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숙제를 하지 말고 출제를 하라”
여러 분야가 함께 덤벼들지 않으면 실마리조차 찾지 못합니다. “한번 좀 해볼까” 하는 단계도 지났습니다. 이제는 융합하지 않으면 착수조차 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2013.07.15
작게
크게
공유
“자동차 잘 만들어라”, 이런 숙제가 떨어지면 우리도 이제 제법 잘 만든다는 겁니다. “반도체 잘 만들어라”, 잘 만듭니다. “배 잘 만들어라”, 잘 만들죠. 하지만 아무리 잘 만들어도 이건 ‘숙제’입니다. 누군가가 문제를 냈고 우리는 그 문제를 열심히 푼 겁니다. 여전히 우리는 ‘출제’를 잘 못합니다. 우리가 문제를 내고 세계가 따라오게 한 게 있나 한번 생각해보십시오. 그런 게 있나요? 저는 생각나는 게 없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 분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늘 청바지에 검은색 터틀넥 차림으로 가끔 뭐 새로운 것 하나 갖고 나와서 제품출시회 같은 거 하시던 분 말입니다. 잘 아시죠? 네, 이 스티브 잡스가 뭐 들고 나와서 한번 스윽 보여주면 전세계가 자지러집니다. 이 양반이 소개한 물건 하루라도 더 일찍 사려고 애플스토어 앞에서 밤새 기다리고 난리들을 치죠. 며칠 지나 산다고 해서 세상이 끝나는 것도 아닌데요. 하여간 그러고 나면 그 다음에 우리 대기업들이 비스무리한 기기 만들어놓고 구시렁거렸습니다.
“속도는 우리가 더 빠른데.”
“해상도는 우리가 더 좋은데.”
이런 소리 백날 하면 뭐합니까? 그 양반이 앞에서 이끌고 우리는 그 뒤에서 숙제하면서 질질 끌려 다녔습니다.
잡스가 아이폰 들고 나와서 했던 퍼포먼스 기억하십니까? 제품설명회 무대 한 가운데에다 이상한 이정표를 만들어놨었죠. 그 이정표에 방향 표시판 두 개 달아놨는데, 하나는 ‘Technology(기술)’ 가리키고 또 하나는 ‘Liberal Arts(인문학)’ 가리켜요. 그러니까 자기네 제품은 ‘기술’과 ‘인문’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했다는 겁니다.
이게 뭡니까.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나 과학기술의 산물로 나온 기계 덩어리인데 그걸 보고 어쩌자고. ‘구라’로 밥 먹고 사는 사람들도 저걸 보면서 “와, 구라도 저 정도면 신(神)의 수준이다” 했을 겁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저 구라가 사실로 드러난 것 아닙니까. 아이(i)로 시작하는 이름의 기기를 만들어놨더니 세상 사람들이 제 발로 그 안에 기어들어갑니다. 앱을 만들어 올리네, 네트워크를 형성하네, 하며 그 속에 들어가서 살잖습니까. 제 눈에는 하루 24시간 동안 아이폰 속에 들어가서 사는 시간이 밖에서 사는 시간보다 길어 보입니다.
이 양반이 한 일이 뭡니까. 이걸 생각해낸 것 아닙니까.
‘이 기기를 만들어내면 그 안에 새로운 세계와 사회가 구성될 것이다.’
그냥 전화를 만든 게 아니잖아요. 소비자가 뭘 절절하게 원하는가를 알고 만들어냈기 때문에 다른 겁니다. 바로 그런 일을 해낸 거예요.
영화 〈아바타(Avatar)〉도 다들 아시죠? 이 영화 제작진에 한국인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터도 있었답니다. 우리나라 정말 그림 실력 세계적입니다. 좀 과장하자면 “전세계 애니메이션은 대한민국이 다 그린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결국 뭡니까? 제임스 카메론 같은 감독이 이렇게 만들어달라고 숙제 내면 그대로 열심히 만들어냈다는 얘기입니다. 그런 방식을 뭐라고 하죠? 하청 받아서 일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하청업은 곧잘 합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아바타〉를 구상해내지 못하나요? 그리는 건 무척 잘하는데 전체 과정은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죠. 왜죠? 스토리가 중요하기 때문이죠. 기술만으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인문학만 있으면 어떨까요? 요즘 인문학 열풍이 갑자기 불고 있는데 사실 이거 웃기는 일입니다. 인문학만 갖고서는 죽었다 깨어나도 못 만들어요. 과학 위에 인문학이 얹혀야만 비로소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는 상품이 나오는 겁니다. 요즘 할리우드에서 〈아바타〉 같은 영화 많이 나오잖아요. 다 무엇이 공통점일까요? 그리스-로마 신화입니다. 과학기술로만 할 수 있는 게 아녜요. 그리스-로마 신화를 꿰뚫어야 이런 게 만들어진다는 겁니다. 그런 걸 할 수 있는 사람, 바로 스티브 잡스나 제임스 카메론 같은 사람들이 지금 세상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융합은 “어느 한 분야로는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는 데서 출발한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풀어야 하는 대부분의 문제들은 복잡계 수준의 문제들입니다. 그 어느 것도 단순하게 “이건 뭐 행정학으로 풀면 되겠네”, “이건 경제학에 답이 있지” 이런 식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여러 분야가 함께 덤벼들지 않으면 실마리조차 찾지 못합니다. “한번 좀 해볼까” 하는 단계도 지났습니다. 이제 융합하지 않으면 착수조차 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 창의융합 콘서트
- 최재천,박용후,이영혜 등저 | 엘도라도
최재천(과학자), 박용후(관점디자이너), 이영혜(기업인), 박진우(디자이너), 유지나(영화평론가), 정지훈(연구인), 조벽(교육학자) 등 과학ㆍ영화ㆍ게임ㆍ디자인ㆍ교육ㆍIT계의 내로라하는 융합 국가대표 12인의 공저로 탄생한 책. ‘기술’과 ‘인문’의 융합을 테마로 지식의 경계를 허물고 차이를 포용하는 관점의 교차를 통해 급변하는 세상에 대한 통찰력과 미래에 대한 혜안을 제시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흥미롭고 기발한 ‘융합’ 사례를 단순히 지식의 측면이 아닌 ‘비즈니스’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지식의 이종교배를 넘어 실제로 ‘돈’이 되는 융합의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9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최재천
최재천은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및 에코과학연구소 소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한 뒤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생태학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시절 세계적 과학자인 에드워드 윌슨의 제자로 있었으며 후에 그의 저서를 번역하면서 ‘통섭’ 개념을 국내에 도입해 널리 알렸다. 과학자이자 융합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중요한 화두를 던져온 그는 “알면 사랑한다”를 좌우명으로 자연 사랑과 기초 과학의 전도사로 전국을 누비고 있다. 《과학자의 서재》《다윈 지능》《통찰》《통섭의 식탁》 등을 썼고 《통섭》《우리는 지금도 야생을 산다》《무지개를 풀며》 등을 옮겼으며 다수의 책을 감수했다.
que73
2014.02.03
inee78
2013.07.31
sind1318
2013.07.31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