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만 “내 서재는 개주소”
책을 읽는 시간을 따로 두진 않습니다. 할 일이 없으면 무조건 읽어요. 사람 만나고, 강의하는 시간 외에는 거의 책을 읽거나 글을 쓰죠
글 : 채널예스
2015.02.03
작게
크게

책을 읽는 시간을 따로 두진 않습니다. 할 일이 없으면 무조건 읽어요. 사람 만나고, 강의하는 시간 외에는 거의 책을 읽거나 글을 쓰죠.

 

관심사는 책과 관련한 것이기도 한데, 앞으로는 언어유희에 관해서 쓰려고 해요. 언어의 개념을 집대성하는 것이죠. 개념과 체험과 관계에 관심이 많습니다. 개념이 없는 체험이 위험하고 체험 없는 개념은 관념일 뿐이라고 생각해요. 진정한 창조가 일어나려면 개념과 창조를 접합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제 서재에 이름을 붙인다면, ‘지식 잉태실’, ‘개념 주입소’ 정도가 되겠네요. 줄여서 ‘개주소’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따지고 보면 책은 저마다 모두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에 쓴 『커뮤니데아』는 소통의 근본, 본질을 파고든 책입니다. 스킬, 처방전을 넘어서는 거죠.치유와 더불어 힐잉을 하고 공동체가 아름답게 구성될 수 있으려면 소통의 본질을 향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명사의 추천

 

강의

신영복 저 | 돌베개

개인적으로 존경하는 선생님입니다. 서양은 개체를, 동양은 관계를 다룬다는 말이 있죠. 이 책은 신영복 선생님의 동양 고전 독법입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프리드리히 니체/정동호 역 | 책세상

고등학교에는 폼으로 읽었는데, 이후에 제대로 읽었어요. 니체의 현명함을 세상이 안 알아줘서 답답함을 쏟아낸 장편의 서사시입니다. 이후에 『니체는 나체다』를 쓰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죠.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저/이윤기 역 | 열린책들

지식인을 일갈하는 책이죠. 조르바는 책상에 앉아서만 고민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영혼의 자유가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조르바에게 배울 수 있는 가르침은 머리보다 몸을 우선하라는 것입니다. 본능을 지성으로 억우르면 그건 자유가 아니라는 말이죠.

 

 

 

 

 

유혹의 기술

로버트 그린 저/강미경 역 | 웅진지식하우스

삶은 결국 파는 것이고, 저 역시 아이디어를 파는 사람이죠. 강의를 하는 강사이기에 항상 청중의 마음을 뒤흔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합니다. 이 책대로 하니까 대부분 잘 됐어요. 로버트 그린의 역작 중의 역작입니다.

 

 

 

 

 

 

 

장인

리처드 세넷 저/김홍식 역 | 21세기북스

『브리꼴레르』 쓰는 데 영감 많이 받은 책이에요. 부제가 ‘현대 문명이 잃어버린 손’인데, 우리가 손을 안 쓰고 접속만 하다 보니 본능성이 퇴화된다고 지적합니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유영만 #커뮤니데아
4의 댓글
User Avatar

샨티샨티

2015.02.23

개주소라는 말에 글려 유영만 님의 서재까지 왔습니다. 아이디어를 파는 강사들의 강의를 들으며 전율할 때가 있는데 <<유혹의 기술>>이라는 책을 읽고 실행하였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궁금함이 있담녀 책부터 준비하여 읽어가는 자세가 필요하죠.
답글
0
0
User Avatar

빛나는보석

2015.02.11

개주소가 '개념 주입소'였군요. <커뮤니데아>와 <유혹의 기술> 읽어보고 싶습니다. 소통의 문제와 사람의 마음을 뒤흔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평소 관심이 많았는데 답이 들어있는 책이네요.
답글
0
0
User Avatar

앙ㅋ

2015.02.09

조르바는 책상에 앉아서만 고민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조르바에게 배울 수 있는 가르침은 머리보다 몸! 본능을 지성으로 억우르면 그건 자유가 아니라는 말 새겨둘께요.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에너지 버스

<존 고든> 저/<유영만>,<이수경> 공역

버킷리스트

<강창균>,<유영만> 공저

출판사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브리꼴레르

<유영만>

출판사 | 쌤앤파커스

커뮤니데아 COMMUNIDEA

<유영만>,<오세진> 공저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Writer Avatar

유영만

어둠이 잉태한 찰나의 새벽을 기다리며 휜 거품파도 속에서 방황하는 공기들이 품은 처절한 고독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겁 없이 물어보는 지적 방랑자다. 출처를 알 수 없는 발걸음이 향한 벼랑 끝에서 타들어가는 애간장으로 바람결이 내던지는 슬픔의 답안지에 일생을 버티게 만드는 그리움 한 페이지를 남기는 철부지 예술가다. 시인(詩人)이 될 수 없음을 시인(是認)했지만, 모든 순간을 낯선 상상력이 숨 쉬는 시적 순간으로 포착, 그 순간의 파동을 온몸으로 품고 걸으며 소음도 소리로 번역하는 늦은 밤의 시인이 되고 싶은 사람이다. 삶‘이’ 시답지 않아도 사람‘은’ 시답게 살아야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낯선 경험과 날 선 개념을 융복합, 『인생이 시답지 않아서』, 『코나투스』, 『늦기 전에 더 늙기 전에』, 『2분의 1』, 『끈기보다 끊기』, 『삶을 질문하라』, 『언어를 디자인하라』, 『부자의 1원칙, 몸에 투자하라』, 『책 쓰기는 애쓰기다』, 『이런 사람 만나지 마세요』, 『공부는 망치다』, 『유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한다』 등 100여 권의 책을 근간으로 의미를 심장에 꽂아 의미심장한 강연을 재미있게 펼치는 지식 산부인과 의사이자 한양대학교 교수이다. 『인생이 시답지 않아서』는 지금껏 살아온 인생과 경험을 날선 시적 언어로 표현해낸 에세이이자 시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