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를 막 시작하거나 끝낼 때, 나는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읽는다 - 『책은 도끼다』
반복되는 생활 속 어제와 오늘, 내일은 다르지 않으며, 지친 주중과 늘어지는 주말만이 남겨졌다. 항상 새롭고 신선한 걸 원하지만, 아아, 그러기엔 몸도 피곤하고, 마음 또한 너무 피로한 걸. 그렇다면 이것도 저것도 그것도 다 해본 어른들의 삶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대로 가기는 싫은데, 저렇게 가기도 무섭고. 생각만 하다가 지쳐버린 이 불쌍한 영혼들을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은 영영 없는 것일까.
글ㆍ사진 최지혜
2012.03.27
작게
크게

누구나 그런 때가 있지 않은가. 어떻게든 살아왔고, 어떻게든 살아갈 것임을 알지만,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어! 정말로!” 하고 외칠 수 밖에 없는 때. 하지만 그런 때조차 우리는 어떻게든 살아간다. 다섯 번째 단추를 낄 때쯤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는 사실을 알아버린 느낌이랄까. 아니면, 뜨거운 물인 줄 알고 우려낸 녹차 티백이 찬물에 동동 떠 있는 걸 봐버린 느낌이랄까. 어쨌든 끼워가던 단추를 다시 풀기도, 어설프게 우러나온 녹차를 버리기도 참 애매한 시점에 우리는 있다.

세상의 모든 것들이 너무나 궁금해 모든 감각을 세우고 하나라도 놓쳐버릴까 전전긍긍했던 때가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머리 속을 가득 채웠던 물음들이 돌연 사라져 버렸다. 느껴봤고, 해봤고, 가봤고, 먹어봤고, 만나봤기 때문에 더는 궁금할 것이 없었다. 세상에 대한, 타인에 대한, 심지어 나에 대한 관심도 점점 줄어들어, 물음표 하나도 생기지 못할 만큼 척박해졌다. 반복되는 생활 속 어제와 오늘, 내일은 다르지 않으며, 지친 주중과 늘어지는 주말만이 남겨졌다. 항상 새롭고 신선한 걸 원하지만, 아아, 그러기엔 몸도 피곤하고, 마음 또한 너무 피로한 걸.

그렇다면 이것도 저것도 그것도 다 해본 어른들의 삶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대로 가기는 싫은데, 저렇게 가기도 무섭고. 생각만 하다가 지쳐버린 이 불쌍한 영혼들을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은 영영 없는 것일까.

그 때, 이 책이 내 멍청한 무기력함을 깨부쉈다.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트려 버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되는 것’이라는 카프카의 말을 인용한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꽁꽁 얼어버린 내 영혼을 쳐낸 도끼가 되었다.

7년 전 나는, 그의 강의를 손꼽아 기다리던 광고학 전공생이었다. 그는 수업 첫 날, 우리가 꼭 읽어봤으면 하는 책의 리스트를 알려주었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지만 아무나 표현할 수 없는 ‘크리에이티브’를 기르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시선’이라는 것이 있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주위의 사소한 것들을 다른 시선으로 보는 습관을 들여야 하는데, 지금 말해주는 책들이 그런 시선을 기르는 힘이 되어줄 것이라고 말이다. 한 주 수업이 끝나고 나면 알 수 없는 기대감으로 마음이 설렜고, 기다리던 수업을 들으러 가는 길에 우연히 보았던 한 무리의 꽃은 이상하게 더 화사하고 향기로웠다.

지금에 와서 돌이켜보니 그 ‘알 수 없던’ 기대감은 ‘행복한’ 순간이었고, 길가에 아무렇게나 핀 꽃이 ‘이상하게’ 더 화사하고 향기로웠던 것은 작은 꽃 하나에서도 ‘감동’하고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것이 그가 말하는 일상에서 창의력이 필요한 이유다. 우리 삶의 목표가 성공하고, 행복하며, 풍요로워지는 것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런 삶이란 무엇일까. 비싼 차를 타고, 최고급 음식을 먹어도 정서적으로 풍요롭지 못하고 순간의 행복을 발견하지 못하면 삶은 피폐해진다. 순간순간 행복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같은 것을 보고도 많이 감동하고 느낄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하고, 그때 필요한 것이 바로 ‘도끼와도 같은’ 책이라고 그는 말한다. 늘 보던 것은 늘 보기 때문에 익숙해져서, 새삼 다르게 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에게 끊임없이 말을 걸고 있는 익숙한 것들에 귀를 기울이기 위해서는, 익숙한 것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우리의 얼어붙은 감수성을 도끼처럼 깨주는 작가의 책들을 읽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이다.

그는 이 책에서 그에게 ‘울림’을 줬던 책들을 소개한다. 김훈을 왜 좋아하는지, 알랭 드 보통에 왜 빠지는지, 고은의 시가 왜 황홀한지에 대해서. 또한, 시간이라는 시련을 견뎌낸 고전들의 훌륭함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책을 많이 읽기 보단 한 문장 한 문장을 꼭꼭 눌러 읽는다는 그가 이런 작품들에 어떤 식으로 감동받았는지를 듣고 나면 그가 소개한 모든 책들을 읽고 싶어진다. 심지어 이미 읽은 책임에도, 전혀 다른 책으로 느껴진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인 알랭 드 보통은 7년 전, 그 덕분에 알게 된 작가이다.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읽고 난 후의 사랑, 불안, 철학, 건축은 예전의 그것과는 확실히 다른 것이었다. 연애를 막 시작할 때, 그리고 연애가 끝나고 난 뒤, 나는 늘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읽는다. 읽을 때마다 그의 문장은 다르게 다가온다. 우리의 정신은 의식 위에 떠다니는 특정한 대상을 포착하게끔 회로에 설정된 레이더와 같아서, 책을 읽고 나면 그 전에는 무심히 지나쳤던 것들이 이 레이더에 걸리게 된다고 하는데, 알랭 드 보통의 세심함으로 내 연애의 레이더는 좀 더 촘촘해진 것 같다.

이것도 저것도 그것도 다 느껴봤고, 해봤고, 가봤고, 먹어봤고, 만나봤어! 여기에 인생의 함정이 있다. 오늘이 어제와, 내일이 오늘과, 별반 다르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풍요로워질 수 있는 이 순간을 좀먹는다. 행복을 발견하고 풍요로워지기 위해서는 삶의 안테나를 빳빳하게 세워야 한다. 그거 세워서 뭐해? 라는 생각을 누르고 안테나를 세워 레이더에 걸리는 게 없는지 살펴보는 훈련을 해야만 한다. 기준이 흔들리고 방법론에 의심이 들 때마다 삶의 지표가 될 수 있는 문장을 살펴봐야 한다.

지금 이 순간 내가 마시는 커피가, 듣는 음악이, 읽는 문장이 그저 그런 커피와 음악과 문장이 아님을 아는 것. 그것을 조금이라도 느끼기 위해 관찰하고, 사색하고, 책을 읽으며, 나만의 시선을 길러가는 과정이 곧 행복이고, 풍요임을 이제 나는 알겠다. 7년 전에는 쉽게 되었던 것이, 이젠 많은 훈련을 통해야만 가능하다는 것도.




 

img_book_bot.jpg

책은 도끼다 박웅현 저 | 북하우스

『책은 도끼다』는 창의력의 전장인 광고계에서 인문학적 깊이가 느껴지면서도 감성적인 광고를 만들어온 저자의 아이디어의 원천을 소개하는 책으로, 저자는 그것이 바로 '책'이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의 사고와 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책읽기를 하라는 것.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깊이 있게 들여다 봄으로써 '보는 눈'을 가지게 되고 사고의 확장을 이룰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책읽기를 통해 삶이 풍요로워졌음을 이야기한다. 이 책에서 그는 자신에게 울림을 주었던 책들을 소개한다. 김훈을 왜 좋아하는지, 알랭 드 보통에 왜 빠지는지, 고은의 시가 왜 황홀한지…

 




#책은 도끼다 #박웅현
12의 댓글
User Avatar

inee78

2013.07.31

좋은 소개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됐어요. ^^
답글
0
0
User Avatar

maru

2012.04.04

광고계는 창의력이 없으면 살아 남기 힘든 장소이지요. 우리의 사고와 태도에도 변화가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답글
0
0
User Avatar

피히테

2012.03.29

평소에 책을 즐겨 본다고 생각했는데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는 달라진 것 같지 않다는 게 새삼스럽게 느껴지네요..흠....
나만 그런가.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Writer Avatar

최지혜

좋은 건 좋다고 꼭 말하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