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날] 딕테를 읽는 풍경 – 종이잡지클럽, 차방책방
[여성의 날] 딕테를 읽는 풍경 – 종이잡지클럽, 차방책방 함께 읽는 여자들 ② - 차학경의 세계를 함께 통과하며 잊힌 목소리와 자신의 이야기를 마주한 사람들. 독서 모임으로 함께 『딕테』를 읽는다는 것. 2025.03.06 이재은,김민성
[문화 나들이] 2025년 시작, 마음을 새롭게 하는 문화생활 4가지
[문화 나들이] 2025년 시작, 마음을 새롭게 하는 문화생활 4가지 산뜻한 마음으로 새해를 함께 열 수 있는 문화 나들이 장소를 추천합니다. 2025.01.03 주말토리
[윤아랑 칼럼] 예능인 백종원과 사업가 백종원
[윤아랑 칼럼] 예능인 백종원과 사업가 백종원 <백패커>, <장사천재 백사장>, <흑백요리사>, 그리고 자신의 유튜브 채널 등에서 자신의 이념을 웃음과 함께 꾸준히 밀어붙이려는 그를 보고 있으면, 나는 사상가-사업가 백종원의 행보가 자꾸만 신경 쓰인다. 2024.10.10 윤아랑(평론가)
최수진, 재난 앞에서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최수진, 재난 앞에서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예술이 재난을 담아낼 수 있을까요? 예술이 모든 슬픔을 대신해줄 수는 없지만, 우리가 슬픔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의 역할은 할 수 있습니다. 최수진 소설가가 그랬듯이요. 2024.09.20 임나리
[책읽아웃] 이걸 아직도 타인의 일이라고 생각하나요? (G. 유가영 저자)
[책읽아웃] 이걸 아직도 타인의 일이라고 생각하나요? (G. 유가영 저자)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을 당시에 당신이 뭘 하고 있었냐고 물어보면 다들 내가 이때 뭘 하고 있었고, 어떤 밥을 먹고 있었는지 기억해요. 목격한 사람들의 마음까지도 잘 보살펴줘야 하는데, 아직 해결된 게 없다 보니까 저희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회복하지 못한 것 같아요. 10년 전 그때와 아직도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지금 이 10년 후를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2024.05.02 임나리,황정은(작가)
[책읽아웃] 내가 살면 내 집이다!
[책읽아웃] 내가 살면 내 집이다! 단호박 : 저는 그렇게까지 체리 몰딩이 거슬린다고 생각했던 적이 별로 없었습니다. / 한자 : 체리 몰딩을 한 20년 겪으면요… / 그냥 : 모르면 말을 마세요~ (웃음) 2024.03.21 임나리
“내가 사는 집인데 왜 자꾸 여기가 ‘내 집’이 아니라는 거예요?”
“내가 사는 집인데 왜 자꾸 여기가 ‘내 집’이 아니라는 거예요?” 2030세대는 대부분 빌린 집에서 살잖아요? 그 빌린 집에서의 시간이 가끔은 즐겁지만, 가끔은 남의 집만 즐거워 보일 때가 있어서 슬프기도 하고요. 2024.03.05 출판사 제공
[김소미의 혼자 영화관에 갔어] 들르는 감각 - <나의 올드 오크>
[김소미의 혼자 영화관에 갔어] 들르는 감각 - <나의 올드 오크> 사진 아래엔 ‘함께 먹을 때 우리는 단단해진다’는 말이 쓰여있다. 2024.02.02 김소미 기자
[김지연의 짧은 소설] 모나카
[김지연의 짧은 소설] 모나카 엄마는 손에 든 모나카를 물끄러미 보다가 잠깐 울었다. 울음을 그치고는 몇 개를 꺼내 이모 손에도 쥐어주었다. 또 올게, 하고 엄마는 이모를 안아주었다. 더는 이모가 누군지 궁금하지 않다는 듯한 포옹이었다. 2023.11.02 김지연(소설가)
사진가 황예지, 우리가 함께 끌어안을 장면들
사진가 황예지, 우리가 함께 끌어안을 장면들 사회적인 작업을 하겠다는 의지 표명을 했다기 보다는, 소외된 시공간에 관심이 많은 것 같아요. 사진을 계속하면서 점점 소외된 사람들, 소외된 시공간, 기록이 필요한 자리에 내가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2023.10.13 이참슬
[김중혁의 북커버러버] 출판사들이 호퍼를 좋아할 수밖에 없는 이유
[김중혁의 북커버러버] 출판사들이 호퍼를 좋아할 수밖에 없는 이유 어떤 사람은 마음속에 떠오른 추상적인 형상을 어떻게든 설명하기 위해서 길고 긴 글을 쓰고, 어떤 사람은 말로 할 수 없다는 걸 알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지. 2023.09.21 김중혁(소설가)
[오늘의 작가] 이인규, 둔촌주공아파트 40년의 생애를 들여다보다
[오늘의 작가] 이인규, 둔촌주공아파트 40년의 생애를 들여다보다 둔촌주공아파트 단지에서 사랑했던 것들이 우리 사회에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충분한 녹지와 놀이터, 안전하게 걸어다닐 수 있는 보행로는 사실 둔촌주공뿐만 아니라 도시의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것이어야 하잖아요. 2023.09.07 김윤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