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가 증명된 ‘5분’의 효과
효과가 증명된 ‘5분’의 효과 아무리 무의지의 대명사라고 해도 ‘5분’은 할 수 있습니다. 그 ‘5분’이 지나고 나면 네 마음대로 하라고 내버려 두시면 됩니다. 2019.01.25 출판사 제공
공부 5분 하루 5분 뇌과학 공부법 장준환 교육 전문가
[김하나의 측면돌파] 트럼프 대통령 당선의 이유가 ‘나르시시즘’?
[김하나의 측면돌파] 트럼프 대통령 당선의 이유가 ‘나르시시즘’? 시작은 책이었으나 끝은 어디로 갈지 알 수 없는 코너죠. 삼천포 책방 시간입니다. 2018.03.08 임나리
나르시시스트 리더 처음 만나는 뇌과학 이야기 서른의 반격 책읽아웃
[책읽아웃] 사이코패스는 태어난다. 그러나 괴물로 태어나지는 않는다
[책읽아웃] 사이코패스는 태어난다. 그러나 괴물로 태어나지는 않는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이 질문을 다시 만났을 때 이런 생각을 하게 됐어요. '사이코패스는 태어난다. 그러나 괴물이 되지 않도록 만들 수는 있다.' 2023.05.18 임나리
채널예스 제임스팰런 사이코패스 예스24 사이코패스뇌과학자 책읽아웃
예스24 X 아울북,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 단독 강연회 개최
예스24 X 아울북,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 단독 강연회 개최 『정재승의 인간 탐구 보고서 11』 출간 기념! 부모님과 자녀가 함께 듣는 흥미로운 뇌과학 이야기 2023.03.31 예스24
채널예스 뇌과학 정재승 예스24소식 예스24 정재승교수 정재승의인류탐험보고서 정재승의인간탐구보고서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뇌과학이 밝힌 자아의 8가지 그림자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뇌과학이 밝힌 자아의 8가지 그림자 신경 과학 최전선에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지적 탐험기 2023.03.10 출판사 제공
자아 나를잃어버린사람들 신경과학 정신의학 예스24 카드뉴스 채널예스 뇌과학 심리학
예스24 X 아울북, '정재승 교수와 함께하는 어린이 뇌과학 골든벨' 진행
예스24 X 아울북, '정재승 교수와 함께하는 어린이 뇌과학 골든벨' 진행 겨울방학 시즌 특별 이벤트…"흥미로운 뇌과학 지식 나눠요" 2023.01.17 예스24
어린이뇌과학골든벨 정재승의인간탐구보고서 아울북 예스24소식 예스24 채널예스 정재승
인지 과학으로 읽는 뇌와 마음의 작동 원리
인지 과학으로 읽는 뇌와 마음의 작동 원리 뇌를 향한 제 사랑과 열정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2022.09.21 출판사 제공
엘리에저J.스턴버그 엘리에저스턴버그 신경과학 이것은인간입니까 7문7답 예스24 채널예스 인지과학 뇌과학
[죽기 전엔 다 읽겠지] 알고 싶어, 너와 내 마음
[죽기 전엔 다 읽겠지] 알고 싶어, 너와 내 마음 죽기 전까지 거듭 반복해서 배워야 할 한 가지가 있다면 역시 함께 살아가는 법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나는 너의 마음을 그리고 나의 마음을 알아가고 싶다. 그러다 보면 우리의 관계를, 나 자신을, 나아가 이 세상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2022.06.08 손미혜
예스24 죽기전엔다읽겠지 나를알고싶을때뇌과학을공부합니다 마음의법칙 채널예스
[이주의 신간] 『형제의 숲』, 『기억의 뇌과학』 외
[이주의 신간] 『형제의 숲』, 『기억의 뇌과학』 외 예스24 직원이 매주 직접 읽은 신간을 소개합니다. 2022.04.20 채널예스
채널예스 예스24 이주의신간 형제의숲 기억의뇌과학 반박자느려도좋은포르투갈 최전선의사람들 신간도서
[집중력 특집] 흩어지는 집중력을 모으기 위해
[집중력 특집] 흩어지는 집중력을 모으기 위해 휴대폰을 멀리하고 집중력을 끌어올리는데 도움이 될 만한 애플리케이션과 책을 찾아봤다. 2022.03.14 김유리
예스24 채널특집 초집중 마지막몰입 몰입의즐거움 딥워크 움직임의뇌과학 집중력 채널예스
[예스24 과학MD 김유리 추천] 어쩌면 문학보다 더 문학적인, 과학 이야기
[예스24 과학MD 김유리 추천] 어쩌면 문학보다 더 문학적인, 과학 이야기 요즘 독자분들이 많이 찾고, 좋아하실 만한 과학 도서들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2022.02.25 김유리(도서MD)
채널예스 과학 문학 나를알고싶을때뇌과학을공부합니다 에미뇌터그녀의좌표 물고기는존재하지않는다 엠디리뷰대전 우아한우주 MD리뷰대전 예스24
인간의 선량함, 그 지속가능성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
인간의 선량함, 그 지속가능성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 모든 사람에게 선량한 사람으로 보이고 싶은 마음 때문에 나를 돌볼 여유가 줄어들 때, 그리고 다정한 타인에 대한 나의 관심과 집착이 커져 그렇지 못한 사람에 대한 혐오가 커질 때, 이 마음이 과연 내 신체가 요구하는 목표와 부합하는지를 점검하는 것이 바로 ‘감정 알아차림’입니다. 2022.02.18 출판사 제공
채널예스 뇌과학 김학진 이타주의자의은밀한뇌구조 이타주의자 7문7답 예스24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