고, 저 한심한 주정뱅이들! 이라고 욕도 못 한다. 그들이 들려주는 주정의 역사와 핑계가 어찌 그리 안쓰럽고 다정한지 나도 슬그머니 그들 사이에 엉덩이를 들이밀고 소주 한 잔 들이켜고 싶어지는 것이다. 작가 말고, 그 주인공들을 진짜 만날 수만 있다면 내가 돼지껍데기도, 청양고추 송송 썰어 넣은 빈대떡도 사줄 수 있는데. 그럴 수 있는데.
-
안녕 주정뱅이 권여선 저 | 창비
이해되지 않는, 그러면서도 쉽사리 잊히지 않는 지난 삶의 불가해한 장면을 잡아채는 선명하고도 서늘한 문장으로 삶의 비의를 그려낸다. 인생이 던지는 지독한 농담이 인간을 벼랑 끝까지 밀어뜨릴 때, 인간은 어떠한 방식으로 그 불행을 견뎌낼 수 있을까.
김서령(소설가)
1974년생. 2003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소설집 『작은 토끼야 들어와 편히 쉬어라』, 『어디로 갈까요』와 장편소설 『티타티타』, 그리고 산문집 『우리에겐 일요일이 필요해』를 출간했으며 번역한 책으로 『빨강 머리 앤』이 있다.
문장
2017.08.08
PiaNiCa
2017.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