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대를 무엇에 찍어 먹든 무슨 상관인가요?”
자기가 먹는 방식만이 ‘정상’이고 ‘진리’이며, 다른 방식은 촌스럽다고 비웃는다. 그러나 남이 무엇에 찍어 먹든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을 수도 있을 테고, 심지어 마요네즈에 찍어 먹을 수도 있을 것이다. 입맛에만 맞는다면.
2013.01.22
작게
크게
공유
앞에서 종교적 채식주의나 취향에 의한 채식주의는 일반화가 가능하지 않은 개인적 선택의 문제라고 말한 바 있다. 이 점에서는 건강을 위한 채식주의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담배를 피우는 사람에 대해 어리석다거나 의지력이 없다고 말하기는 해도 비윤리적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담배를 피우면 온갖 질병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져 있으므로 분명코 그것은 현명치 못한 일이다. 그러나 어찌 보면 꼭 그렇게 말할 수만도 없는 것이, 병에 걸릴 줄 알면서도 담배가 주는 다른 이익 즉 집중력이나 이완감을 위해 담배를 계속 피운다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을 어리석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어쨌건 담배 피우는 사람을 이렇다 저렇다 평가할 수는 있어도 그를 비윤리적이라 비난할 수는 없다. 물론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이므로 당연히 비윤리적이라고 비난할 수 있겠지만, 아무도 없는 골방에서 담배 피우는 것은 윤리적으로 전혀 문제가 안 된다. 이것은 그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건강을 위해 금연을 택한 사람에 대해 현명하다고 말할 수는 있겠지만(그래서 포상금을 주는 회사도 있지만), 그 사람을 보고 윤리적이라고 말하지 않는 것과 같다. 건강을 위해 채식을 선택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오래 살겠네~”라는, 약간의 비아냥섞인 칭찬은 하겠지만, 그 사람에 대해 “참 착하네!”라고 윤리적 평가를 하지 않는 것과 같다.
이와 똑같은 논리로 보면 채식주의자도 육식주의자를 비난할 근거가 없다. 저렇게 계속 고기를 먹다가는 건강을 해치고 빨리 죽을 것 같아 안타깝고 어리석어 보이겠지만, 그것을 비윤리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먹는 문제는 윤리와는 무관한 것 아닐까? 무엇을 먹을지의 문제는 어떤 종교를 갖고 있는지, 입맛이 어떤지, 건강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개인적 선택 문제이지, 옳거나 그르다고 평가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지 않는가?
‘순대 논란’이라는 것이 있다. 순대를 무엇에 찍어 먹는지를 두고 인터넷에서 네티즌들끼리 싸우는 얘기다. 순대는 예전부터 먹던 고유 음식이 아닌데도 희한하게 지역마다 찍어 먹는 양념의 종류가 다르다. 서울 지역에서는 고춧가루 섞은 소금에, 전라도에서는 초장이나 맨소금에, 경상도에서는 쌈장이나 후추 섞은 소금에 찍어 먹는다. 또 강원도에서는 새우젓이나 후추 섞은 소금에, 제주도에서는 심지어 간장에 찍어 먹는다고 한다. 인터넷에서 싸움이 붙는 모습을 보면 이러하다.
“서울 촌놈들은 순대를 소금에 찍어 먹는다면서요? 순대는 쌈장에 찍어 먹어야 제맛 아닌가요?”
“헐, 님이 촌놈이네요. 순대가 양파나 고추인가요? 쌈장에 찍어 먹게.”
“두 분 다 황당하네요. 순대는 초장에 찍어 먹어야 정상이죠.”
“무식하네요. 순대는 새우젓에 찍어 먹는 게 진리입니다.”
자기가 먹는 방식만이 ‘정상’이고 ‘진리’이며, 다른 방식은 촌스럽다고 비웃는다. 그러나 남이 무엇에 찍어 먹든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을 수도 있을 테고, 심지어 마요네즈에 찍어 먹을 수도 있을 것이다. 입맛에만 맞는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개고기 논쟁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것도 왜 먹는 것 가지고 시비를 거느냐는 생각 때문이다. 나라마다 먹는 문화가 다 다른데 자기들은 우리가 먹지 않는 별의별 것을 다 먹으면서 유독 우리가 개고기 먹는다고 비난하는 것은, 결국 순대를 찍어 먹는 양념이 다르다고 비웃는 것이나 매한가지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전국순대옵션지도
나의 자유의사에 의해 내 입 안에 무엇을 집어넣는가는 전적으로 개인적인 문제요, 다른 사람이 왈가왈부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입에 무엇을 넣음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간다면 그 때는 옳고 그름의 문제 즉 윤리가 개입된다. 예컨대 빵을 입에 넣었는데 그 빵이 다른 사람에게서 훔친 것이라면 그것은 옳지 않은 행동으로 비난을 받는다. 앞서 말했듯이 담배를 피우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담배 연기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다면 그때부터는 윤리적인 문제가 되는 것과 같다.
윤리적 채식주의자들은 육식 역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젯거리가 된다고 주장한다. 육식은 다른 사람의 먹을거리를 빼앗는 일이고 우리가 사는 환경을 병들게 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윤리적 채식주의에서 더 심각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육식이 다른 ‘사람’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다른 존재들 곧 동물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점이다. 사육 과정과 도살 과정이 모두 그러하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채식을 선택한 사람들은 자신의 판단이 개인적 선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일반화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빵을 훔치는 일이 내게만이 아니라 누구에게라도 그릇된 행위이듯이, 누구든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떠올려 볼 수 있겠다.
-사람이 아닌 동물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왜 옳지 않은 일인가?
-육식은 어떻게 다른 동물에게 피해를 주는가?
-육식은 왜 다른 사람의 먹을거리를 빼앗고 환경을 병들게 하는 행위인가?
어쨌건 담배 피우는 사람을 이렇다 저렇다 평가할 수는 있어도 그를 비윤리적이라 비난할 수는 없다. 물론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이므로 당연히 비윤리적이라고 비난할 수 있겠지만, 아무도 없는 골방에서 담배 피우는 것은 윤리적으로 전혀 문제가 안 된다. 이것은 그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건강을 위해 금연을 택한 사람에 대해 현명하다고 말할 수는 있겠지만(그래서 포상금을 주는 회사도 있지만), 그 사람을 보고 윤리적이라고 말하지 않는 것과 같다. 건강을 위해 채식을 선택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오래 살겠네~”라는, 약간의 비아냥섞인 칭찬은 하겠지만, 그 사람에 대해 “참 착하네!”라고 윤리적 평가를 하지 않는 것과 같다.
이와 똑같은 논리로 보면 채식주의자도 육식주의자를 비난할 근거가 없다. 저렇게 계속 고기를 먹다가는 건강을 해치고 빨리 죽을 것 같아 안타깝고 어리석어 보이겠지만, 그것을 비윤리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먹는 문제는 윤리와는 무관한 것 아닐까? 무엇을 먹을지의 문제는 어떤 종교를 갖고 있는지, 입맛이 어떤지, 건강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개인적 선택 문제이지, 옳거나 그르다고 평가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지 않는가?
‘순대 논란’이라는 것이 있다. 순대를 무엇에 찍어 먹는지를 두고 인터넷에서 네티즌들끼리 싸우는 얘기다. 순대는 예전부터 먹던 고유 음식이 아닌데도 희한하게 지역마다 찍어 먹는 양념의 종류가 다르다. 서울 지역에서는 고춧가루 섞은 소금에, 전라도에서는 초장이나 맨소금에, 경상도에서는 쌈장이나 후추 섞은 소금에 찍어 먹는다. 또 강원도에서는 새우젓이나 후추 섞은 소금에, 제주도에서는 심지어 간장에 찍어 먹는다고 한다. 인터넷에서 싸움이 붙는 모습을 보면 이러하다.
“서울 촌놈들은 순대를 소금에 찍어 먹는다면서요? 순대는 쌈장에 찍어 먹어야 제맛 아닌가요?”
“헐, 님이 촌놈이네요. 순대가 양파나 고추인가요? 쌈장에 찍어 먹게.”
“두 분 다 황당하네요. 순대는 초장에 찍어 먹어야 정상이죠.”
“무식하네요. 순대는 새우젓에 찍어 먹는 게 진리입니다.”
자기가 먹는 방식만이 ‘정상’이고 ‘진리’이며, 다른 방식은 촌스럽다고 비웃는다. 그러나 남이 무엇에 찍어 먹든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을 수도 있을 테고, 심지어 마요네즈에 찍어 먹을 수도 있을 것이다. 입맛에만 맞는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개고기 논쟁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것도 왜 먹는 것 가지고 시비를 거느냐는 생각 때문이다. 나라마다 먹는 문화가 다 다른데 자기들은 우리가 먹지 않는 별의별 것을 다 먹으면서 유독 우리가 개고기 먹는다고 비난하는 것은, 결국 순대를 찍어 먹는 양념이 다르다고 비웃는 것이나 매한가지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전국순대옵션지도
나의 자유의사에 의해 내 입 안에 무엇을 집어넣는가는 전적으로 개인적인 문제요, 다른 사람이 왈가왈부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입에 무엇을 넣음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간다면 그 때는 옳고 그름의 문제 즉 윤리가 개입된다. 예컨대 빵을 입에 넣었는데 그 빵이 다른 사람에게서 훔친 것이라면 그것은 옳지 않은 행동으로 비난을 받는다. 앞서 말했듯이 담배를 피우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담배 연기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다면 그때부터는 윤리적인 문제가 되는 것과 같다.
윤리적 채식주의자들은 육식 역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젯거리가 된다고 주장한다. 육식은 다른 사람의 먹을거리를 빼앗는 일이고 우리가 사는 환경을 병들게 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윤리적 채식주의에서 더 심각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육식이 다른 ‘사람’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다른 존재들 곧 동물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점이다. 사육 과정과 도살 과정이 모두 그러하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채식을 선택한 사람들은 자신의 판단이 개인적 선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일반화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빵을 훔치는 일이 내게만이 아니라 누구에게라도 그릇된 행위이듯이, 누구든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떠올려 볼 수 있겠다.
-사람이 아닌 동물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왜 옳지 않은 일인가?
-육식은 어떻게 다른 동물에게 피해를 주는가?
-육식은 왜 다른 사람의 먹을거리를 빼앗고 환경을 병들게 하는 행위인가?
-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 최훈 저 | 사월의책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는 채식주의, 정확하게 말해서 채식의 윤리적 측면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고기를 먹지 않는 식습관, 즉 ‘채식’이 도대체 왜 윤리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을까? 현직 철학교수인 저자는 이 질문을 심각한 철학적 난제로 다루는 대신, 독자로 하여금 웃음을 참을 수 없게 하는 자신의 체험담에서 시작하여 채식의 윤리적 의미를 친절하게 이끌어낸다.
|
|||||||||||||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9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최훈
강원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 세종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호주 멜버른대학교, 캐나다 위니펙대학교, 미국 마이애미대학교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현재 강원대 인문사회과학대학 교양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다.
전공분야인 논리학, 과학철학, 윤리학 등 철학의 응용 분야에서 왕성한 연구 활동과 함께, 철학이 얼마나 재미있고 유익한 것인지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큰 관심을 가지고 대중적 눈높이에 맞는 철학서 집필에 꾸준히 힘쓰고 있다. 그런 결과물로 논리ㆍ논술 분야의 대표적 스테디셀러로 꼽히는 『논리는 나의 힘』(2003)을 비롯하여 『데카르트 & 버클리: 세상에 믿을 놈 하나 없다』 『벤담 & 싱어: 매사에 공평하라』 『라플라스의 악마, 철학을 묻다』 『변호사 논증법』 『좋은 논증을 위한 오류 이론 연구』 등을 펴냈고, 청소년 교양도서로 『생각을 발견하는 토론학교, 철학』 『나는 합리적인 사람』 등을 썼다.
동네작가
2013.02.14
masterll
2013.02.13
식물을 먹으므로 해서, 농사를 짖고 사는 것이 아프리카나, 아마존에 사는 사람들이 농경지를 얻기 위해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은 그럼 잘하는 짓인가?
보는 관점에 따라 얼마든지 좋고 나쁨이 구분이 쉽게 바뀌는 데 왜 말도 안되는 억지 논리로
육식과 채식을 구분하여 채식만이 좋고
'채식주의자도 육식주의자를 비난할 근거가 없다. 저렇게 계속 고기를 먹다가는 건강을 해치고 빨리 죽을 것 같아 안타깝고 어리석어 보이겠지만, 그것을 비윤리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라고 은연중에 육식자들을 비하하는 것인지. 뭐가 안타깝고 어리석어 보이는지? 채식만으로 더 건강하다고 누가 그러던가? 말도 안되는 식습관에 대한 궤변으로 타인의 식습관을 무시하면서
자신들 처럼 채식자들만 옳다고 강조하는 몰상식한 짓거리를 교수라는 사람이 하고 있으니...
당신이야 말로 한심스러운 작태를 연출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지?
.
다르다와 틀리다는 확연히 구분해야 함에도 같은 논조로 이야기 하는 심보는 진짜 어불성설 일뿐. 식습관을 차이를 왜 윤리에 연관되어 이야기 하는 건지. 채식자들만 윤리적이다? 웃기고 xxxx.
우리 서로의 다름을 말과 글로만 구분하지 말고 언행일치라는 말처럼 행동과 글과 말에서 느낄수 있도록 행동하시길...
rostw
2013.02.02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