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기난사로 77명 희생된 ‘순진한 나라’ 노르웨이의 비극 - 요 네스뵈 『스노우맨』
북유럽 소설 특유의 분위기에, 스티븐 킹을 연상시키는 스토리텔링과 레이먼드 챈들러를 연상시키는 하드보일드적 요소가 어울러져, 오직 요 네스뵈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세계를 구축해내고 있는 이 비범한 작가를 채널예스가 서면으로 만나보았다.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지금, 그의 추리소설로 더운 밤을 시원하게 새보는 것은 어떨까.
글: 김정희
2012.07.19
작게
크게
북유럽 추리 소설이 인기다. 아서 코난 도일과 애거서 크리스티라는 양대 산맥이 이끄는 영미 추리소설을 약간은 기이하고, 낯설고, 으스스한 북유럽 추리 소설이 추격하고 있다. 스웨덴과 덴마크, 노르웨이, 그리고 아이슬란드의 소설을 통칭한 북유럽 추리소설은 눈이 덮인 풍경과 혹독한 추위를 배경으로 복지국가의 평화로운 모습 뒤에 숨은 범죄의 그림자를 다루는 게 특징이다. 여기에 완벽하기는 커녕 인간적인, 가끔은 초라하기까지 한 주인공이 등장한다. 북유럽 추리소설 열풍의 시작은 2011년 재출간된 스웨덴 작가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 시리즈다. 기자 출신 작가 라르손의 유작이기도 하며 북유럽을 시작으로 유럽과 영미를 휩쓸고 지난해 영화로 제작됐다.

북유럽의 인기 추리소설 작가를 읊어본다면 크옐 에릭손, 하칸 네세르, 애사 라르손, 오케 에르바르드손, 리자 마르클룬드, 마리 융스테드트 등이 있겠으나 가장 인기 있는 작가는 요 네스뵈. 요 네스뵈는 노르웨이의 국민작가로 불릴 만큼, 그의 작품은 출간하자마자 베스트셀러에 오른다고 한다. 이 인기는 자국 노르웨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럽 각국의 서점가에서 ‘다시 없을 최고의 소설’ ‘올해의 소설’로 거의 매년 선정이 된단다.

북유럽 소설 특유의 분위기에, 스티븐 킹을 연상시키는 스토리텔링과 레이먼드 챈들러를 연상시키는 하드보일드적 요소가 어울러져, 오직 요 네스뵈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세계를 구축해내고 있는 이 비범한 작가를 채널예스가 서면으로 만나보았다.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지금, 그의 추리소설로 더운 밤을 시원하게 새보는 것은 어떨까.




노르웨이

 

한국 사람들은 노르웨이를 복지정책이 아주 잘 되어 있고, 자살률이 높은 나라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는데요, 작가 님께 노르웨이 소개를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북유럽의 작은 나라죠. 전 그 작은 나라의 무명 작가이고요 (웃음) 노르웨이에 관한 정보라면 백과사전이나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제가 특별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건… 범죄는 어디서든 일어난다는 사실입니다. 이곳의 사회 안전망은 훌륭하고 문화 수준이나 삶의 질도 높지만, 정신적 공허감이나 겨울만큼 깊은 고독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제 작품에도 언급됩니다만, 제가 생각하는 노르웨이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됩니다.

좋은 나라, 오래된 나라, 지나치게 순진한 나라.

해리 홀레가 성장할 때의 노르웨이는 ‘순진한 나라’의 측면이 더 강했겠지요. 지금은 그보다는 덜합니다. 지난해 극단적 인종차별주의자에 의해 77명이 희생된 총기난사 사건 이후에는 완전히 달라졌고요. 2000년에 발표한 소설 『The Redbreast』 에서 묻지마 식의 대량살인을 다룬 적이 있었는데, 현실은 소설보다 잔혹했습니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 노르웨이는 여전히 순수합니다. 이 순수성은 소설가에게는 매우 유리한 덕목인데요, 어쩌면 이 순수성이 스칸디나비아 스릴러가 독자들에게 인기를 얻는 주요 요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떤 사람이 노르웨이의 작은 마을에서 살해당했다고 칩시다. 그를 아는 모든 친지들에게 이 살인사건은 여전히 엄청난 쇼크일 것입니다. 전 세계 어느 곳보다 살인사건이 충격으로 다가오는 나라가 바로 노르웨이입니다.


해리 홀레

 

아무래도 ‘해리 홀레’라는 인물에 대하여 질문을 안 드릴수가 없는데요, ‘해리 홀레’라는 캐릭터는 어떻게 태어나게 되었는지요.

 

해리 홀레의 탄생에는 저를 포함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선, ‘홀레 아저씨’가 있겠네요. 저희 할머니가 사는 마을의 경찰관 ‘올라브 홀레’씨인데, 제가 어렸을 때 말썽을 피우면 할머니가 곧잘 “홀레 아저씨가 잡으러 온다!” 하고 겁을 주시곤 했어요. 그 외에도 헨릭 입센의 ‘브랜드’, 프랭크 밀러의 ‘배트맨’, 찰스 부코스키의 ‘헨리 치나스키’와 같은 소설 속 주인공들도 홀레의 탄생에 일조했고요.


알코올중독

 

해리 홀레가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알코올중독자에 일중독자라는 점입니다. 그를 이렇게 그리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해리 홀레 시리즈에 착수하면서 제가 가장 공을 들인 부분은 바로 ‘아킬레스건’입니다. 마음속에 내재된 어떤 악마성이라고나 할까요? 외모나 행동, 언어를 통한 외적 표현 외에도 내적 긴장감을 늘 팽팽하게 유지시키려 했습니다.

해리를 굳이 알코홀릭으로 만든 건 바로 그래서입니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익숙한, 클리셰적 이미지를 원했던 것은 아닙니다. 이를테면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미국 탐정들은 대체적으로 대단히 쿨하죠. 하지만 해리의 성격은 오히려 찌질한 편에 가깝죠. (웃음) 해리에게 있어 알코올은 ‘슈퍼맨’의 크립토나이트(외계에서 온 녹색 돌로 슈퍼맨의 유일한 약점이다) 같은 존재입니다.


『스노우맨』1

 

『스노우맨』이 전세계적으로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스노우맨』을 착상하시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으셨나요?

 

아는 사람이 영화를 제작한다며 영화 제목을 지어달라는 의뢰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저는 『스노우맨』이라는 제목을 제공했고 퇴짜를 맞았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눈사람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영화였거든요. (웃음) 하지만 어째서인지 ‘눈사람’이라는 단어가 뇌리에서 떠날 줄을 몰랐습니다. 여느 집의 정원에 놓인 눈사람, 바깥에서 돌아와 입김을 뿜으며 아이를 칭찬해주는 엄마, 하지만 놀라서 굳어져버리고 마는 아이, 그리고 눈사람을 만든 적 없다는 아이의 대답… 이런 것들에 대해 내내 생각하고 또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소설을 쓰게 되었습니다.


『스노우맨』2

 

『스노우맨』은 작가님께 어떤 작품인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스노우맨』을 보고 내용이 상당히 ‘세다’라는 이야기를 자주 듣습니다. 그러나 스노우맨에 ‘피’가 나오는 장면은 사실 많지 않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스노우맨』을 집필하면서 제가 원했던 것은 피로 물든 뜨거운 스릴이 아닌 눈의 맛, 눈의 냄새까지 전하는 서늘한 스릴이었습니다. 폭폭, 무릎까지 올라오는 눈을 밟는 느낌과 질척거리는 눈의 뒷맛까지 전해드릴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다양한 직업 그리고 글쓰기

 

뮤지션, 경제학자 등 다양한 일들을 하고 계시는 프로필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입니까. 그리고 많은 일 중에서 ‘글쓰기’ 혹은 ‘소설 쓰기’는 작가님께 어떤 의미입니까.

 

음악을 듣고 있으면 몸과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생각도 자유로워집니다. 제게 음악은 긴장을 풀어주는 특효약과도 같습니다. ‘일’이라고 생각했으면 아마 못 했을 겁니다. 그에 비해 글쓰기란 상상력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작업이므로 늘 어떤 긴장감을 유지해야 하지요. 어쨌든 지금으로서는 음악보다 작품 활동이 우선입니다.

꼭 뮤지션이나 경제학자로서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성격과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어떤 동기를 가지고 어떻게 일을 하는지 지켜보는 일은 작가에게 강한 영감을 선사합니다. 병원이든 출판사든 경찰서이든 사람이 모여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가리지 않고 서성거리며 관찰하고 또 관찰했습니다. 어쩌면 작가에게는 모든 종류의 직업이 유용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 직업들을 생각하면, 제가 가장 좋아했던 일은 택시 운전사였습니다. 조그만 택시를 몰아 제가 사는 동네를 몇 시간이고 돌아다녔죠. 그 안에서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이 가진 이야기를 파고들었습니다. 그 시간들이 해리 홀레의 캐릭터를 구성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영향 받은 작품

 

작가 님께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만한 작가나 작품이 있으십니까.

 

나보코브의 『롤리타』, 짐 톰슨의 『내 안의 살인마』, 크누트 함순의 『판』, 찰스 부코스키의 『호밀빵 위의 햄』등을 특히 좋아합니다. 같이 글을 쓰던 친구들이 속속 데뷔하는 것을 보며 조급한 마음이 들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계속 책을 읽으면서 글 쓰는 것을 최대한 나중으로 미뤘습니다. 도저히 더 이상 미룰 수 없을 만큼 글이 쓰고 싶어졌을 때, 정말 미친 사람처럼 글을 쓰기 시작했죠.


가치

 

작가 님께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시는 가치는 무엇입니까. 사랑? 혹은 연대?

 

해리 홀레 식으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인생의 목표는 악(惡)이 무엇인지 알게 되는 것.
그리고 사랑이 무엇인지 알게 되는 것.


젊은이를 향한 메시지

 

Stephane Hessel의 『분노하라』라는 책을 아시는지요. 젊은이들에게 사회 양극화, 외국 이민자에 대한 차별,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금권 등에 저항할 것을 주문한 책으로, 한국에서도 큰 호응을 얻은 책입니다. 이런 점이 시사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 시대의 삶이 팍팍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텐데요.. 행복보다는 불행이 더 당연스레 여겨지는 삶을 살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작가 님의 메세지를 부탁합니다.

 

제가 어렸을 때, 아버지가 폭탄선언을 하나 했습니다. “우리 집 파산했다.”라는 내용이었지요. 그때나 지금이나 아버지는 존경받을 만한 분이고, 빚을 모두 갚을 수 있다고 장담하셨죠. 그 후로 집은 쑥대밭이 되었습니다. 나중에야 알았지만 그때 부모님은 빚을 컨트롤할 만한 여건이 되지 않으셨던 거죠. 이러다가 길바닥에 나앉으면 어쩌나, 어린 마음에 걱정했던 기억도 납니다. 그때의 경험이 머리가 굵어진 지금까지도 제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 이런 경험도 있습니다. 열일곱 살에 배낭 하나 메고 석 달 동안 세계 여행을 다녔습니다. 쿠데타, 암살, 기아, 학살, 쓰나미, 그리고 빈부의 격차를 두루 겪었습니다. 그러고 나서야 모든 사람의 물질적 필요가 고르게 충족되는 곳이 노르웨이라는 것을 비로소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총기난사 사건이 나라 전체의 분위기를 바꾸어버렸고, 그 점이 무척 안타깝습니다.

한 사람의 개인이 사회를 바꿀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개인이 서로 돕고 공동체를 만들고 연대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우리 사회가 늘 행복한 사회보다는 진정으로 인간적인 사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소설 <스노우맨> 소개 북 트레일러




img_book_bot.jpg

스노우맨 요 네스뵈 저/노진선 역 | 비채

인기 작가 마이클 코넬리와 제임스 엘로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와 주인공’으로 서슴없이 꼽으며, 외국소설 안 읽기로 유명한 영국 서점가에서 석 달 연속 베스트셀러에 오른 글로벌 화제작, 인구 450만의 노르웨이에서 150만 명이 읽는 등 스칸디나비아는 물론, 유럽 각국과 영미권 독자들까지 단숨에 사로잡은 냉혹하고 뜨거운 소설이다. 이야기는 첫 눈이 내리는 오슬로의 풍경으로 시작된다…



#요 네스뵈 #스노우맨 #노르웨이 #해리 홀레 #북유럽 추리 소설 #북유럽
11의 댓글
User Avatar

sh8509

2013.05.03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한 번 읽어보고 싶은 책이네요.
답글
0
0
User Avatar

pota2to

2012.12.08

북트레일러 영상 잘 봤습니다. 올해가 가기전에 읽어봐야겠어요 ㅎㅎ
답글
0
0
User Avatar

팡팡

2012.11.04

당분간 장르소설은 피하고자 했건만, 스노우맨은 표지부터 내용까지 정말 끌려요 _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롤리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내 안의 살인마

<짐 톰슨> 저/<박산호> 역

분노하라

<스테판 에셀> 저/<임희근> 역

출판사 | 돌베개

밀레니엄 시리즈 세트

<스티그 라르손> 저/<임호경> 역

스노우맨

<요 네스뵈> 저/<노진선> 역

출판사 | 비채

Writer Avatar

김정희

독서교육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Writer Avatar

요 네스뵈

노르웨이의 국민 작가이자 뮤지션, 저널리스트 그리고 경제학자. 1960년, 소설의 주된 무대가 되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태어났고 그 곳에 살고 있다. 어린 시절 축구에 두각을 나타내어 ‘몰데’ 소속으로 노르웨이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열여덟 살에 무릎 인 대 파열로 축구선수의 꿈을 접었다. 군 복무 후에는 노르웨이 비즈 니스 스쿨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이때 친구들과 밴드 ‘디 데레 Di Derre’를 결성했다. 처음에는 실력이 형편없다는 이유로 매번 밴드 이 름을 바꿨지만 차츰 팬들이 그들을 기억하게 되었고, 이름을 몰라 ‘그 남자들 Di Derre’을 찾던 것이 훗날 밴드 이름으로 굳어졌다고 한 다. 졸업 이후에는 증권중개업을 하면서 저널리스트 활동에 밴드 활 동까지 이어갔다. 그러던 어느 날, 돌연 멤버들에게 활동 중단을 선 언한 후 오스트레일리아로 떠났다. 낮에는 숫자와 씨름하고 저녁에 는 무대에 서는 나날에 지친 탓도 있었고, 자신이 글을 쓸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어서이기도 했다. 그리고 반년 후, 요 네스뵈는 첫 작품 《박쥐》와 함께 돌아왔다. 바로 ‘형사 해리 홀레 시리즈’의 시작이다. 이 작품으로 페터 회, 스티그 라르손, 헤닝 만켈 등 쟁쟁한 작가들이 거쳐 간 북유럽 최고의 문학상 ‘유리열쇠상’을 거머쥐었다. 190센티미터가 넘는 키에 민첩하고 깡마른 몸. 수사에는 천재적이지 만 권위주의 따위는 가볍게 무시해버리는 반항적 언행으로 골칫거리 가 되는 해리 홀레는 악惡과 싸우다 악에 물든 매력적인 반영웅 캐릭 터이다. 형사 해리의 탄생을 담은 잔혹한 성장소설 《박쥐》를 시작으 로, 역사소설적 면모를 보여준 《레드브레스트》, 동화 속 눈사람을 호 러로 바꾸어놓은 《스노우맨》, 거대한 스케일로 압도하는 《레오파드》, 아들이 아닌 아버지로서의 해리를 그린 《팬텀》, 거대한 상실과 직면 하는 《칼》까지 발표하는 작품마다 뜨거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아 들》《킹덤》《맥베스》 등 해리 홀레가 등장하지 않는 스탠드얼론 스릴러도 꾸준히 발표해왔으며, 호러소설 《나이트하우스》와 단편집 《질 투하는 남자》 등 새로운 도전까지 이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12권이 발표된 ‘형사 해리 홀레’ 시리즈는 전세계 40개국 에서 출간되어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북유럽문학 붐의 선두에 섰다. 노르웨이 국왕은 물론 마이클 코넬리, 제임스 엘로이 등 유명 작가 가 앞다투어 그의 팬을 자처했고, 영국에서는 가장 많이 팔린 외국소 설로 선정되었다. 핀란드와 덴마크에서 최우수 외국문학상을 수상했 고 일본과 대만에서의 인기도 뜨겁다. 노르웨이 문학을 세계에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페르귄트상, 201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상, 2016년 리버튼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19년에는 《칼》로 22년 만에 리버튼상을 다시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