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금융위기의 첫 희생양, 아이슬란드
자국화폐의 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금융시장을 활짝 개방하고 모든 것을 자유화해 버린 대가를 치르고 있는 셈입니다.
글ㆍ사진 채널예스
2009.05.11
작게
크게
외로운 섬나라에 금융위기?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이슬란드가 어디에 있는지 그 위치조차 잘 모를 것입니다. 아이슬란드는 영국에서도 한참 떨어진 북대서양 북서쪽에 외로이 떠 있는 섬나라입니다. 이런 외지에 있는 나라가 미국발 금융위기의 첫 희생양이 됐습니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IMF로부터 21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받게 된 것이죠. 과연 금융위기가 전 세계 곳곳에 파급돼 얼마나 큰 영향을 주고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슬란드의 기적 혹은 거품

아이슬란드 국기
아이슬란드 국기에서 파란색은 하늘, 하얀색은 빙하, 십자는 그리스도교 국가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국기와 나라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추운 날씨와 척박한 땅 때문에 별다른 산업이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인구도 30만 명 정도에 불과하죠. 1980년대까지만 해도 어업이 아이슬란드의 가장 대표적인 산업이라고 할 정도로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습니다. 그러던 나라가 20여년 만에 국민소득 6만 달러, 삶의 질 1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로 올라섰습니다.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아이슬란드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 금융시장을 개방하고 각종 규제를 완화하면서 공격적인 금융정책을 폈습니다. 정부가 소유하던 상업은행들을 민영화하고 환율제도를 자유변동환율제로 바꾸는 등 금융시장 자유화를 확대해 나갔습니다. 아이슬란드는 바로 미국이 전 세계에 전파하던 ‘신자유주의’의 모범국가이기도 했습니다. 금융 자유화의 성공을 기반으로 아이슬란드는 ‘북유럽의 금융허브’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고 높은 이자율을 쫓아서 해외에서 엄청난 자본이 유입됐습니다. 저금리 외화가 대거 유입되었기 때문에 아주 싼 금리로 외화를 빌릴 수 있었고 아이슬란드 화폐인 크로나가 강세였기 때문에 빚을 내서 차를 사고 집을 사는 등 풍족한 소비생활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다른 산업 기반 없이 금융산업에만 의존해 오던 취약한 구조 때문에 아이슬란드는 미국발 금융위기에 힘 한번 써보지 못하고 추락하고 맙니다. 위기에 빠진 미국 금융회사들이 한꺼번에 아이슬란드의 금융회사들로부터 돈을 빼가기 시작하자 크로나화가 폭락하고 달러가 급상승하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게다가 부동산 가치는 폭락하면서 이중 삼중의 고통을 떠안게 됐습니다. 또 외화 대출의 금리도 크게 상승했죠. 금리 상승에 자국화폐 폭락이란 이중고를 겪으면서 대부분의 국민들이 빚더미에 올라앉게 됐습니다.

아이슬란드의 위기는 미국식 신자유주의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자국화폐의 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금융시장을 활짝 개방하고 모든 것을 자유화해 버린 대가를 치르고 있는 셈입니다. 더욱 불행한 것은 금융산업의 붕괴를 극복할 만한 마땅한 대안조차 없다는 것이죠. 이것이 불과 1년 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로 선정됐던 아이슬란드의 서글픈 현실입니다.

신자유주의
정부의 시장개입을 비판하고 시장의 기능과 민간의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중요시하는 이론. 자유시장과 규제완화, 재산권 등을 중시한다. 이른바 ‘세계화’나 ‘자유화’라는 용어도 신자유주의의 산물이다.
#경제학
3의 댓글
User Avatar

prognose

2012.04.08

아이슬란드가 그렇게 힘들다니 전혀 몰랐네요. 북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잘 살고 있겠느니 생각했는데. 역시 일단은 자급자족할 수 있을 정도의 내수시장은 가지고 있어야 할 거같아요.
답글
0
0
User Avatar

앙ㅋ

2012.03.31

산업 기반도 허술하고 자원도 부족하고 인적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나라에서 무한한 금융을 개방했다가 거덜 났죠. 투자가 들어오는가 싶더니 썰물 처럼 빠져 나가서 내수시장이 그야말로 폭삭 내려 앉아 버렸죠.
답글
0
0
User Avatar

안다고 아는것이 아니다

2009.05.11

실물이 받쳐주지 않는것은 사상누각같은 개념이 아닐까요.
답글
0
0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Writer Avatar

정재학

경제경영 전문 인디라이터(Independent Writer). 1967년생.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졸업 후 중앙일보 iWeekly 기자와 일본 주간지 BCN의 서울주재 기자, 이코노미 21, 비즈넷타임즈의 객원기자 등 10여년 동안 경제 전문 기자로 활동했다. 10년 취재 내공과 탄탄한 기획력을 바탕으로 딱딱하고 어려운 경제경영 이론을 어떻게 하면 쉽게 전달할 수 있는가를 고민하며, 경제경영 전문 집필가로 활동하고 있다. 경제 경영 상식들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경제상식사전2: 세계경제편』, 『CEO필수상식사전』, 『경제상식퀴즈』, 『주식부자로 만드는 하루 한마디』 등의 책을 집필했으며 다양한 기업의 경영 혁신 현장을 직접 취재해 책으로 엮기도 했다. 인천국제공항의 세계공항서비스 평가 6연패를 조명한 『뭔가 다른 인천공항, 무엇이 다른가?』, 삼성석유화학의 3대 혁신 통합을 다룬 『이노베이션 컨버전스』, 삼성토탈의 위기극복과 훌륭한 일터 만들기를 다룬 『살아남는 자가 강하다』, 『온 가족이 행복한 일터』, 동국대의 고객만족경영의 성공을 소재로 한 『우리가 동국대 VIP』, LG그룹 서브원의 혁신 비결을 소개한 『빌딩을 지배하라』 등 다수의 경영 혁신 단행본 작업에 참여했다. 또 우정사업본부의 혁신을 다룬 『6시그마로 피운 혁신의 꽃』, 대검찰청의 혁신 활동을 다룬 『검찰이 6시그마를?』, 『경영 필수 상식사전』 등을 집필했다. 이와 함께 한국 기업사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한국능률협회, 한국FP협회 등 다양한 기업과 단체의 사사(社史) 집필에도 참여하며 경제경영 전문 작가로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