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K의 반쯤 빈 서재] 영원한 수수께끼와 작은 용기
나에게 충분한 명분과 확신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출간일이 임박해 혼란스러워하는 작가에게도, 책의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마무리 작업에도 이롭다, 그게 내가 편집자로서 가져야 하는 태도이자 전문성이다.
글ㆍ사진 강윤정(문학 편집자, 유튜브 채널 <편집자K> 운영자)
2022.06.08
작게
크게


얼마 전 오랜만에 신작 장편 소설을 출간한 김영하 작가님의 『작별인사』 북 토크를 유튜브 〈편집자K〉 채널에서 진행했다. 작가님의 소설집 『오직 두 사람』을 편집했고, 『작별인사』의 초고를 살핀 인연이 있어 나에게도 오래 기억될 행사였다. 북 토크는 대개 작가의 근황과 책 내용으로 채워지게 마련인데, 함께 작업한 두 사람이 꾸린 행사였던 터라 작가 - 편집자의 협업 과정에 대해서도 제법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그러던 중 김영하 작가님이 문득 생각났다며 『오직 두 사람』 편집 당시의 일화를 소개했다. 본인이 어떤 부분을 수정하려고 했는데, 담당 편집자였던 내가 그 수정에 반대하며 “작가님, 이건 저를 믿으세요.”라고 했고, 결국 그 말에 따라 수정하지 않기로 했다고. 나도 그때가 기억나 구체적인 상황을 부연할 수 있었다. 편집 과정이 거의 다 진행되었을 때였다. 표지 작업을 마무리하며 뒤표지에 짤막한 카피 하나와 ’작가의 말’ 발췌문을 넣어 작가님께 보여드렸다. 작가님이 수정하는 게 낫지 않을까 했던 것은 그 ‘작가의 말’ 부분이었다. 대개 한국 소설의 뒤표지에는 헤드 카피와 서브 카피 그리고 추천사나 해설의 일부, 혹은 작품의 일부를 발췌해 싣는 터라 ‘작가의 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게 괜찮을까 싶었던 것이다. 

뒤표지에 들어갈 내용을 두고 편집자가 작가를 설득한 것이 작가에게 그렇게 인상적인 일인가 싶을 수 있다. ‘지금 읽고 있는 책 뒤표지에 뭐라고 적혀 있는지도 기억나지 않는데….’ 하며 의아해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물론 뒤표지에 적힌 것은 그게 뭐든 작품에 비하면 부수적이다. 책의 핵심은 작품에 있으니까. 그러나 독자가 한 권의 책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텍스트는 공교롭게도 작품이 아니라 표지에 적힌 것이다. ‘이 책 재밌어 보이는데?’, ‘이 책 나에게 필요한 것 같은데?’ 하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은 많은 경우 표지와 날개, 띠지에 적힌 여러 문구이다. 독자는 그 책이 어떤 작품인지 안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모르는 채 구매한다.

표지에 적힌 다양한 글귀들은 편집자가 선택한다. 네모반듯 한정된 공간을 어떻게 채울지는 전적으로 편집자에게 달렸다. 작품의 여러 특징 가운데 어떤 면을 부각할 것인가, 어떻게 드러낼 것인가, 더 많은 독자가 이 책을 선택하게 하려면…, 그러면서 이 작가의 작품 세계를 온전히 보여주려면…, 고민하고 또 고민하는 시간들의 결과물이다.

『오직 두 사람』 뒤표지에 ‘작가의 말’을 실은 건 당시 나에게도 새로운 시도였다. 앞서 말했듯 일반적인 방식은 아니니까. 그렇지만 7년 만에 선보이는 이 작품집은 김영하 작가님의 작품 세계에서 큰 전환점이라 생각했고, 작가의 육성만큼 지난 시간이 어떤 의미였는지 잘 보여주는 건 없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작가가 “이게 괜찮을까요?”라고 물었을 때 흔들리지 않는 건 다른 문제다. 여기에 정답은 없으니까. 다양한 가능성 가운데 어느 쪽을 선택할 때 최상의 결과가 나올지 알 수 없으니까. 뒤표지에 ‘작가의 말’ 대신 표제작의 좋은 구절을 발췌해 싣는 것이 더 많은 독자의 호감을 살 수도 있다. 강렬한 카피를 넣는 게 더 좋을 수도 있다. 기회는 한 번뿐이며 다른 가능성은 영원한 수수께끼처럼 묻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괜찮겠느냐고 물었을 때 “작가님, 이건 저를 믿으세요.”라고 말할 수 있었던 건 내게 신중히 고민했던 시간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시간에 작가님도 납득한 것이리라.

어쩌면 작가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안전할지도 모른다. 설득할 것도 책임질 것도 없으니까. 연차가 적고 경험이 많지 않았을 때는 더 그랬던 것 같다. 그런데 김영하 작가님께 나를 믿어달라고 처음으로 용기 내어 말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진 뒤, 뭔가 확실히 달라졌다. 내가 하는 일에 대해 새로이 자각할 수 있었다. 나에게 충분한 명분과 확신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출간일이 임박해 혼란스러워하는 작가에게도, 책의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마무리 작업에도 이롭다, 그게 내가 편집자로서 가져야 하는 태도이자 전문성이다.

이후 나는 조금 더 과감한 시도도 할 수 있었다. 배수아 작가님의 『뱀과 물』과 이승우 작가님의 『사랑이 한 일』을 작업할 때는 뒤표지에 카피도 빼고 작품의 일부 내용만을 발췌해 실었다. 허허로운 표지가 낯설긴 했지만 이것으로 충분하다고 확신했다. 언젠가 이마저도 빼고 아무 내용 없는 표지를 선택하는 날도 올까? 그럴 때 나는 나 스스로와 작가를 어떻게 설득할까? 설명보다는 침묵이 더 어울리는 책이 있다고. 세상에는 설명되지 않는, 아니 침묵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나은 아름다움이 많지 않으냐고. 아마 그렇게 말하고 싶지 않을까.



작별인사
작별인사
김영하 저
복복서가
오직 두 사람
오직 두 사람
김영하 저
문학동네
뱀과 물
뱀과 물
배수아 저
문학동네
사랑이 한 일
사랑이 한 일
이승우 저
문학동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채널예스 # 예스24 # 편집자K의반쯤빈서재 #작별인사 #오직두사람 #뱀과물 #사랑이한일 #eBook
0의 댓글
Writer Avatar

강윤정(문학 편집자, 유튜브 채널 <편집자K> 운영자)

『문학책 만드는 법』을 썼고 유튜브 채널 <편집자 K>를 만들고 있다.

Writer Avatar

김영하

1968년 강원도 화천에서 태어나 군인인 아버지를 따라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성장했다. 잠실의 신천중학교와 잠실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영학 학사와 석사를 취득했다. 한 번도 자신이 작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1990년대 초에 PC통신 하이텔에 올린 짤막한 콩트들이 뜨거운 반응을 얻는 것을 보고 자신의 작가적 재능을 처음으로 깨달았다. 서울에서 아내와 함께 살며 여행, 요리, 그림 그리기와 정원 일을 좋아한다. 1995년 계간 [리뷰]에 「거울에 대한 명상」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살인자의 기억법』, 『너의 목소리가 들려』, 『퀴즈쇼』, 『빛의 제국』, 『검은 꽃』, 『아랑은 왜』,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소설집 『오직 두 사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오빠가 돌아왔다』,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호출』, 여행에 관한 산문 『여행의 이유』와 『오래 준비해온 대답』을 냈고, 산문집 삼부작 『보다』, 『말하다』, 『읽다』 삼부작과 『랄랄라 하우스』 등이 있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를 번역했다. 문학동네작가상 동인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만해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김유정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들은 현재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 네덜란드 터키 등 해외 각국에서 활발하게 번역 출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