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없는 식물이 인간의 손에 들려 들어와 집안에서 살게 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실내에서 식물을 기르는 모습은 기원 전 500년경의 중국 벽화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하니, 일명 '식집사'의 역사는 생각보다 훨씬 오래된 것 같다.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감염병이 창궐하여 홀로 있게 될수록, 기계에 둘러싸여 자신도 기계처럼 여겨질수록 식물이 우리 생활에 더 깊이 들어오는 걸 보니, 자연과 연결되고자하는 인간의 절박함을 알겠다. 그러나 그 절박함이 무색하게도 식물은 우리 곁에 쉽게 온다. 그리고 정원에서 베란다로, 베란다에서 창가로, 창가에서 거실과 방으로 깊숙이 들어와 우리 생활의 한 공간을 당당히 차지하고 있다.
식물은 분명 그 자체로 매력적이다. 눈을 부릅뜨고 지켜볼 때는 꼼짝 않고 정지의 상태이면서, 한눈을 팔고 돌아오면 어딘가 변해 있다는 사실은 나에게 여전히 놀랍다. 우리는 좀처럼 식물이 변하는 그 순간을 목격하기 어렵다. 한눈을 팔다 문득 돌아보면 어느새 뿌리가 자라 있고, 어느새 새순이 나 있고, 어느새 꽃을 피우고, 어느새 죽어 있기도 하면서, 끊임없이 우리에게 '성장'과 '생명'이라는 진부한 주제를 상기시킨다. 식물의 온몸으로 발산하는 색은 또 어떤가? 어떤 뛰어난 인공 안료로도 흉내 내기 힘든 빛깔들. 거기다 식물은 예측 가능함으로 돌보기의 즐거움 주었다가도 예측 불가능함으로 인간의 통제에 완전히 들어오지 않음을 똑똑히 알려준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하듯 나 또한 식물을 애호하던 부모님 밑에서 자랐다. 베란다(정확히는 실내화된 발코니)에 늘어선 많은 화분들, 그것들을 돌보던 부모님의 뒷모습이 익숙한 세대다. 내 방과 작업실 곳곳에 배치된 화분들을 보고 있자면, 이 또한 부모님에게 물려받은 것 중 하나가 아닌가 한다.
당황스럽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이 연재를 시작한 나로서도 민망하지만, 누군가 나에게 "식물을 사랑하세요?"라고 묻는다면, "네, 끔찍이요!"라고 대답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그렇다고 좋아하지 않는다는 건 아니지만, 식물을 사랑한다고는... 아무래도 이 대답은 보류해야겠다. 다만, 확실한 것은 식물을 통해 내가 새롭게 맺게 된 세계가 있고, 반대로 새로 획득한 어떤 렌즈를 통해 식물을 다르게 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처음 가르쳐준 건 성규 씨였다. 큐레이터이자 원예가인 성규 씨는 2018년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에서 처음 만났다. 그는 한국관의 어시턴트 큐레이터로 전시를 진행 중이었고, 건축 전문 잡지사 기자였던 나는 전시를 취재 중이었는데, 둘 다 혼이 쏙 빠져 있기는 마찬가지였다. 한국관 스텝들과 숙소를 같이 쓰며 가끔 식사를 같이 하기도 했는데, 한번은 성규 씨와 둘이 이야기하게 되었다. 숙소 앞 가게에서 스플리츠 한잔 씩 앞에 두고, 우리는 마땅히 일 얘기를, 하지 않았다. 대신 성규 씨는 자신이 돌보는 식물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면 식물 이야기가 아니기도 했다. 식물 자체 보다는 사선의 지붕을 가진 자신의 방,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과 그림자의 형태, 모빌의 움직임과 같은 것들을 훨씬 더 길고 자세하게 묘사했다. 아마 식물을 통해 알아차리게 되는 것들인 것 같았다. 식물 가지를 가위로 잘라내며 수형을 만든다고 했을 때, "수형이 뭐예요?"라고 물을 만큼 나는 식물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지만, 자신이 머무르는 공간을 관찰하거나 묘사하는 데에는 더욱 몽매함을 그때 알아차렸다. 내 생 4할이 건축으로 점철되던 때였는데 말이다.
한국으로 돌아오고, 바쁜 업무와 일상이 몇 번이나 휘몰아쳐 지나가고, 가끔 성규 씨와 안부를 주고받았다. 그러다 문득 성규 씨로부터 유칼립투스 폴리안 묘목 하나를 선물 받았고, 나는 입이 네 장 달린 묘목을 회사 책상에 두고 애지중지 키웠다. 하루에도 몇 번씩 흙에 손가락을 찔러보고, 일하다 종종 잎사귀도 만지작거려보고, 퇴근할 때는 옥상에 내놓았다가 출근할 때 데리고 들어오곤 했다. 내 방정맞음에 회사 동료들은 화분에 '애지중지'라는 이름을 붙이고는 가끔 놀렸다. 뭐 어때. 내 키만큼 자란 애지중지가 동전 같은 잎을 흔들어대는 소리를 내 방에서 듣게 될 날이 온다면! 방바닥에 그림자가 포도송이처럼 열릴 수 있다면! 유칼립투스 향기에 취해 잠에 들 수 있다면! 하지만 잎이 스무 장쯤 달리게 되었을 때, 내 입장에선 어떤 기색도 없이 죽어버렸다. 아마 과한 애정에 질식해버린 것이라고 짐작할 뿐이다. 어릴 적 학교 숙제였던 강낭콩 기르기도 해 본적 없는 내게 그 죽음은 다소 충격적이었다. 죽음에 대한 슬픔이라기보다는 나의 공간을 사랑할 기회를 잃어버린 기분이었달까. 어찌되었건 애지중지로 보기 좋게 실패했다. 비유나 은유를 벗어던진 식물이 뻗어나가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세계로의 진입.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박세미
201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건축과 건축역사·이론·비평을 전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