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잘 살면 왜 안 돼요?”라는 사소하면서도 개인적인 질문은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와 만나면서 무척 중요하고 사회적인 질문으로 확장된다. ‘나’만 혼자 잘하면 될 것 같고, ‘나’만 돈 많이 벌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할 것 같지만,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결국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이 책에서 다루는 사회문제를 살펴보다 보면, 모두 그 결론은 ‘타인의 입장이 되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인류가 함께 잘 살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사실에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 교과서는 ‘우리에게 자연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불평등을 없애고 사회정의를 이뤄야 한다, 행복한 삶을 위한 조건에는 이런 것들이 있다’고 가르친다. 막연하기 그지없다. 사회 시간에 진정 ‘인싸’가 되려면, 구체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자연환경과 관련해 어떤 문제가 일어나고 있으며, 불평등과 혐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고통받고 있는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
나만 잘 살면 왜 안돼요?이치훈, 신방실 저 | 북트리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인간의 이기심이 서로에게 어떤 상처를 주고, 지구를 얼마나 병들게 하는지를 이야기한다. 왜 함께 잘 살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지에 대해 진심어린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나만 잘 살면 왜 안돼요?
출판사 | 북트리거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