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그만둘지 모른다는 가정하에 ‘열심히’ 일을 해야 한다?
불안은 모든 인간의 마음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실존주의 심리학자들은 불안의 근원을 죽음에서 찾기도 했는데 실제로 불행이 닥치게 되었을 때 그것이 죽음과 관련된 일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죽음의 공포를 떠올리게 된다. 연애가 끝날 때도 삶이 끝난 듯 괴로워하고 직장에서 실직할 때도 삶이 끝난 듯 괴로워한다. 그것이 사소한 일이건 큰일이건 상관없이 어떤 일이 매듭지어지면 허탈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글ㆍ사진 최명기
2012.09.20
작게
크게
3. 불안과 소속감


직장인들은 늘 해고의 불안함을 안고 산다. 그래서 대부분 직장인 잘리지 않기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한다. 신입사원일 때는 남보다 앞서나가기 위해서 일을 하지만 나이가 들어 체력도 떨어지고 세상 물정을 알게 되면 잘리지 않기 위해서 일을 하게 된다. 직장인은 절대로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고 하고 회사는 더 치밀하고 엄격한 근무 평가 방법을 만들어서 위험을 회피하지 못하게 만든다. 결국, 잘리지 않기 위해 일을 해야만 한다.

수년간 직장 생활을 하다가 실직한다고 해서 당장 굶어 죽을 정도의 절대빈곤에 빠지지는 않는다. 실직은 돈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바로 지금까지 어딘가에 소속되어 있다는 안정감을 주던 무리에서 떨어져 나오는 것이다. 이제 다시 들어갈 무리를 찾거나 혼자서 독자적인 영역을 만들어 가야 한다. 새로 들어간 직장에서 적응을 못 할지도 모르고 지위는 과거와 같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수모를 참아낸다는 것도 쉽지 않고 그 수모를 기껏 참아냈는데 다시 밀려날까 두렵다.

조직에서 떨어져 나올 때 느끼는 불안은 털 없는 원숭이에 불과하던 인간이 나무에서 내려와 처음 집단을 이루던 까마득한 옛날부터 지녀온 본능적 두려움이다. 동물의 세계에서 혼자가 된다는 것은 죽음의 확률이 매우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했다. 불과 백 년 전만 해도 마을에서 쫓겨나면 호랑이에게 잡아먹힐 수도 있었으니 말이다. 자연에 맞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대집단을 만들었지만 인간의 마음은 아직 충분히 진화하지 못했다. 물론 혼자가 되었다고 해서 그것이 생존에 위협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조직에서 혼자가 되면 자동으로 불안해지고 초조해지며 큰 문제가 생긴 것만 같다고 느낀다. 그런 마음 때문에 안전이 보장된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홀로 된다는 것을 두려워한다. 당신이 불안하고 두려운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일하는 가장 큰 이유가 불안이라면 그저 명령에 쫓겨서 일을 하게 된다. 불안으로 인해 익숙한 일만 하면 기계적으로 더 잘할 수 있지만 그만큼 새로운 일을 계획할 여유가 없어진다. 그리고 불안은 여유를 없애고 여유가 없어지면서 위에서 시키는 대로만 일을 해결하려고 하게 된다. 따라서 점점 상황은 안 좋아진다. 불안은 자리에서 엉덩이를 떼게 하고 이리저리 몸을 움직이게는 할 수는 있지만 두뇌를 움직이게는 못한다. 머리로 하는 일이더라도 단순한 일만 계속할 뿐 복잡한 일은 감당을 못하고 아무리 기를 쓰고 회사에 버티고 있으려고 하지만 점점 단순한 일만 맡게 된다. 결국 아무나 할 수 있는 단순한 일만 하다 보면 월급도 오르지 않고 언젠가는 도태다.

그리고 불안하면 남을 원망하거나 자책하기가 쉽다. 언제 실직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 사로잡히면 객관적인 입장을 취하기 어려워져 원망할 대상부터 찾게 된다. 해고를 결정한 상사나 인사팀을 원망하고 정부 정책을 원망한다. 누가 되었건 무엇이 되었건 어디엔가 분노를 투사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피해자 콤플렉스는 상황을 대처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모든 것을 당신의 능력이 모자란 탓으로 돌리지도 말자. 당신이 불안하게 된 이유 중 상당 부분은 경기 부진, 본사 차원의 전략, 세대교체같이 당신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부분에서 비롯된다. 위기에 놓이게 되면 많은 이가 남을 원망하거나 자책하기를 반복한다. 아직 생기지 않은 일에 대해서 분노했다가 자책했다가 양극단적인 태도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은 아직 있지도 않은 불행을 현실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렇듯 잘릴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압도되어 일하다가 보면 인생의 패배자가 된 것 같다. 어차피 점수가 좋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면서 시험을 쳐야만 고3 수험생은 슬프다. 이미 회복할 수 없이 많은 점수를 뺏긴 다음에도 또 던져야 하는 투수도 불쌍하다. 마음속에서는 내려오고 싶지만 감독이 나오라고 할 때까지 공을 던져야만 한다. 내려왔을 때 후련하다는 마음도 있지만 마음은 전혀 편치 않다. 잘릴까 봐 두려워 억지로 일을 하는 이들의 마음도 어차피 점수가 안 좋을 텐데 시험을 치는 고3 수험생이나 실점을 하고 대신 던져줄 투수가 없어서 공을 던지는 투수의 마음과 비슷할 것이다. 잘리기 싫어서 억지로 일하는 존재라고 자신을 생각하게 되면 마음은 점점 위축된다.

하지만 이러한 본능적인 감정을 배제할 수 있다면 실제 상황은 당신이 느끼는 것보다는 더 나을 것이다. 따라서 부정적인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마음의 축을 긍정적인 쪽으로 억지로라도 돌려야 한다.



[출처] flickr의 USAG-Humphreys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오랫동안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는 선수들과 평범한 선수들의 차이에 대해서 연구를 해왔다. 그러면서 그들은 성취동기가 높은 선수는 대체로 과제에 실패했을 때 동기가 상승하고 일단 성공한 후에는 같은 과제를 다시 수행할 때 동기가 저하된다는 것을 관찰하게 되었다. 반면 성취동기가 낮은 선수는 실패한 후에는 동기가 저하되고 성공을 하면 동기가 상승한다. 따라서 성취동기가 강한 이들은 대체로 성공과 실패의 확률이 50:50으로 반반일 때 적극적으로 임하지만 반면에 성취동기가 낮은 이들은 성공할 확률이 거의 100%일 때만 흥미를 느끼고 일을 한다.

그런데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말로는 지루하다고 하면서도 틀림없이 잘할 수 있는 일만 하려고 한다. 지루한 일이 아닌 일은 그동안 해본 적이 없는 새로운 일이다. 익숙하지 않은 일들은 실패할 확률이 있기에 불확실성이 내포된 일은 골치 아파하면서 남에게 미루려고만 한다. 그렇게 아무 위험이 내포되지 않은 안정된 일만 하던 이들에게 있어서 실직을 하고 새로운 일을 찾는 것은 두렵기 짝이 없다. 만약에 실직이 두렵다면 재테크라는 명분으로 불확실한 주식투자를 하고 일확천금을 노리거나 회사 안에서부터 성공과 실패의 확률이 반반인 일을 찾아 나서야 한다. 도전하는 자세로 회사 생활을 했던 이들에게는 실직이라는 것이 덜 두렵다. 회사에 다닐 때도 항상 불확실한 일에 도전하면서 살았기에 회사 밖에서 새로운 일을 찾는 것도 그저 또 다른 불확실한 일을 하나 더 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회사에서 열심히 일하면 당신의 미래가 보장된다는 환상에 사로잡히면 안 된다. 항상 언제 그만둘지 모른다는 가정을 하고 회사 일을 해야 한다. 그런데 회사 생활을 하다가 보면 이 나이에 여기에서 나가게 되면 아무것도 못할 것 같다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그래서 회사에서 잘리지 않기 위해서 시키는 일만 죽어라고 하다가 보면 나중에 진짜 회사에서 나가게 되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람이 된다. 역설적으로 회사 생활을 ‘열심히’ 해야 한다. 그 ‘열심히’의 결과로 회사 역시 이익을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열심히’의 궁극적인 목적은 회사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를 위해서다.

회사 생활을 하던 이가 회사를 그만두고 경쟁력 있는 독특한 치킨 가게를 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회사 생활을 그만두고 낯선 자영업에 도전하면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다. 자영업을 하더라도 회사와 관련된 일을 할 때 성공의 확률이 높다. 따라서 회사 생활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회사 생활을 할 때 적극적으로 한 사람이 나중에 자영업을 할 때도 적극적으로 한다. 회사 생활을 할 때 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시켜야 겨우 움직이던 사람은 자기 일을 해도 수동적으로 움직이게 마련이다. 단지 잘리지 않을 정도로 회사 일을 하는 것으로는 모자라다. 지독하고 열심히 회사 일을 해야 한다. 일하는 방향과 목적은 나를 위해서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불안은 모든 인간의 마음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실존주의 심리학자들은 불안의 근원을 죽음에서 찾기도 했는데 실제로 불행이 닥치게 되었을 때 그것이 죽음과 관련된 일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죽음의 공포를 떠올리게 된다. 연애가 끝날 때도 삶이 끝난 듯 괴로워하고 직장에서 실직할 때도 삶이 끝난 듯 괴로워한다. 그것이 사소한 일이건 큰일이건 상관없이 어떤 일이 매듭지어지면 허탈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모든 끝은 우리에게 죽음을 연상시킨다. 그리고 삶이 불행하게 끝날지도 모른다는 우려는 우리를 불안하게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불안해지면 대게 이랬다저랬다 갈팡질팡하거나 과거에 하던 방식대로 초지일관 밀어붙인다. 대체로 둘 다 성공적이지 않다. 차라리 불안할 때는 아무것도 하지 말고 마음이 차분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낫다. 그러다 보면 길이 보인다. 눈에 보이지 않던 길이 눈에 보이게 되면 그때는 누가 뭐라고 하건 한 걸음씩 조심스럽게 발을 디디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img_book_bot.jpg

무엇이 당신을 일하게 만드는가 최명기 저 | 필로소픽
이 책은 일에서 받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일하는 이유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이 일하는 의미를 깨달으면 일의 지루함과 스트레스라는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 저자는 MBA를 공부한 정신과 전문의라는 독특한 이력답게 경영학과 정신의학을 접목한 ‘마음경영’으로 일과 삶을 조망한다. 이 책은 수많은 내담자들과의 심리 상담과 현장 강연, 그리고 인류학, 진화심리학, 사회학 등 실무 경험과 이론을 바탕으로 탐구한 워크 테라피의 결과물이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불안 #소속감 #무엇이 당신을 일하게 만드는가
6의 댓글
User Avatar

우유커피좋아

2012.12.31

목적의식이 분명하면, 일하다가 부딪치는 여러가지 문제에 있어서도 해결하려고 애쓰지 쉽게 포기는 하지 않게 되는 것 같아요.
답글
0
0
User Avatar

발칰

2012.10.29

칼럼 볼때마다 와닿는 것들이 많아서 좋네요. 이책 사서 읽어야 겠어요.
답글
0
0
User Avatar

천재

2012.10.01

소속감. 가장 무서운 그 이름.
불안함이 즐기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Writer Avatar

최명기

지은이 최명기는 마음경영 전문의다. 중앙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아산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를 취득했다. 2003년 듀크 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하고, 내친김에 건강의 통합적 방법을 모색하다 듀크 대학교 Health Sector Management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에 돌아와 부여다사랑병원을 열었다.
경영학을 공부한 정신과 전문의라는 독특한 이력을 살려, 경영학과 정신의학을 통합한 마음경영을 통해 삶의 균형을 찾는 방법을 연구하고 널리 알리고 있다.
중앙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병원경영 강의를 했으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겸직교수를 맡고 있다. 「동아비즈니즈리뷰」에서 마음경영을 주제로 칼럼을 썼고, 의료전문 사이트 ‘메디게이트’에 의료경영 칼럼을 연재 중이다. 한국생산성본부(KPC)에서 CEO 마인드테라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정신분열증을 대처하는 방법』, 『심리학 테라피』, 『병원이 경영을 만나다』, 『마음이 경영을 만나다』, 『트라우마 테라피』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