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은 조금만] 이충걸 에디터의 인생철학 인터뷰집
[질문은 조금만] 이충걸 에디터의 인생철학 인터뷰집 법륜, 강경화, 차준환, 강유미, 박정자, 장석주... 자부심과 번민의 언어로 쓰인 11인의 이야기 2023.02.06
인터뷰 이충걸 한겨레 채널예스 최백호 인생철학 예스24 카드뉴스 질문은조금만 강백호 법륜 강유미 정현채 강경화 진태옥 김대진 장석주 차준환 박정자 GQKOREA 이충걸의인터뷰
장석주, 전업작가로 산다는 것
장석주, 전업작가로 산다는 것 문학을 ‘눈부시고 찬란한 광채를 두른 어떤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을 좋아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문학으로 먹고사는 삶을 꿈꾼다면 단순히 글 쓰는 것을 좋아함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합니다. 2018.04.30
몸이 재산 장석주 작가 작가 문학
장석주 “시는 날것, 살아있는 것, 매번 새롭게 읽히는 것”
장석주 “시는 날것, 살아있는 것, 매번 새롭게 읽히는 것” 보통 시인들이 시집 한 권을 완성하는 데 짧게는 삼 년에서 보통 오 년, 길게는 십 년도 걸리거든요. 그걸 단숨에 집어 삼키려고 하면 안 돼요. 시인이 그것을 내놓기까지 창작과정에서 겪은 것들을 어렴풋하게나마 따라가면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2017.09.19
장석주 시인 은유의 힘
[유쾌한 인문, 발칙한 인문] 눕기의 즐거움과 생산성에 대하여
[유쾌한 인문, 발칙한 인문] 눕기의 즐거움과 생산성에 대하여 눕는 것은 신체에 쌓인 피로를 씻어내거나, 기분 전환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다. 사람은 때때로 기분 전환을 필요로 한다. 결국 눕기에 대한 숙고는 죽음에까지 뻗어간다. 직립보행을 하던 사람들은 죽은 뒤 아무 말없이 관 속에 수평 자세로 얌전하게 눕는다. 눕는 것은 죽은 자의 일이다. 무덤 속에는 얼마나 많은 자들이 누워 있는가! 눕기의 기술은 존재의 여러 기술들과 합쳐진다. 2015.11.06
장석주 채널특집 눕기의기술
침묵, 그 주변에서 서성거린 기록들
침묵, 그 주변에서 서성거린 기록들 시적 감성이 인문학적 통찰을 만나 황홀하게 피어난 산문들. 독자들을 매료하는 빼어난 감각과 밀도 있는 문장에 빠져들다 2014.04.08
도마뱀은 꼬리에 덧칠할 물감을 어디서 구할까 장석주
장석주 작가 “독창적이고 재밌는 책에 끌린다”
장석주 작가 “독창적이고 재밌는 책에 끌린다” “서재는 묵언을 실천하며 청정도량이자 수도원 같은 곳입니다. 저는 서재에서 침묵하고 명상하는 수도사와 같은 존재입니다. 서재에 이름을 붙인다면, ‘호접몽’이라고 붙이고 싶습니다.” 2013.12.03
장석주 마흔의 서재 일상의 인문학 이상과 모던뽀이들
말을 잃어가는 여자, 눈을 잃어가는 남자
말을 잃어가는 여자, 눈을 잃어가는 남자 『희랍어 시간』을 들여다보는 일은, 어떤 기미를 발견하고 흔적을 더듬는 일이다. 그리고 희미하게 떠오르는 그 기미와 흔적들은 어두운 암실, 정착액 속의 사진이 점점 선명하게 상을 만들어내듯 어느 순간 고대문자처럼 오래고 단단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것은 과거의 시간과, 그리고 현재까지 이어진 현재진행형의 시간까지를 포함한다. 우리는 이미 오래전에 존재하던 것들, 그 기미와 흔적들, 영원과도 같은 어떤 찰나들,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이 한 자리에서 만나는 어떤 한 장면을 소설을 통해 목격하게 될 것이다. 2013.10.08
희랍어 시간 노자 장석주 한강
지혜롭게 한 수를 놓듯 인생의 판을 채워라
지혜롭게 한 수를 놓듯 인생의 판을 채워라 이 책은 바둑을 잘 두기 위한 비법을 가르치는 게 그 목적이 아닙니다. 바둑을 두며 이삭처럼 주운 지혜들을 함께 나누고자 지은 책입니다. 바둑과 더불어 제가 옆에 끼고 읽어온 노장 사상과 다른 동양고전, 명저들에서 읽은 얘기들도 덧보탰습니다. 2013.09.04
인생의 한 수를 두다 장석주 바둑
[작가와의 만남] 느림과 비움, 그 아름다움의 본질을 찾아서 - 장석주 『느림과 비움의 미학』
[작가와의 만남] 느림과 비움, 그 아름다움의 본질을 찾아서 - 장석주 『느림과 비움의 미학』 느림과 비움이라는 제목은 슬로우 시티와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런 것은 아니다. 40대 사망자가 많은 우리나라엔 스트레스를 받으며 사는 사람들이 많다. 2010.08.12
장석주 느림과 비움의 미학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