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작가 특집] 김지연 “좋아하는 마음을 계속 간직하면서 쓸 수 있기를 바랍니다”
김지연 작가의 ‘처음과 시작’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글: 채널예스 사진: 김잔듸(516studio)
2025.06.18
작게
크게

2025 젊은 작가 특집

예스24는 매년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를 찾습니다. 올해는 20명의 작가를 후보로 6월 18일부터 7월 15일까지 투표를 진행합니다. 젊은 작가 20인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 볼까요?


 

작가님의 기억 속에 인상 깊게 남아 있는 첫 책은 무엇인가요?

첫 책은 당연히 아니겠지만, 국민학교를 다닐 때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좋아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자라면서 한 번씩 다시 꺼내 읽기도 했고요. 그때마다 감상이 달라지는 걸 느낍니다. 그래서 독서라는 건 자기가 소화할 수 있는 만큼, 자신만의 이야기로 다시 쓰는 일이기도 한 거구나 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첫 책을 출간하기 전에도 많은 이야기를 써오셨으리라 짐작합니다. 최초의 습작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최초의 습작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 처음 공모전에 도전했을 때의 기억을 떠올리려 해도 너무 오래전 일이라 잘 기억이 나지 않고요. 제가 처음에 대한 기억에 의미를 부여하고 오래 간직하는 유형의 사람이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지금도 새로운 소설을 쓸 때면 늘 매번 처음인 느낌이 들어서 더 그런 것 같기도 해요. 그래도 기억을 되짚어보자면 이십대 때 썼던 소설들이 생각나는데요. 그때도 열심히, 즐겁게 글을 썼지만 그때 쓴 소설들은 어디에도 공개하지 못하고 정말 습작으로만 남았습니다. 왜 그럴까를 생각해 보면 너무 하고 싶은 말이 많았고 힘을 빼는 법을 도무지 몰랐기 때문이었던 것 같기도 합니다. 

 

습작과 출간의 큰 차이 중 하나는 독자가 있다는 점 같습니다. 기억 속에 남아있는 독자와의 첫 접촉의 순간이 궁금합니다. 

단편소설 「작정기」로 문학동네신인상을 받게 되었을 때 수상 소식과 함께 실렸던 심사평이 저에게는 제 소설에 대한 첫 리뷰였습니다. 이제는 저를 모르는 사람들도 제 소설을 이런저런 방법으로 읽게 되리라는 예고편 같았습니다. 이후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졌고 좋은 평이든 나쁜 평이든 모두 저에게는 의미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제 막 글을 쓰기 시작한 분들에게 가장 전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글쓰기 재미있지 않나요? 분명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 시작한 것일 테고 그 이야기는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다른 누군가에게도 꼭 필요한 이야기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좋아하는 마음을 계속 간직하면서 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지금까지 출간한 작품 중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자꾸만 되돌아가게 되는 인물이나 작품이 있으신가요? 

『태초의 냄새』라는 중편소설이 있는데요. 코로나를 지나는 한 커플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입니다. 아쉬운 데가 있어 종종 그 이야기를 더 했어야 했는데…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는 쓰지 말았어야 했는데가 아니라 더 해야 할 이야기가 남아 있는데…인 점이 불행 중 다행인지도요. 

 

언젠가 꼭 한번 다뤄보고 싶은 소재나 인물이 있으신가요?
 명탐정이 등장하는 소설을 쓰고 싶다는 꿈을 늘 품고 있습니다. 

 

만약 평행 우주에서 작가가 아닌 다른 직업을 가질 수 있다면 어떤 직업을 갖고 싶으신가요?

어느 우주에서는 농부나 목수로 살아가고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평행 우주를 상상하면 늘 최악의 수도 함께 떠올리게 되고 말아서… 가능하면 그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 보지 않으려고 합니다. 

 

인류 멸망을 앞두고 지하 벙커에 도서관을 지을 예정입니다. 딱 세 권의 책을 보관할 수 있다면 어떤 책을 고르시겠습니까?

국어사전, 영어사전, 한자사전.


* AI 학습 데이터 활용 금지

0의 댓글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Writer Avatar

김잔듸(516studio)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