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와 화면 뒤, 주인공을 만드는 사람들
무대와 화면 뒤, 주인공을 만드는 사람들 누군가를 빛내기 위해 일을 하다 보면 나 자신을 잃을 수도 있지만, 우리는 모두 각자 자신의 인생 무대에서 주인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어요. 자기 자신이 걸어온 길이 하나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상기해 주고자 했습니다. 2025.04.21 출판사 제공
정신과 문을 여는 것을 두려워 마세요
정신과 문을 여는 것을 두려워 마세요 ‘정신병자’라는 단어를 욕으로 쓰는 사회잖아요. 정신과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는 책이 너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2025.01.06 출판사 제공
도준우 “범죄 프로그램을 만드는 피디의 어려움”
도준우 “범죄 프로그램을 만드는 피디의 어려움” ‘신정동 엽기토끼 살인사건’, ‘배산 대학생 피살사건’ 등의 미제 사건을 다루어 화제가 된 <그것이 알고 싶다>. 도준우 PD는 어떻게 문제를 묻고, 뚫고, 뒤집어 왔을까요? 방송국 PD의 일이 궁금한 지망생, 자신의 신념을 잃지 않고 일하는 법을 고민하는 직장인 모두에게 전하는 이야기. 2024.09.13 신연선
[테드 창X김겨울 인터뷰]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관하여
[테드 창X김겨울 인터뷰]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관하여 철학자들이 사고 실험을 이야기할 때, 철학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다소 추상적이고 생소하게 느끼는 용어와 설명을 사용하는데요. 이에 반해 SF는 독자로 하여금 감정적으로 몰두해서 굉장히 내면적인, 그리고 본능적인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2024.06.25 김겨울(유튜버, 작가) ,채널예스
회사에서 인정받고 싶지만 왜 출근하기는 싫은 걸까?
회사에서 인정받고 싶지만 왜 출근하기는 싫은 걸까? 일하는 우리에게는 탁월한 능력도, 상대방을 내 편으로 만드는 친화력도 물론 필요하지만, 흔들리지 않으며 중심을 잡고 건강한 직장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내 마음을 이해하고 공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2024.02.05 출판사 제공
[2023 연말 결산] 채널예스의 ‘올해의 책’
[2023 연말 결산] 채널예스의 ‘올해의 책’ 2023년도 채널예스는 수많은 출판계 관계자들과 멋진 협업을 진행했다. 인터뷰, 칼럼, 팟캐스트 등 여러 채널에서 함께한 소중한 인연 30명에게 올해의 책을 물었다. 2023.12.13 채널예스
[2023 연말 결산] 서평가 금정연의 내맘대로 출판 이슈
[2023 연말 결산] 서평가 금정연의 내맘대로 출판 이슈 올해 출판계에는 어떤 이슈가 있었을까? 읽은 책 이야기만으로도 작업 일지를 가득 채울 수 있는 서평가 금정연이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공감할 주관적인 리스트를 보내왔다. 2023.12.12 금정연
당신의 커뮤니티는 어떤 모습인가요?
당신의 커뮤니티는 어떤 모습인가요? 바로 시작하는 커뮤니티 빌드업 2023.10.25 출판사 제공
[책읽아웃] 펠트와 나무로 이루어진, 강철의 심지가 있는 사랑
[책읽아웃] 펠트와 나무로 이루어진, 강철의 심지가 있는 사랑 매혹된 사람들의 이야기예요. 그런 이야기들이 이 책에서도 느껴졌어요. 매혹된 순간에 대한 묘사인 거잖아요. 2023.09.21 임나리
[책읽아웃] ※스포주의※ 장류진 신작 엄청 재밌어, 근데 본인은 그걸 몰라 (G. 장류진 소설가)
[책읽아웃] ※스포주의※ 장류진 신작 엄청 재밌어, 근데 본인은 그걸 몰라 (G. 장류진 소설가) 나는 나를 그저 조그맣고 단순한 기계라고 생각해 보기로 한다. 메커니즘은 잘 모르지만, 그 성능만큼은 믿어보기로 한다. 무언가를 넣고 작동시켰더니 어쨌든 이런 것들이 출력되었다고. 돌아가는 원리를 모르니까 고장 나지 않게 하려면 꾸준히 기름칠해 주면서 멈추지 않고 작동시키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2023.08.10 황정은(작가),임나리
[책읽아웃] 비밀의 게스트지만 이름은 서효인인
[책읽아웃] 비밀의 게스트지만 이름은 서효인인 '책임'감을 가지고 '어떤 책'을 소개하는 시간이죠. '어떤,책임' 시간입니다. 2023.08.03 신연선
[책읽아웃] 서울 집값이 오르는 이유는... (G. 김정인 저자)
[책읽아웃] 서울 집값이 오르는 이유는... (G. 김정인 저자) 서울 집값이 오르는 이유는 이게 투자 상품이 돼서 그래요. 수요가 한없이 늘어나는 건 사실이거든요.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치솟을 수밖에 없잖아요. 땅은 유한하고. 그냥 부동산 문제 자체로 보면 해결을 못하고, 일자리가 다른 데 많아져야 돼요. 그러니까 이런 서울 같은 도시가 많이 생겨야 돼요. 2023.06.29 황정은(작가),임나리
채널예스 경제 부동산 경제학 꼬리에꼬리를무는한국경제사 경제역사 서울집값 예스24 책읽아웃 김정인 경제사 한국경제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