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많이 본 기사

[인터뷰] 이예지 “인간이라는 텍스트는 계속 흥미로운 주제일 것 같습니다” 1
[인터뷰] 이예지 “인간이라는 텍스트는 계속 흥미로운 주제일 것 같습니다”

스스로를 무기 삼아 자기만의 길을 개척한 여성 15인의 목소리를 담아낸 이예지 에디터의 첫 인터뷰집.

2025.10.24

염은영

[리뷰] 고전의 미덕은 재미 아니겠는가? 2
[리뷰] 고전의 미덕은 재미 아니겠는가?

이 책은 분명히 재미있기 때문에 거리낌 없이 추천했다. 평소 고전에 관심이 없는 사람조차 책을 더 찾아서 읽고 싶어지게 할 만큼 말이다.

2025.10.21

유상훈 (편집자)

이다혜 작가의 책장 3
이다혜 작가의 책장

이다혜 작가가 추천하는 『칸트의 동물원』 읽으며 여행하기, 혹은 마크 피셔 선집 함께 기다리기.

2025.10.20

이다혜

[인터뷰] 김숨, 전쟁은 소녀의 몸을 하고 있었다 4
[인터뷰] 김숨, 전쟁은 소녀의 몸을 하고 있었다

타인의 몸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감각을 활자로 옮기는 일은 어떤 위대한 소설가에게도 쉽지 않은 일일 것입니다. 김숨 작가는 위안부 피해 소녀의 지옥 같은 밤으로 돌아가 그 작은 몸을 통해 고통을 기술합니다.

2025.10.16

박의령

[김이삭 칼럼] 숏드로 보는 중국 5
[김이삭 칼럼] 숏드로 보는 중국

중화권 대중문화와 문학 ③ - 통속적인 막장 드라마일 뿐? 숏드에 녹아있는 현재 중국의 모습을 살펴봅니다.

2025.10.14

김이삭

[인터뷰] 이랑 “생존하는 게 직업이에요.” 6
[인터뷰] 이랑 “생존하는 게 직업이에요.”

서른일곱 곡의 노래로 그린 생존 분투기 『기타를 작게 치면서』. 더없이 선명한 분노와 슬픔의 시간을 아로새긴 이랑의 음악 인생.

2025.10.13

염은영

[김해인의 만화절경] 절박한 사랑의 고백, 입시만화 7
[김해인의 만화절경] 절박한 사랑의 고백, 입시만화

김해인 편집자가 입시만화를 경유해 합격과 불합격, 그리고 대학 이후 현실에서 좋아하는 마음을 지켜내는 일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2025.10.13

김해인

김소미 영화기자의 작업실 - 『불이 켜지기 전에』 8
김소미 영화기자의 작업실 - 『불이 켜지기 전에』

어둠에 관한, 수치와 자긍에 관한, 글쓰기에 관한, 동료와 동족에 관한, 버거운 반복에 관한, 그리하여 사랑에 관한.

2025.10.02

박소미

[인터뷰] 구병모 “광대인 제가 그러기로 선택한 것이죠.” 9
[인터뷰] 구병모 “광대인 제가 그러기로 선택한 것이죠.”

『절창』은 묻는다. 타인이라는 텍스트를 온전히 읽을 수 있느냐고.

2025.10.01

신연선

[김혜리 칼럼] 개론 10
[김혜리 칼럼] 개론

개와 함께 하는 시간은 단선적으로 흐르지 않는다. 시간의 가치를 재는 저울도 개와 인간은 다르다.

2025.10.01

김혜리

1 [인터뷰] 이예지 “인간이라는 텍스트는 계속 흥미로운 주제일 것 같습니다” [인터뷰] 이예지 “인간이라는 텍스트는 계속 흥미로운 주제일 것 같습니다”
2 [리뷰] 고전의 미덕은 재미 아니겠는가? [리뷰] 고전의 미덕은 재미 아니겠는가?
3 이다혜 작가의 책장 이다혜 작가의 책장
4 [인터뷰] 김숨, 전쟁은 소녀의 몸을 하고 있었다 [인터뷰] 김숨, 전쟁은 소녀의 몸을 하고 있었다
5 [김이삭 칼럼] 숏드로 보는 중국 [김이삭 칼럼] 숏드로 보는 중국
6 [인터뷰] 이랑 “생존하는 게 직업이에요.” [인터뷰] 이랑 “생존하는 게 직업이에요.”
7 [김해인의 만화절경] 절박한 사랑의 고백, 입시만화 [김해인의 만화절경] 절박한 사랑의 고백, 입시만화
8 김소미 영화기자의 작업실 - 『불이 켜지기 전에』 김소미 영화기자의 작업실 - 『불이 켜지기 전에』
9 [인터뷰] 구병모 “광대인 제가 그러기로 선택한 것이죠.” [인터뷰] 구병모 “광대인 제가 그러기로 선택한 것이죠.”
10 [김혜리 칼럼] 개론 [김혜리 칼럼] 개론

더 보기

arrow down