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에게 가장 민감한 주제를 다룬 대담한 소설!
소설은 화자인 커더우(올챙이라는 뜻)가 스기타니 요시토라는 인물에게 보내는 편지로 시작한다. 커더우는 앞으로 편지를 통해 고모에 대해 알려 주겠다고 약속한다.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의 조카가 일흔이 넘은 고모의 과거를 회상하기 시작한다.
2013.09.23
작게
크게
공유
‘책, 임자를 만나다’ 오늘 임자 만난 책은 예고해 드린 대로 모엔 작가의 <개구리>입니다. 모옌작가는 장 이머우 감독이 만든 영화 <붉은 수수밭>의 원작자로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가죠. 지난 번에 다룬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와는 지난해 노벨문학상 선정 때도 유력 수상 후보로 경합했었다고 합니다.
이 작품 <개구리>는 1971년부터 중국 정부가 실행해온 ‘한 가정 한 자녀’의 계획생육 정책을 다뤄서 큰 반향을 일으킨 작품입니다. 모옌 특유의 필치로 독특하게 펼쳐지는 이 책의 장대한 이야기, 함께 만나 보시죠.
<개구리>_중국인에게 가장 민감한 주제를 다룬 대담한 소설!
1) 줄거리
산부인과 의사인 고모는 가오미 둥베이 향에서 50년 동안 1만 명이 넘는 아이를 받은 전설적 인물. 젊은 시절 고모는 신식 의술을 배운 신여성이자 혁명 열사의 딸이란 출신 성분에 더해 빼어난 미모를 자랑한다. 하지만 약혼자인 공군조종사가 타이완으로 망명하면서 고모의 앞날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설상가상으로 정부에서 산아제한 정책(계획생육)을 강압적으로 시작하면서 고모는 최일선 책임자로 정관수술과 중절수술을 하도록 강요받게 되는데… 그렇게 낙태시킨 아이가 2천여 명. 그 중에는 조카의 아내와 아이도 있다. 고모는 은퇴 후 자신이 낙태한 아이들의 모습을 점토인형으로 빚으며 속죄하고, 주인공은 낙향해서 둘째를 얻게 되는데…
2) 저자 : 모옌
본명은 관머우예(管謀業). 모옌(莫言-막언)은 ‘말이 없다’(혹은, 글로만 뜻을 표할 뿐 입으로는 말하지 않는다)는 뜻의 필명으로 그의 작품 전반에 드러나는 우회적인 서사도 거기서 비롯. 역사에 환상을 섞고 현실에 상상을 입혀 중국 현대사와 민중의 삶을 묘파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중국 마우둔 문학상, 이탈리아 노니노 문학상, 홍콩 홍루몽 상, 일본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대상,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15회 만해대상 문학부문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 <개구리>는 1971년부터 중국 정부가 실행해온 ‘한 가정 한 자녀’의 계획생육 정책을 다뤄서 큰 반향을 일으킨 작품입니다. 모옌 특유의 필치로 독특하게 펼쳐지는 이 책의 장대한 이야기, 함께 만나 보시죠.
<개구리>_중국인에게 가장 민감한 주제를 다룬 대담한 소설!
1) 줄거리
산부인과 의사인 고모는 가오미 둥베이 향에서 50년 동안 1만 명이 넘는 아이를 받은 전설적 인물. 젊은 시절 고모는 신식 의술을 배운 신여성이자 혁명 열사의 딸이란 출신 성분에 더해 빼어난 미모를 자랑한다. 하지만 약혼자인 공군조종사가 타이완으로 망명하면서 고모의 앞날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설상가상으로 정부에서 산아제한 정책(계획생육)을 강압적으로 시작하면서 고모는 최일선 책임자로 정관수술과 중절수술을 하도록 강요받게 되는데… 그렇게 낙태시킨 아이가 2천여 명. 그 중에는 조카의 아내와 아이도 있다. 고모는 은퇴 후 자신이 낙태한 아이들의 모습을 점토인형으로 빚으며 속죄하고, 주인공은 낙향해서 둘째를 얻게 되는데…
2) 저자 : 모옌
본명은 관머우예(管謀業). 모옌(莫言-막언)은 ‘말이 없다’(혹은, 글로만 뜻을 표할 뿐 입으로는 말하지 않는다)는 뜻의 필명으로 그의 작품 전반에 드러나는 우회적인 서사도 거기서 비롯. 역사에 환상을 섞고 현실에 상상을 입혀 중국 현대사와 민중의 삶을 묘파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중국 마우둔 문학상, 이탈리아 노니노 문학상, 홍콩 홍루몽 상, 일본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대상,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15회 만해대상 문학부문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1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이동진
어찌어찌 하다보니 ‘신문사 기자’ 생활을 십 수년간 했고, 또 어찌어찌 하다보니 ‘영화평론가’로 불리게 됐다. 영화를 너무나 좋아했지만 한 번도 꿈꾸진 않았던 ‘영화 전문가’가 됐고, 글쓰기에 대한 절망의 끝에서 ‘글쟁이’가 됐다. 꿈이 없었다기보다는 꿈을 지탱할 만한 의지가 없었다. 그리고 이제, 삶에서 꿈이 그렇게 중요한가라고 되물으며 변명한다.
앙ㅋ
201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