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명 칼럼] 헌신할 수 있는 직업
[장강명 칼럼] 헌신할 수 있는 직업 나는 다음날 “그냥 제가 소설가로 살다가 겪는 일들, 글 쓰거나 출판 관계자들 만나서 겪는 소소한 해프닝 같은 것들을 써보면 어떨까요” 하고 메일을 보냈다. 2021.11.02 장강명(소설가)
장강명의소설가라는이상한직업 불쉿잡 부모와다른아이들 64육사 장강명칼럼 예스24 채널예스 직업 소설가
오연경 “연애하듯 육아할 수 없을까요?”
오연경 “연애하듯 육아할 수 없을까요?” 연애와 육아의 공통점은 교사로 아이들을 만날 때 처음 느꼈습니다. 작은 관심과 표현만으로도 아이의 표정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고 아이들이 주는 사랑이 정말 크더라고요. 2021.07.21 출판사 제공
오연경 아이가 원하는 것을 모른 채 부모는 하고 싶은 말만 한다 채널예스인터뷰 추천도서 채널예스 예스24 7문7답
박인만 “효도라는 말이 버거운 당신에게”
박인만 “효도라는 말이 버거운 당신에게” 이제는 효도를 더 이상 버거워 마세요. 지금 당장 부모님께 전화를 걸어 당신의 일상을 공유해 보세요. 2020.09.14 출판사 제공
좋은 부모 다시 태어나도 제 부모님이 돼 주실 수 있나요? 박인만 효도 인터뷰 에세이
[부모는 쉽게 가르치고 아이는 바로 이해하는 초등수학] 집에서 초등 수학을 쉽게 가르치는 방법!
[부모는 쉽게 가르치고 아이는 바로 이해하는 초등수학] 집에서 초등 수학을 쉽게 가르치는 방법! 유대인 수학 교수가 집에서 수학을 가르치는 가장 쉬운 방법을 알려 준다. 엄마표로 가르치고 싶어도 쉽사리 엄두가 나지 않던 부모도 부담 없이 실천하여 초등 수학의 기초 개념을 탄탄하게 잡아 주는 방법을 알려 준다. 2020.07.22 출판사 제공
부모는 쉽게 가르치고 아이는 바로 이해하는 초등수학 초등 수학 엄마표 수학의 기초
[이수련의 엇갈린 관계] 훈육에서 부모가 오해하는 것
[이수련의 엇갈린 관계] 훈육에서 부모가 오해하는 것 아이의 사회화, 아이의 규율화를 안내하고 싶은 부모라면 무엇보다 먼저 약속할 줄 알고, 그것을 지킬 줄 아는 부모로서, 아이에게 말의 선행이 어떻게 구체적인 현실을 만들어내고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지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2020.07.06 이수련(정신분석학 박사)
부모 아이의 사회화 아이의 규율화 가벼움의 시대
[물이 되는 꿈] 수채화로 피어나는 맑고 파란 세상
[물이 되는 꿈] 수채화로 피어나는 맑고 파란 세상 아이와 부모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더욱 반갑다. 노랫말이 멋진 그림이 되어 펼쳐지는 특별한 그림책으로 아이와 기억에 남을 소중한 시간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2020.05.07 출판사 제공
물이 되는 꿈 파란 세상 아이와 부모 수채화
[나도, 에세이스트] 5월 우수상 - 엄마, 바질페스토는 말이야
[나도, 에세이스트] 5월 우수상 - 엄마, 바질페스토는 말이야 엄마가 처음 맛보는 걸 해주고 싶었다. 밥 말고 김치 말고 된장찌개 말고. 먼 이국의 이름이 담긴 음식을. 2020.05.04 제선영
부모님께 5월 우수상 바질페스토 나도 에세이스트
[부모와 아이의 소통일기] 서로가 나눌 수 있는 최고의 선물
[부모와 아이의 소통일기] 서로가 나눌 수 있는 최고의 선물 아이 셋을 키우는 다정한 육아 대디이기도 한 그는 ‘사랑에도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2019.11.08 출판사 제공
부모와 아이의 소통일기 질문력 이해하는 마음 상상력
바보라는 말은 나만 할 수 있어
바보라는 말은 나만 할 수 있어 딸이 엄마를 부모의 마음으로 대한다니 조금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그리고 나도 상상하지 못했지만, 어느 순간부터 그랬다. 내가 엄마의 보호자가 되어 있었다. 2019.10.25 이정연(도서MD)
부양일기 마음 부모 엄마
이임숙 “부모의 피드백이 마음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임숙 “부모의 피드백이 마음의 방향을 결정한다” 부모 역할의 개념을 바꾸면 가능해요. 아이의 행동을 지적하는 게 부모의 역할이 아니거든요. 아이가 잘 웃고 행복해 하는 시간을 만들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가능한 일이에요. 2019.08.27 엄지혜
부모 피드백 이임숙 작가 아이의 방문을 열기 전에
좋은 부모가 아니라서 아이에게 죄책감이 느껴진다면
좋은 부모가 아니라서 아이에게 죄책감이 느껴진다면 완벽한 부모 아래서 자라면 아이가 과연 행복할까요? 아이는 부모의 허술한 면, 완벽하지 못한 모습을 보고 실망하기도 하죠. 하지만 그때부터 크게 성장합니다. 2019.07.16 이다랑 (육아상담 전문가)
죄책감 인공지능 아이 마음에 상처 주지 않는 습관 좋은 부모
언어치료사 이덕주 “스마트폰은 언어발달을 막는  무서운 도구”
언어치료사 이덕주 “스마트폰은 언어발달을 막는 무서운 도구” 스마트폰을 통해 미디어를 많이 보는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와 비교했을 때 언어치료에 있어서도 그 예후에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2019.07.05 출판사 제공
이덕주 언어치료사 말이 늦은 아이 속이 타는 부모 언어발달 스마트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