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그들만의 ‘연애’와 ‘사랑’
연애의 대상이었던 여성들의 위치는 유행에서 상징적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기름 발라 붙이고 댕기 드리워 쪽찌고 비녀 꽂던 헤어스타일은 ‘단발’이며 ‘히사시가미’ 같은 ‘양(洋)머리’에 밀렸다. 깡뚱하게 올라오는 짧은 통치마와 양산은 새로운 유행선도 계층인 여학생의 필수품이었다. 연애편지를 주고받고 사랑에 목숨을 걸며, 때로는 사랑으로 인한 죽음을 선택하기도 하고, 연애 소설이나 연애서간집을 읽고……. 개조론과 잇닿아 있던 연애(열)는 바야흐로 192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의 화두라 할 수 있었다. 현대의 독자들에게는 이런 유행과 내용이 흥미로우면서도 신선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2013.09.05
작게
크게
공유
문학과 비문학을 번갈아 다루고 있는 ‘책, 임자를 만나다’ 이번 순서는 비문학 분야의 <연애의 시대>입니다. 드라마 제목 같기도 하고 가벼운 얘기일 것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문화 연구서입니다. ‘연애’를 통해서 우리의 근대, 좁게는 1920년대 초반을 읽는 책인데요.
2,000년대 이후 이렇게 특정한 열쇳말을 통해서 식민지 조선이라는 시공간, 즉 근대를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습니다. 그중에서도 ‘연애’라는 키워드는 특히 더 관심을 끌죠? 이 책은 1920년대 어떻게 연애가 도입되고 유행하게 됐는지를 당신의 문학작품이나 신문잡지 기사, 만화, 광고 같은 자료를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애의 시대>_1920! 우리가 몰랐던 빨간 연애의 시대
1) 줄거리
연애와 연애열이라는 개념을 중심에 두고 이 시기의 문화를 살핀다. 이 책에 등장하는 문화는 국사책에 오르내릴 만한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유행’이라고 부를 만한 것들이다. 헤어스타일이며 옷차림, 사람들이 많이 읽은 연애소설, 연애편지의 유행 등의 이야기는, 근엄하고 딱딱한 역사책에선 찾아볼 수 없었던 것들이다. 더구나 신문과 잡지의 삽화며 만화, 광고 등의 시각 자료들은 일제 강점기 신문의 영인 축쇄본에서도 잘려 나가기 일쑤였던 것들이다. 하지만 ‘진지한’ 사람들이 우습게 볼 수도 있는 ‘연애’와 ‘사랑’이라는 개념들을 살펴보고 있다고 해서 이 책이 만만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시선을 잡아끄는 여러 편의 그림(80여 종이 넘는다)에 눈을 뺏기면서 책을 읽어가다 보면, 독자들은 어느새 1920년대 초반 우리나라의 문화계를 풍미했던 ‘개량 개조론’의 진면목을 깨닫게 된다. 나아가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해왔던 매우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들-연애며 결혼, 가정-이 실은 외부적인 힘에 의해 근대에 이르러 비로소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1920년대 초반을 지배했던 달뜬 연애의 열기와 오늘날 우리의 삶과는 과연 아무 연관이 없는 것일까, 궁금증을 품을 법하다. (출처 : YES24)
2) 저자 : 권보드래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서울대학교 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연애의 시대: 1920년대 초반의 문화와 유행』이라는 책을 펴낸 바 있으며 지금은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로 일하고 있다. 몇 년래 ‘3ㆍ1 운동의 문화사’라는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작업을 해 왔다.
2,000년대 이후 이렇게 특정한 열쇳말을 통해서 식민지 조선이라는 시공간, 즉 근대를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습니다. 그중에서도 ‘연애’라는 키워드는 특히 더 관심을 끌죠? 이 책은 1920년대 어떻게 연애가 도입되고 유행하게 됐는지를 당신의 문학작품이나 신문잡지 기사, 만화, 광고 같은 자료를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애의 시대>_1920! 우리가 몰랐던 빨간 연애의 시대
1) 줄거리
연애와 연애열이라는 개념을 중심에 두고 이 시기의 문화를 살핀다. 이 책에 등장하는 문화는 국사책에 오르내릴 만한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유행’이라고 부를 만한 것들이다. 헤어스타일이며 옷차림, 사람들이 많이 읽은 연애소설, 연애편지의 유행 등의 이야기는, 근엄하고 딱딱한 역사책에선 찾아볼 수 없었던 것들이다. 더구나 신문과 잡지의 삽화며 만화, 광고 등의 시각 자료들은 일제 강점기 신문의 영인 축쇄본에서도 잘려 나가기 일쑤였던 것들이다. 하지만 ‘진지한’ 사람들이 우습게 볼 수도 있는 ‘연애’와 ‘사랑’이라는 개념들을 살펴보고 있다고 해서 이 책이 만만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시선을 잡아끄는 여러 편의 그림(80여 종이 넘는다)에 눈을 뺏기면서 책을 읽어가다 보면, 독자들은 어느새 1920년대 초반 우리나라의 문화계를 풍미했던 ‘개량 개조론’의 진면목을 깨닫게 된다. 나아가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해왔던 매우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들-연애며 결혼, 가정-이 실은 외부적인 힘에 의해 근대에 이르러 비로소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1920년대 초반을 지배했던 달뜬 연애의 열기와 오늘날 우리의 삶과는 과연 아무 연관이 없는 것일까, 궁금증을 품을 법하다. (출처 : YES24)
2) 저자 : 권보드래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서울대학교 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연애의 시대: 1920년대 초반의 문화와 유행』이라는 책을 펴낸 바 있으며 지금은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로 일하고 있다. 몇 년래 ‘3ㆍ1 운동의 문화사’라는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작업을 해 왔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1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이동진
어찌어찌 하다보니 ‘신문사 기자’ 생활을 십 수년간 했고, 또 어찌어찌 하다보니 ‘영화평론가’로 불리게 됐다. 영화를 너무나 좋아했지만 한 번도 꿈꾸진 않았던 ‘영화 전문가’가 됐고, 글쓰기에 대한 절망의 끝에서 ‘글쟁이’가 됐다. 꿈이 없었다기보다는 꿈을 지탱할 만한 의지가 없었다. 그리고 이제, 삶에서 꿈이 그렇게 중요한가라고 되물으며 변명한다.
앙ㅋ
201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