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신간] 『잠자는 미녀들』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외
[이주의 신간] 『잠자는 미녀들』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외 스티븐 킹과 아들의 합작 『잠자는 미녀들』, 젊은 공룡학자가 보여주는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지배와 복종에 맞서는 법 『결 : 거침에 대하여』 등 주목할 만한 신간을 소개합니다. 2020.03.11 채널예스
잠자는 미녀들 세트 결 거침에 대하여 귀찮지만 행복해 볼까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땅속에 숨겨진 생명의 진실을 쫓아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땅속에 숨겨진 생명의 진실을 쫓아 비명이 터져 나오는 입을 간신히 틀어막고 숨을 죽인다. 쿵. 티라노사우루스 렉스가 목표물을 향해 한 발 더 내딛는다. 50여 개의 날카로운 이빨이 늘어선 입가가 시야를 메운다. 2020.03.03 출판사 제공
역사 공룡 공룡학자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티라노사우루스
김상욱 “우리는 모두 어릴 때 과학자였다”
김상욱 “우리는 모두 어릴 때 과학자였다” 저도 그렇고 제 동료들도 그렇고 대부분 과학자가 되기 위한 특별한 교육을 받은 게 아니라, 어린 시절의 호기심과 열정을 꺾이지 않은 사람들이 끝까지 과학자로 남은 것 같아요. 아이들에게 수학 문제집 풀라고, 과학 문제집 풀라고 강요 안하면 과학자가 될 거예요. 2024.04.19 정의정
유발 하라리 "기후변화와 AI문제, 인류의 협력이 답이다"
유발 하라리 "기후변화와 AI문제, 인류의 협력이 답이다" 저는 역사와 과학을 어린 시절에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계관이 형성될 시기니까요. 성인이 되어 제 책을 읽은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종교나 정치, 혹은 경제에 대한 의견을 바꾸는 게 너무나 어렵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2023.04.26 신연선
예스24 문화단신 멈출수없는우리 유발하라리 채널예스
[지복의 성자] 오직 사랑으로 결속된 삶과 죽음의 공동체
[지복의 성자] 오직 사랑으로 결속된 삶과 죽음의 공동체 소설은 크게 두 갈래의 이야기로 나뉘는데, 그중 한 축의 중심에는 ‘안줌’이라는 인물이 있다. 안줌은 1950년대 중반, 인도 델리에서 남성과 여성의 성기를 한몸에 지닌 채 태어났다. 안줌의 부모는 절망하는 한편 아이를 남성으로 키우고자 노력하지만, 안줌은 우연히 시장에서 여성의 옷을 입고 거리를 자유롭게 활보하는 ‘히즈라’(통념적인 남성이나 여성에 속하지 않는 제3의 성)를 보고 자신도 그 사람처럼 되고 싶다고 느낀다. 2020.03.04 출판사 제공
결속된 삶 죽음의 공동체 지복의 성자 사랑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의 위대한 소설을 그래픽노블로 만나다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의 위대한 소설을 그래픽노블로 만나다 『앵무새 죽이기』 오디오북도 출시한다. 하퍼 리가 쓴 『앵무새 죽이기』를 토대로 제작된 오디오북은 2월 17일부터 네이버 오디오클립을 통해 만날 수 있다. 2020.03.03 출판사 제공
소설 그래픽노블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이상한 우주의 앨리스] 지구 말고 다른 행성에 누군가 살고 있다면?
[이상한 우주의 앨리스] 지구 말고 다른 행성에 누군가 살고 있다면? 신비하고 호기심 가득한 우주를 구석구석 탐험하는 이야기다. 지구와 달, 태양계, 은하, 블랙홀 등 다양한 천체의 모습을 보여주며 우주에 관한 궁금한 점들을 알려준다. 2020.03.03 출판사 제공
이상한 우주의 앨리스 은하 태양계 우주
[특별 기고] 착하게 굴고 떠들어 댄다
[특별 기고] 착하게 굴고 떠들어 댄다 이 책은 그러한 진실을 뼈를 때려가며 명징하게 직조해내는 걸작이다. 쥐라기 공원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가 읽어야만 한다. 2019.06.21 홍기빈(칼폴라니 사회경제연구소 소장)
엘리트 독식사회 홍기빈 소장 진실의 뼈 지배 엘리트
고병권 “『자본』은 고상한 책, 경제학의 시각으로만 봐선 안 돼”
고병권 “『자본』은 고상한 책, 경제학의 시각으로만 봐선 안 돼” 『자본』은 고상한 책이에요. 경제학의 시각으로 볼 수도 있지만, 근대적 주권이라든지 국가권력 문제로 볼 수도 있어요. 상품 거래는 어떤 인간 관계를 전제하는지와 같은 사회학 주제도 있고요. 물신주의라는 우리 시대의 종교, 심리학을 다루기도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가 속한 시대, 우리사회를 읽는 책으로서 저는 『자본』을 천천히 읽으려고 합니다. 2019.01.22 손민규(인문 PD)
묵묵 고병권 작가 북클럽 자본 시리즈 마르크스
이정모 “과학의 대중화? 대중의 과학화!”
이정모 “과학의 대중화? 대중의 과학화!” 의심하고 겸손해지는 게 사람이 과학을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생각해요. 2018.02.19 정의정
이정모 작가 생활밀착형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과학
최재천 “아이가 어려운 질문할 때 고민하지 마세요”
최재천 “아이가 어려운 질문할 때 고민하지 마세요” 부모는 아이들이 끊임없이 질문하면, 나를 괴롭히려고 얘가 그러나? 착각하는데요. 그렇지 않아요. 궁금해서 하는 질문이에요. 내가 정답을 줘야 한다는 의무감을 버려야 대화가 진전돼요. 2017.08.08 엄지혜
어린이 대학 - 생물 최재천 질문 지능
이정모 “멸종, 심각하고 우울한 단어일까?”
이정모 “멸종, 심각하고 우울한 단어일까?” 인간이 있으니까 자연이 아름답고, 지구가 의미가 있고, 우주가 장엄한 거죠. 2015.10.12 신연선
이정모 공생멸종신화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